1 개요
2 배경
그 기원은 1578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포르투갈의 세바스티안 왕이 북아프리카 원정중에 전사하여 포르투갈은 혼란에 빠졌고 그 틈을 타서 에스파냐의 펠리페 2세는 포르투갈을 병합한 후 이베리아 연합을 성립하게 되었다.(1580년)
펠리페 2세는 포르투갈의 귀족들을 회유하기 위해 포르투갈에 광범위한 자치권을 부여했다. 포르투갈 귀족을 에스파냐 왕궁에서 우대하는 한편, 리스본의 수도지위 유지와 포르투갈의 독자적인 법률, 통화, 정부조직의 유지를 약속했다. 이렇게 되어 포르투갈은 한동안 에스파냐의 지배하에 놓였다. 다만 본토가 아닌 아소르스 제도라든지 마카오 등지에서는 스페인 왕을 포르투갈 왕으로 인정하지 않고 60년 지배를 버텼다. (...)
그러나 문제는 에스파냐의 펠리페 3세(재위 1598-1621) 때부터 불거졌다. 펠리페 3세는 이베리아 연합을 구성하고 있는 카탈루냐, 아라곤, 나바라, 포르투갈에 부여된 광범위한 자치권을 박탈하고 중앙집권화를 꾀하려 했다. 그리하여 포르투갈을 에스파냐의 한 주로 만들려는 정책을 밀어붙였다.
그 뒤를 이은 펠리페 4세(재위 1621-1640)는 전비 조달을 위해 포르투갈 상인들에게 중과세를 때리는 한편으로, 포르투갈 정부의 요직에 마드리드에서 파견한 에스파냐인이나 친에스파냐 성향의 포르투갈 귀족들을 등용해 포르투갈 국내에선 에스파냐에 대한 반감이 커져갔다.
3 전개
이런 가운데 1637년, 포르투갈 중남부 지방인 에보라의 징세인의 집에 카탈루냐인들이 불을 지르면서 시작된 마누엘리뇨의 반란이 일어나자 에스파냐의 재상 올리바레스 백작은 포르투갈군까지 투입했지만 반감은 더욱 커져갔다. 에스파냐가 카탈루냐의 반란을 진압하는데 매달리는 사이 포르투갈의 귀족들은 에스파냐의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하기로 결의하고 기회를 엿보았다.
그리하여 마침내 1640년 12월 7일, 포르투갈 귀족들의 정예부대가 총독부가 있는 리스본의 히베이라궁을 습격하여 포르투갈을 통치하던 만토바 공작비 마르게리타 디 사보아를 구속한 뒤 에스파냐로 추방하였고, 국민들의 원성의 대상이던 재상 미겔 데 바스콘셀로스는 체포되어 살해된 뒤 그 시체가 히베이라궁 창밖으로 집어던져졌다. 이를 포르투갈에서는 갈채혁명이라 칭한다.
이 공격을 주도한 귀족들의 대표 브라간사 공작이 리스본 대주교 브라가의 대관을 받아 주앙 4세로 등극하여 단절된 포르투갈의 왕위가 다시 계승되었다.[1] 그러나 이것으로 전쟁이 끝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시작된 것에 불과했다.
에스파냐는 포르투갈을 탈환하기 위해 무려 29년에 걸쳐 포르투갈과 전쟁을 벌였다. 포르투갈은 국내적으로는 주앙 4세에 반대한 친 에스파냐 귀족들의 반란을 진압하고, 밖으로는 에스파냐의 공세에 맞서야 했다. 포르투갈은 에스파냐를 견제하기 위해 올리버 크롬웰이 통치하던 청교도 혁명기의 영국과 동맹을 맺을 정도였다.(포르투갈은 가톨릭 측, 크롬웰 통치기의 영국은 프로테스탄트 측이었다) [2]
이후 영국이 왕정복고가 이루어지고 찰스 2세가 즉위하면서 포르투갈은 영국과 맺은 동맹을 갱신하고 에스파냐에 맞서기 위해 주앙 4세의 딸 카타리나를 찰스 2세에게 시집보내면서 양측의 동맹은 견고해졌고(이때 카타리나의 지참금으로 포르투갈령이던 모로코의 탕헤르와 인도의 뭄바이를 할양했다. 영국은 이로 인해 인도에 발판을 얻게 된다. 그리고 영국에 차와 티타임을 소개했다.) 이는 포르투갈이 결국 에스파냐의 공세를 막는데 크게 작용했다.
4 결과
결국 1668년, 에스파냐는 포르투갈과의 오랜 전쟁을 끝내고 영국의 중재를 받아들여 리스본에서 강화조약을 체결하게 된다. 에스파냐는 포르투갈의 독립과 브라간사 왕조를 정식으로 승인했다. 포르투갈은 에스파냐에게 세우타를 할양했지만 그 밖의 해외 영토들은 모두 보존하게 되었다.
그러나 동군연합의 후유증으로 스페인에 하나로 묶이는 바람에 과거 우호관계였던 네덜란드에게 향신료 산지인 동남아시아 식민지를 뺏긴데다, 이 전쟁 이후 포르투갈의 영국 의존도는 극도로 심해져서 포르투갈은 이후 쇠락의 길을 걷게 된다.- ↑ 혈통으로 따지면 브라간사 공작은 전 왕조인 아비스 왕조의 남자 후손이다. 다만 서자출신(혹은 사생아)이어서 펠리페 2세가 포르투갈을 접수했을때 계승권이 없었을뿐. 사실 전 왕조인 아비스 왕조도 부르고뉴 왕조의 서출이였다. 부르고뉴 왕조는 카페 왕조 로베르 2세의 막내 아들 로베르의 후손으로 카페 왕조의 분가였다. 부르고뉴 왕조는 레콩키스타 시절에 포르투갈 왕이 되었다. 한편 프랑스의 부르고뉴 공국은 이 가계였다가 가계가 끊기고 발루아 왕조로 이어져 발루아-부르고뉴로 불리는 가문이 통치한다. 발루아 가문도 카페 왕조의 분가이긴 했지만... 이 발루아-부르고뉴 가문은 아들이 없어 합스부르크 오스트리아에 흡수된다.
- ↑ 1386년부터 동맹이었긴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