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군의 참모총장 | ||||
합동참모의장 | 육군참모총장 | 해군참모총장 해병대사령관(주1) | 공군참모총장 | |
(주1) 해병대사령관은 군인사법 제 19조, 제 64조에 의해 해군참모총장의 권한을 일정 부분 위임받음. |
- 한자 : 海兵隊司令官
- 영어 : Commandant of the Marine Corps (미국) / Commandant General Royal Marines (영국)
現 대한민국 해병대사령관 |
이상훈 중장 |
1 개요
대한민국 해군에서 의전 서열이 해군참모총장 다음이며 중장 가운데 최선임이다. 따라서 대장 8명에 이어 현역 군인 서열 9위. 해병대의 로비 끝에 해병대원의 전역증은 해군참모총장이 위임한 해병대사령관 명의로 나간다.[1] 후술하듯 군인사법 19조, 64조에 의해 해군참모총장의 권한을 일정부분 수탁받는 입장이라 타군 참모총장과 일정부분 동일한 예우를 받기도 한다. 이는 법적으로 보장된 사항이므로 위 "참모총장" 틀에도 해병대사령관이 따로 나와 있다.
1966년부터 1973년까지는 강기천(7대), 정광호(8대), 이병문(9대) 이 세 사령관이 대장 계급을 받기도 했는데 5.16 군사정변에 참여한 일시적인 보상격이었다. 그 후엔 다시 계속 중장이었고 1973년에 해병대사령부가 해체되어 해군해병으로 해군제2참모차장[2]으로 불리던 시절도 있었다. 1987년에 해병대사령부가 재창설되자 다시 해병대사령관이란 호칭으로 환원되었다.
2 특징
해군이 상선사관 출신들이 많았던 것과 달리 해병대는 해군에서 만주군 출신[3]과 일본군 해군 출신[4], 일본군 육군 출신들을 죄다 해병대로 몰아넣은 탓에 해병대엔 일본색이 강한 편이었다. 일본 해군의 조선인 출신자를 함정에 배치하길 꺼린 경향으로 인해 조선인들은 대부분 육전대에 배치됐기에, 해군 출신임에도 배에 대해 민간인인 상선사관 출신들보다 무지했으므로 자연히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이다.
만일 합동참모의장으로 영전한다면 다시 해병대장이 나올 가능성은 있다. 다만 합참의장이 대장이 1차 보직을 거친 후에 올라가는 2차 보직[5]이란 점에서 대장으로 못 올라가는 게 문제이다.
근데 중장 진급이 해군과 기수를 맞춰서 이뤄지기 때문에 중장 보직이 하나 밖에 없는 해병대의 특성상 하고 나면 퇴역을 해야한다. 육해공 합동 보직인 합참의 중장급 보직인 합동참모차장, 작전본부장, 군사지원본부장, 전략기획본부장이나 국방부의 중장급 보직인 국방정보본부장 등은 의전상 해병대사령관보다 아래이다. 해병대사령관이 중장 최선임 의전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보직의 형태가 좌천이 되어 버린다. 차라리 의전 서열을 낮춰 합동 보직들을 거친 뒤에 중장 2, 3차 보직으로 해병대사령관으로 보임되면 가능성이 있겠지만 육방부의 특성상 해당 보직들엔 해군이나 공군도 들어가기 힘든데 해병대야 오죽하랴. 그리고 그렇게 해서 해병 중장 자리 늘려주면 전우회 노친네들이 자기네 사령관 강등시켰다고 또 질알한다.
