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항목은 표리부동으로도 들어올 수 있다. |
고사성어 | ||||||
羊 | 頭 | 狗 | 肉 | |||
양 양 | 머리 두 | 개 구 | 고기 육 |
일본어 : ようとうくにく
양머리를 내걸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표리부동[1]과 비슷한 말이다. 반대의 의미는 '표리일체'. 여기서 羊은 털 깎아서 이불 만들고 매애~ 하고 우는 양이 아니라 같은 한자를 쓰는 뿔난 염소인데, 염소고기는 찌거나 삶아서 수육으로 만들면 그 식감이 다른 식육용 동물들 중에서도 개고기와 극히 유사하다.
실제 원전으로 전해지는 이야기에는 춘추시대 제나라 영공(靈公)이 총애하는 첩인 융자가 남장을 하고 다니자 그걸 좋아해서 남장하는 풍습이 널리 퍼졌다. 나라에서 몇 번이고 금하려 했지만 제대로 되지 않아 안영에게 그 이유를 물으니 궁중 여인에게는 남장을 허용하면서 민간에서는 남장을 금하니 이야말로 "문밖에는 소머리를 걸어두고 안에서는 말고기를 파는 것과 같습니다"[2][3] 라며 궁중 여인의 남장부터 금하라고 진언했다. 그렇게 하니 과연 남장하는 풍습이 사라졌는데, 이 고사에서 유래한 말이다. 이 일을 두고 공자가 안영을 찬양하기 위해서 안영을 보고 겉(表)과 속(裏)이 같은 사람이라는 말을 했는데 여기에서 고사성어 '표리일체' 가 생겼다. 쇠고기가 양고기로 바뀌고 말고기가 개고기로 바뀐 이유는 원전을 찾을 수가 없어 자세히 설명할 수 없으니 차후 추가바람.[4]
비빔밥 비하발언으로 논란을 일으킨 구로다 가쓰히로의 증언에 따르면 일본에선 가벼운 농담으로 쓴다는 모양이다만, 실제 일본에서 생활하는 유학생이나 직장인은 물론, 일본에서 나고 자란 일본인들도 "저건 뭔소리?"라는 반응이 대부분이라고 한다.
- 더 보기 :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 페이크
- ↑ 겉과 속이 같지 않음이란 뜻으로, 마음이 음흉(陰凶)맞아서 겉과 속이 다름 링크
- ↑ 의역이 포함되어 있어 원전을 적자면 猶懸牛首于門而賣馬肉于內也이다.
- ↑ 평설 열국지에서 이 일화는 안영이 젋은 시절 말단관리로 등용되었고, 대부와 그 자제들을 식사하는 자리에 초대되었을 때, 그 질문에 답한 내용이라고 한다
- ↑ 다만 개고기의 냄새가 양고기의 냄새와 비슷하고, 겉만 봐서는 구분이 가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저렇게 바뀌었을 수도 있다. 실제로 중국에서 고기를 파는 경우에는 동물의 머리를 함께 내어놓는 경우가 있는데, 실제로 양 머리를 내어놓고 개고기를 파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이유는 당연히 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