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랜테이션

plantation

1 개요

재식농업(栽植農業), 식민 취락화(植民聚落化)라고도 한다.

자본·기술을 가진 선진국 및 거대기업이 자국이 아닌 식민지, 제3세계권 나라에서 해당 기후의 노동에 견딜 수 있는 원주민이나 이주노동자의 저렴한, 혹은 강제적으로 동원된 노동력을 이용해서 단일경작(單一耕作)을 하는 전근대적이고 기업적인 농업경영을 말한다. 농작물은 해당 지역에서 주로 소비할 목적으로 경작되는 작물이 아닌, 상품으로서 가치가 큰 향신료나 기호품, 산업원료, 해당 기후에서만 재배가능한 농작물 등이다.

과거 제국주의시대, 즉 16~17세기부터 식민지의 토지와 기후, 노동력을 이용하여 유럽권에서 고부가가치를 지닌 작물들을 경작해 왔으며, 2차 세계대전이후 식민지의 독립이후 농장의 경영권이 국유화되어 현지민에게 경영하게 되었고 재배작물 중 대체소재가 개발되어 수요가 줄어든 마,목화 등의 섬유, 염료 및 고무같은 작물들은 상당수 줄어들었다. 하지만 아직도 세계적으로 경제성이 있는 상품작물들은 이런 농업방식이 유지되고 있으며 덕분에 과거 값비싼 작물들이 세계 시장에서 저렴한 시장가격을 유지하게 하기도 하지만 경영주체가 달라졌을 뿐 경영방식이 여전히 과거와 같은 불공정한 저임금, 착취노동에 의존하는 문제가 남아있기 때문에 공정무역과 같은 사회운동이 일어나고 있으며 경영방식상 불법적이고 폐쇄적이기 때문에 마약과 불법작물 역시도 이런 방식으로 경작되어 범죄조직과 엮여 경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미국남북전쟁 전후까지 자국 내(미국 남부지방)에서 흑인노예노동을 이용한 플랜테이션 농업으로 면화를 재배했었고 일제강점기시절의 우리나라도 일본 제국에 의해 남면북양정책, 산미증산계획]과 같은 착취정책으로 플랜테이션화 되거나 하와이 등의 사탕수수농장에 노동이민자들이 건너간 역사가 있다.

2 플랜테이션의 일반적인 특징

일단 재배하는 생산물은 일반적인 상품시장이 되는 나라의 기후조건에서 재배할 수 없거나 상품성이 떨어지는, 열대성 혹은 아열대성의 특산물로 구성되어 있고 처음부터 세계시장을 지향한 상품작물이다. 현지의 기본적인 생활과는 관계 없는 상품작물인 고로 한 토지에 단일작물만을 재배하는 경향이 크다. 위 항목에서 설명한 이유로 인해 대부분 전근대적 대토지소유제 및 경영자 감독하에 현지인 조장을 두는 집단적 노동양식인 갱 시스템(gang system)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노동력은 저임금 혹은 강제노동력에 의존하여 마진을 높인다. 단일재배의 특성상, 시장상황의 변화에 따른 가격의 불안정, 흉작(기후변화 및 병충해 등)에 취약하며, 이전부터 현지 고유의 농업 및 경제적인 순환이 개박살나기 때문에 이런 외부적인 요소에 자발적이든 강제적이든 플랜테이션 농업에 엮여 생활을 의존하는 현지인들은 더욱 크게 피해를 입는다.

3 대표적인 플랜테이션 작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