그때문에 해병대가 대장으로 진급할 유일한 가능성인 합동참모의장까지 갈 수가 없는 것이다. 중장 보직이 해병대에 하나 밖에 없고 합동직의 경우에는 육해공이 대부분을 차지해 자리가 안 난다. 대장도 유일한 합동직인 합참의장이 1차 보직으로 갈 수 없는 곳이기 때문. 한동안 합동참모차장에 대장에 보임될 때 합참차장으로 대장에 올라가는 걸 기대도 했지만 중장으로 환원되었다. 그리고 2011년 7월 개정된 군인사법 19조 4항은 '해병대사령관은 그 직위에서 해임 또는 면직되거나 그 임기가 끝난 후 전역된다.'라고 쓰고 있다. 안습 이젠 군인사법으로 대장 못 올라가게 막아놨다. 엄밀히는 해병대의 최선임 장교라고 정해놨기 때문에 대장 계급으로 사령관이 되면 되는 거라 아예 불가능한 건 아니지만. 어쨌거나 군인사법에서 참모총장과 같이 조항에서 관리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다른 중장과는 대우가 다르긴 하다. 4군 체제는 아니지만 해병대는 해군으로부터 인사권, 예산권 등을 위임받았기에 해병대사령관에 대한 참모총장 예우를 위해 중장 1위의 서열을 갖는 것이다. 사실은 걍 해병전우회 노친네들이 깽판쳐서 달래느라 그랬을 뿐.[6]
해병대사령관이 기수열외당한 적도 있다. 해병소장 두 명이 해병대사보다 더 상위기관에 30대 사령관 유낙준 장군을 비난하는 투서를 던졌는데, 군 검찰이 음해라고 판단하여 해병대 소장 총원의 절반에 해당하는 둘을 구속했다.
3 역대 해병사령관
구분 | 사진 | 이름/계급 | 경력 | 구분 | 사진 | 이름/계급 | 경력 | 구분 | 사진 | 이름/계급 | 경력 | ||
초대 | 신현준 중장 | 만주군 | 2대 | 김석범 중장 | 만주군 | 3대 | 김대식 중장[7] | 만주군 | |||||
4대 | 김성은 중장 | 5대 | 김두찬 중장[8] | 6대 | 공정식 중장 | 해사 1기 | |||||||
7대 | 강기천 대장 | 8대 | 정광호 대장 | 해군특교1기 | 9대 | 이병문 대장 | 해간1기 | ||||||
10대[9] | 김연상 중장 | 해군항해학교 | 11대 | 이동용 중장 | 서울대 | 12대 | 정태석 중장 | 해사3기 | |||||
13대 | 김정호 중장 | 해병학교3기 | 14대 | 최기덕 중장 | 해사6기 | 15대 | 박희재 중장 | 해사9기 | |||||
16대 | 성병문 중장 | 해사11기 | 17대 | 박구일 중장 | 해사12기 | 18대 | 최갑진 중장 | 해사13기 | |||||
19대 | 조기엽 중장 | 해사15기 | 20대 | 임종린 중장 | 해사16기 | 21대 | 이상무 중장 | 해사19기 | |||||
22대 | 전도봉 중장 | 연세대[10] | 23대 | 이갑진 중장 | 해사21기 | 24대 | 김명환 중장 | 해사22기 | |||||
25대 | 이철우 중장 | 해사23기 | 26대 | 김인식 중장 | 해사26기 | 27대 | 김명균 중장 | 해사27기 | |||||
28대 | 이상로 중장 | 해사29기 | 29대 | 이홍희 중장 | 해사31기 | 30대 | 유낙준 중장 | 해사33기 | |||||
31대 | 이호연 중장 | 해사34기 | 32대 | 이영주 중장 | 해사35기 |
4 타국의 해병대
4.1 미 해병대
현직 |
해병대장 로버트 넬러 장군 |
4성제독인 해군참모총장 및 해군참모차장과 마찬가지로 해병대 정, 부사령관도 4성장군으로 해군과 동격이며, 합동참모회의의 정식 구성원이다. 다만 미 해군 함께 미 해군청장의 지휘를 받으며, 군종, 의무, 시설[11] 병과 등도 해군과 공유한다. 법무관은 따로 뽑으나, 해군 법무실에 함께 배속된다.
첫 사령관인 새뮤얼 니컬러스(Samuel Nicholas)는 소령으로 지휘관을 맡았으나 7대인 제이컵 질린(Jacob Zeilin)이 처음으로 준장이 되었고 9대인 찰스 헤이우드(Charles Heywood)부터 소장이 보임되었다. 17대인 토머스 홀컴(Thomas Holcomb)이 처음으로 중장이 되었고 그 다음인 18대 알렉산더 밴더그리프트(Alexander Vandegrift)부터 계속 대장이 보임되고 있다.
