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로 2세

사산 왕조의 역대 황제
23대 호르미즈드 4세24대 호스로 2세25대 바흐람 추빈
25대 바흐람 추빈26대 호스로 2세(복위)27대 카바드 2세


생몰년도: ? - 628년
재위기간: 590 - 628년

1 개요

사산 페르시아 제 24대, 26대 황제. 호르미즈드 4세의 아들이다.

2 집권 초반기

590년 호스로 2세는 아버지(!)인 호르미즈드 4세의 반역에 가담한 유력자들에 의해 제위에 올랐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호르미즈드 4세를 처형(!)했는데 그야말로 패륜이다.(...)[1] 역시 꾸준히 막장스러웠던 황실의 계보를 잇는듯(...)

즉위 후 얼마 안가 로마 제국과 싸우던 페르시아의 장군 바흐람 추빈은 자신이 황제라고 주장하여 스스로 바흐람 6세라고 불렀는데, 이것도 이것대로 막장이다.[2] 이 사건으로 정국은 개판오분전이 된다.

당시 571년부터 시작된 로마와의 전쟁은 아직도 끝나지 않고 있었다. 호스로 2세는 시리아로 도망쳤다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마우리키우스 황제에게 의지하여, 왕위를 되찾기 위한 협력을 받아내었다. 그 대가로 로마에게 많은 이권을 양보하였다. 호갱님 덕분에 국내 세력들도 호스로 2세가 황제라는 것을 인정하였다. 호스로 2세는 591년에 크테시폰으로 돌아왔으며, 아제르바이잔에서 바흐람 추빈을 개발살냈다. 패배한 바흐람 추빈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로 물러났으나 머지않아 살해당했다.

그 후 왕권을 안정시킨 페르시아는 로마와 평화조약을 맺었다. 그리고 로마는 아르메니아조지아를 넘겨받았으며, 페르시아에게 정기적으로 지급하던 조공을 중단하였다.

3 군사적 성과

호스로 2세는 집권 초기에 기독교에 대해 우호적이었으나, 602년 로마의 장군 포카스가 마우리키우스를 살해하고 제위를 찬탈하자, 호스로 2세는 로마에 전쟁을 선포했다. 이 전쟁의 명분은 마우리키우스의 복수였으나, 사실상 로마의 영토를 합병하려는 의도였다. 그 후 호스로 2세의 군대는 시리아와 아나톨리아를 침략했다. 그리고 608년 칼케돈으로 진격하였다.

613년에서 614년까지 페르시아의 장군 샤흐르바라즈[3]는 다마스커스와 예루살렘을 점령하고 성십자가를 빼앗었다. 또한 페르시아의 장군 샤힌은 아나톨리아로 진격하여 로마의 군대를 수없이 격퇴하였고 결국 618년에 이집트를 점령하였다. 그 와중에 로마인들은 내분에 의해 분열되었으며, 다뉴브 강을 건너 제국을 침략한 아바르와 슬라브에게 압박받았다. 또한 호스로 2세는 집권중에 타론 침략하였고, 사산 왕조 사상 최대의 영토를 보유하였다. 이러한 군사적 성과에 힘입어 동로마의 헤라클리우스 황제를 비천한 노예로 조롱하면서 콘스탄티노플까지 차지하겠다고 호기롭게 선언할 정도였다.

그러나 호스로 2세가 라흠 왕조의 18대 왕 누아만 3세를 600년경에 감금하고 처형한 것을 이유로 페르시아가 로마 제국에 대항하는 동안 아랍인들의 불만은 폭주하였고 이를 달래기 위해 결국 서부 국경의 방위를 사막과 완충지대인 라흠 왕조에게 허용했다. 이것은 침략으로 인한 이라크 남부의 상실뿐만 아니라, 10년 뒤 아랍 세력에 의한 호스로 2세의 암살의 불씨가 된다.

4 최후

610년에 포카스의 뒤를 이어 헤라클리우스가 집권하였다. 헤라클리우스는 그야말로 전사 황제였으며 624년에 메디아로 진격해 그곳의 조로아스터교 신전을 파괴하였다. 그리고 626년에는 라지스탄을 점령하였다. 몇 년이 지난 뒤 페르시아의 장군 샤흐르바라즈는 칼케돈으로 진격하였으며, 페르시아의 장군 샤힌과 아바르족의 연합군과 함께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점령하려 하였다. 그러나 샤흐르바라즈의 책략은 실패하였으며, 그는 628년에 아나톨리아로 부터 퇴각하였다.

페르시아와 남캅카스의 투르크 사이에서 전쟁이 일어난 627년에, 헤라클리우스는 니네베의 전투에서 페르시아군을 격퇴하고 크테시폰으로 진격하였다. 호스로 2세는 머물고 있던 다스트게르드에서 저항도 하지 않고 도망쳤다. 혼란을 틈타 페르시아의 귀족들 일부는 호스로 2세에 의해 감금되었던 카바드 2세를 풀어주었으며, 628년 2월 23일경의 밤에 그를 왕으로 선포하였다. 그로부터 4일 뒤 호스로 2세는 자신의 궁전에서 살해당했다. 반면 헤라클리우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돌아와 개가를 올렸으며, 629년에는 성십자가를 되찾았다. 그리고 이집트페르시아 집권 동안의 헬게이트에서 벗어났다.

5 평가

사산 왕조의 영토를 최대 판도로 만든 영웅적인 군주이긴 했지만, 외교와 내치면에서는 성공적이지 못했다.

내치적인 면에서는 점령한 이집트 지방을 제대로 통제하지 못해 헬게이트로 만들어버렸고, 외교적인 면에서도 로마 제국과의 싸움이야 늘상 있는 일이니 그렇다 쳐도 그외 주변세력에게 너무 어그로를 끄는 바람에(대표적으로 아랍이라든가 아랍이라든가...) 결국 나중에 헤라클리우스의 침공을 막지 못하고 결국 암살당하고야 만다.

사산 왕조의 판도를 최대로 넓힌 인물이기도 했으나 반면에 쇠퇴기를 부른 인물이기도 하다. 이래저래 파란만장한 삶을 살다 간 인물.

호스로 2세 사후 사산 왕조의 정국은 급속도로 불안해진다.

6 기타

아버지와 함께 호프 다이아몬드와 연관이 있다는 설도 있다. 자세한 것은 해당 항목 참조.
  1. 다른 의견으로는 반역에 가담한 신하가 암살했다고 한다.
  2. 그런데 그도 그럴것이 바흐람 추빈은 이전에 황제에게 큰 모욕을 받은 적이 있었다.
  3. 나중에 사산 왕조의 황제가 난립할 때 황제를 참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