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韓美聯合軍 司令官
- 영어: Commander, United States Forces Korea / Commander, United Nations Command / Commander, R.O.K.-U.S. Combined Forces Command[1]
1 개요
현직 |
빈센트 브룩스(Vincent K. Brooks) 육군대장 |
미군의 합동부대 보직이다.[2] 보통 미 육군 대장이 보임된다. 한미연합군사령부을 지휘하고 주한UN군과 주한미군 사령관을 겸임한다.
2 특성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도 대장이기 때문에 사령관과 부사령관이 모두 대장이다. 한국이 보기엔 이상할지 몰라도 미 해병대만 해도 해병대사령관과 해병대부사령관이 모두 대장이다. 각군 참모차장들에 합참차장도 대장이다. 어차피 휘하에 제7공군(중장), 육군 제8군(중장) 등이 있기 때문에 부사령관이라고는 해도 최소 중장 이상이어야 한다.
한국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에 상시 근무하는 유일한 미군 4성장군[3]이라 포스는 넘쳐보이지만 미군 전체에서 보면 그리 좋은 자리는 아닌 편이다. 21세기 미군에서의 진짜 요직은 통합군사령관 중에서도 중동 지역을 관장하는 중부사령관이다. 하지만 한국의 입장에서 본다면 이 보직이 한직으로 머무는 것이 오히려 나을 것이다. 여기가 요직으로 꼽히게 된다는건 조선인민군이 깝치는 틈에 중국 인민해방군까지 덤벼오는 한국 전쟁 Restart다(...) 뭐 그래도 존 베시, 존 위컴처럼 주한미군 사령관을 거쳐 합참의장, 육군참모총장까지 올라간 사람도 있다. 아무래도 80년대까지는 북한이 이런저런 테러나 사고를 많이 치던지라 굉장히 무게감 있는 장군들도 많았지만 21세기 들어서는 그다지 요직이라 볼 수는 없게 되었다. 하지만 북한이나 중국이 조금만 불경(?)한 모습을 보이면 곧장 천조국 황상(...)이 전화를 때리거나 본국 청문회에 불려나가는게 일상이기에 한직임에도 혈압은 팍팍 오르는(...) 영 좋지 않은 자리. 그래도 최근 주한미군사령관에서 NATO 사령관으로 영전한 커티스 스캐퍼로티 대장이나 대장 승진과 함께 태평양 공군사령관으로 임명된 테런스 오쇼너시 대장(前 주한미군 공군구성군(태평양 제7공군) 사령관 겸 주한미군부사령관) 예를 보면 아직은 백악관과 펜타곤이 주한미군의 지휘관 보직을 중요 보직중 하나로 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시작전통제권 문제와 더불어 연합사 사령관은 항상 미군측이 맡았다는것이 환수찬성측에서 제기되자 사령관 자리에 한국장성을, 부사령관 자리에 미군장성을 앉히는게 어떻겠냐라는 의견이 있었고 일부 긍정적인 신호도 있었다.
3 역대 사령관
- 카터 B. 매그루더(1959-1961)
- 가이 S. 멜로이 주니어(1961-1963)
- 드와이트 E 비치(1965-1966)
- 찰리 H. 본스틸 3세(1966-1969)
- 일본 항복 당시 육군부 중령으로 38선을 그은 장본인.
- 존 H. 마이켈리스(1969-1972)
- 6.25 전쟁 당시 미군 제25사단 27연대 지휘관으로 참전했으며 다부동 전투에서 국군 1사단과 함께 방어작전을 펼쳤다.
- 리처드 G. 스틸웰(1973-1976)
- 판문점 도끼만행사건 당시 미군 사령관.
- 정확히는 위의 인물들은 한미연합군사령부 사령관이 아니라 UN사령관과 주한미군 사령관이었고 1978년에 한미연합사가 생기면서 그때부터 겸직했다. 존 베시부터가 정확한 한미연합사령관이다.
- 존 W. 베시 2세(1976~1979)
- 사병 출신 장성, 그것도 현지임관자로서 4성장군이 된 근성의 사나이로 유명하다. 재임기간 지미 카터 대통령이 주한미군 철수를 검토했던 것을 적극적으로 막아낸바 있다. 주한미군 이후 육군참모차장을 거쳐 합동참모의장까지 지냈다.
- 존 A. 위컴 2세(1979-1982)
- 로버트 W. 세네월드(1982-1984)
- 윌리엄 J. 리브시(1984-1987)
- 루이스 C. 메네트리(1987-1990)
- 로버트 W. 리스카시(1992-1993)
- 개리 E. 럭(1993~1996)
- 존 H. 틸렐리(1996~1999)
- 토머스 A. 슈워츠(1999-2002)
- 리언 J. 러포트(2003-2006)
- 버웰 B. 벨 3세(2006-2008)
- 월터 L. 샤프(2008-2011)
- 제임스 D. 서먼(2011-2013)
- 커티스 M. 스캐퍼로티(2013-2016)
- 빈센트 K. 브룩스(2016-)
- ↑ 각각 주한미군, UN군, 한미연합군사령관을 뜻한다. 세 보직을 대장 한명이 모두 겸하는 형태.
- ↑ 통합군(Unifed Combatant Command)과는 다르다.
- ↑ 일본에서 주로 활동하는 미해군 7함대와 5공군은 모두 중장이 사령관에 임명된다. 주일미군사령관은 제5공군 사령관이 겸직. 태평양 전역까지 범위를 넓히면 태평양통합군사령관과 그 휘하 태평양 육/해/공군사령관 총4명의 대장이 더 있기는 하다.
- ↑ 한 인터뷰에서 '한국인들은 레밍과 같아 새로운 지도자가 등장하면 그에게 우르르 몰려든다'라는 말을 남긴 그 분이다. 한국의 민주화 좌절 과정을 보며 실망이 컸던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