5대인 아치볼드 헨더슨(Archibald Henderson) 같은 경우엔 1820년부터 1859년까지 39년 동안 해병대 사령관을 지내기도 했다.
유독 미국해군사관학교가 힘을 못 쓰는 곳이 미 해병대인지라 사령관들의 임관루트가 해사는 오히려 적은 편에 속한다. 미군이 학군이나 OCS 과정도 대장까지 진급하는 게 가능하긴 하지만 그래도 사관학교 출신이 가장 많고 각 군 참모총장은 보통 사관학교 출신들이 차지하는데 해병대만은 유독 학군이나 학사, 간부사관 출신들이 해사 출신보다도 강하게 버티고 있다.
한편으로는 미 육해공군의 참모총장들에 비해 연령대가 높은 편이다. 하지만 타군에서도 최선임급은 60대 전후의 나이인 경우가 많은 것을 보면 이것은 해병대사령관 자리의 인사 문제라기보다는 별자리 자체가 적은 데 기인한 어쩔 수 없는 인사적체라고 보는 점이 타당하다.
- 역대 미 해병대사령관
- 초대 새뮤얼 니컬러스(Samuel Nicholas)
- 2대 윌리엄 워드 버로스(William Ward Burrows I)
- 3대 프랭클린 와턴(Franklin Wharton)
- 4대 앤서니 게일(Anthony Gale)
- 5대 아치볼드 헨더슨(Archibald Henderson)
- 6대 존 해리스(John Harris)
- 7대 제이컵 질린(Jacob Zeilin) (미국육군사관학교)
- 8대 찰스 매콜리(Charles Grymes McCawley)
- 9대 찰스 헤이우드(Charles Heywood)
- 10대 조지 엘리엇(George F. Elliott) (미국육군사관학교)
- 11대 윌리엄 비들(William P. Biddle)
- 12대 조지 바넷(George Barnett) (미국해군사관학교)
- 13대 존 러전(John A. Lejeune) (미국해군사관학교)
- 14대 웬들 네빌(Wendell Cushing Neville) (미국해군사관학교)
- 15대 벤 풀러(Ben Hebard Fuller) (미국해군사관학교)
- 16대 존 러셀(John H. Russell, Jr.) (미국해군사관학교)
- 17대 토머스 홀컴(Thomas Holcomb)
- 18대 알렉산더 밴더그리프트(Alexander Vandegrift)
- 19대 클리프턴 케이츠(Clifton B. Cates)
- 20대 레뮤얼 셰퍼드(Lemuel C. Shepherd, Jr.)
- 21대 랜돌프 페이트(Randolph M. Pate)[12]
- 22대 데이비드 슈프(David M. Shoup)
- 23대 월리스 그린(Wallace M. Greene) (미국해군사관학교)
- 24대 레너드 채프먼(Leonard F. Chapman, Jr.)
- 25대 로버트 커슈먼(Robert E. Cushman, Jr.) (미국해군사관학교)
- 26대 루이스 윌슨(Louis H. Wilson, Jr.)
- 27대 로버트 배로(Robert H. Barrow)
- 28대 폴 켈리(Paul X. Kelley)
- 29대 앨프리드 그레이(Alfred M. Gray, Jr.)[13]
- 30대 칼 먼디(Carl Epting Mundy, Jr.)[14]
- 31대 찰스 크룰랙(Charles C. Krulak) (미국해군사관학교)
- 32대 제임스 존스(James L. Jones)
- 33대 마이클 헤이지(Michael Hagee) (미국해군사관학교)
- 34대 제임스 콘웨이(James T. Conway)
- 35대 제임스 에이머스(James F. Amos)
- 36대 조지프 던퍼드(Joseph F. Dunford, Jr.)[15]
- 37대 로버트 넬러(Robert B. Neller)
4.2 영국 해병대
영국 해병대는 제4의 군조직에 가까운 한국이나 미국과 달리 코만도로서 특수부대의 성격이 짙기 때문에 규모 면에서 크지 않은 편이라 사령관의 계급이 소장급이다. 다만 이 보직이 꼭 해병대 장군들의 최종 보직인건 아니다. 중장을 달고 NATO군 보직으로 옮기는 경우가 자주 있다.[16] 그러나 4성은... Aㅏ... 지못미. 게다가 참모총장들은 다 갖고 있는 기사 작위마저 없다
4.3 자위대
2002년에 육상자위대 서부방면대에 설치된 보통과연대가 해병대 역할을 한다. 지휘관은 1등육좌로 대령이다. 2014년 이후 수륙기동단으로 부대를 확편할 계획이라 여단급 부대인 기동단이 창립될 경우 육장보(육군 소장[17])가 보임될 것이다.- ↑ 육군은 육군참모총장, 해병대 외 해군은 해군참모총장, 공군은 공군참모총장 명의로 나간다.
- ↑ 제1참모차장은 현재의 해군작전사령관과 유사했다.
- ↑ 단 만주군 해군이 워낙 별볼일 없어서 만주군 육군 출신들이 대다수였다.
- ↑ 수병이나 하사관들이었다. 일본해군병학교는 조선인 포함 외국인의 입학을 일체 불허했다.
- ↑ 육군의 경우 각 1차 대장보직으로 야전사령관이나 연합사부사령관, 참모총장을 거치고 2차로 합참의장으로 영전한다. 단, 3차 보직으로 올라가기도 한다. 정승조 대장의 경우 1군사령관, 연합사부사령관을 거쳐 대장으로 세번째 보직으로 합참의장이 되었다. 윤용남 대장도 3군사령관, 육군총장을 거쳐 합참의장이 되었다. 해공군의 경우 대장이 참모총장 한명뿐이므로 무조건 1차 보직으로 참모총장을 거쳐 2차로 합참의장으로 영전한다.
- ↑ 지금도 이따금씩 웹상에서 해병대사령관에 4성장군을 보임해야 한다는 주장이 보인다.
- ↑ 1960년 4.19 혁명이 일어나자 군에선 이른바 정군(整軍) 운동이 일어나 부패한 고위장교를 쫓아내야 한단 움직임이 일었다. 특히 원용덕 같은 정치군인들이 1950년대에 제1공화국에 협조한 탓에 하급 장교들의 불만이 컸다. 이들은 군의 정치적 중립을 요구했고 해병대1사단장인 김동하 준장이 김대식 중장의 해임을 요구하기도 했다. 정군운동의 주축은 육사 8기였는데 김종필 중령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군법재판이 열릴 기세가 되자 타협하여 이들 하급 장교들은 자진 예편하는 식으로 나가게 됐는데 이 인물들은 나중에 5.16 군사정변의 주체가 된다. 1년 전에 정치적 중립을 요구하던 것과는 다른 방향으로 가게 됐지만...
- ↑ 해방 전 일본 명치대 재학 중 독립운동에 가담해 1년 8개월간 복역한 독립운동가 출신이다. 전역 후에는 해병대 독립을 주장하기도 했다. 하지만 4.3 사건 당시 민간인 학살을 주도하기도 하였다.
- ↑ 초대 해군제2참모차장.
- ↑ 해병대 공군비행학교 습격사건 당시 해병대 소위 주동자 중 한 명이었다. 전 중장이 해병대 사령관을 지내던 시절에 국방장관을 지낸 이양호 공군대장은 당시 공군비행학교 당직사령이었고.
사이 좋게 둘 다 뇌물 수수 - ↑ 육군의 건설공병에 해당하는 해군과 공군의 병과.
- ↑ 미 육군 병 생활하다가 군사학을 따서 해병대로 왔다.
- ↑ 1950년 병으로 들어와 1952년 소위 임관. 즉 사병 출신 장성.
- ↑ 1953년 해병대 병으로 시작해 1957년에 소위 임관.
- ↑ 합참의장으로 영전되었다. 두번째 해병대 출신 합참의장이다.
- ↑ 주로 연합지상군사령부(Allied Land Command)로 간다.
- ↑ 자위대에는 준장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