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문서 : 자연과학대학
학과 (학과 이름순 목록 보기) | |||||||
인문 | 사회 | 자연 | 공학 | 의학 | 교육 | 예술 | 기타 |
학과 - 자연과학 | |||||
자연계열 | 대기과학과 | 물리학과 | 생명과학과 | 수학과 | 지리학과 |
지질학과 | 천문학과 | 통계학과 | 해양학과 | 화학과 | |
가정계열 | 가정학과 | 식품영양학과 | 아동소비자학과 | 의류의상학과 | 식품조리학과 |
농업계열 | 산림자원학과 | 수산생명의학과 | 조경학과 | 축산학과 | |
* 교육계열 학과 목록은 링크를 참조할 것 |
학문으로서의 화학은 화학참조
1 개요
물리학과 더불어 자연과학의 기본 베이스 중 하나인 화학을 배우는 대학 전공이다. 이공계 학과 답지 않게 남녀성비가 균등한 편이다. 몇몇 학교의 경우에는 여자가 더 많은 곳도 있다!
2 학부교육과정
일반적인 테크트리에 따라 배열되어 있다. 저학년과목중 일부는 1,2로 나누어 1년동안 배우기도 한다.
일반적인 화학 전공 교육과정 | ||||||||
저학년 | 일반화학 + 실험 | 일반물리학 + 실험 미적분학 | ||||||
유기화학 + 실험 | 분석화학 + 실험 | 미방과 선대 (공학수학) | ||||||
물리화학 + 실험 | 무기화학 + 실험 | |||||||
고학년 | 유기합성 고분자화학 생화학 | 기기분석 + 실험 분광분석 | 양자화학 | |||||
분자분광학, 생물유기화학, 물리유기화학, 유기금속화학, 무기신소재화학 |
과학고 등에서 선행학습을 하지 않은 이상, 대학에서 화학(특히 열역학이나 양자화학 분야)을 배울 때 수학과 물리학 배경지식 요구량이 예상한 것보다 많아서[1]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엄청나게 많다. 대체로 화학이 이게 다 생화학 때문이야 물리학보다는 생물학과 많이 연계되고 고등학교 수준에서까지 배우는 화학 또는 생물에서는 수학과 많이 연계시켜서 가르치지 않기 때문인 것 같다.[2] 1학년때 배우는 기초미적분+기초선대와 1학기 정도의 미방, 선대 수업에 점군 이론에 관한 공식 몇 개만 알면 학부과정을 끝마치는데는 문제가 없을 것이다. 물론 자연과학에서 수학은 많이 알수록 좋다.
주로 유기화학, 분석화학, 물리화학, 무기화학, 생화학 등을 배우며 생화학의 경우는 생물 관련 융합학과의 영역이라며 배우지 않는 학교도 있다. 배우지 않더라도 생명공학과와 같은 학부에서 개설하기도 하니 공부할지 말지 선택하는 것은 본인들의 몫. 발버둥쳐봤자 실험노트는 매주 제출해야하니 학기 별로 잘 배분해야 1주 4노트를 피할 수 있다
대한화학회에서는 공학교육인증제와 비슷한 화학전공학위인증제를 상당히 오랫동안 시행해 왔는데, 2014년부터는 인증제를 폐지하고 화학적성시험이라는 제도를 만들었다.
전공과목중 실험과목에 쓰이는 시약들은 죄다 독극물 혹은 발암성 물질에 해당하기에 레포트를 쓰며 매주 놀라는 자신을 발견할수있다. 하지만 1,2년만 하다보면 어지간한 시약은 밀가루처럼 아무렇지도 않게 취급하며, 염산/질산/황산 등 심지어 벤젠까지도 일반인들로썬 위험하다고 생각되는것이 손에 묻거나 해도 자연스럽게 개수대에서 슥 씻어내는 노련함을 보인다. (실험도중 머리가 띵하거나 어지러울때 자신이 병에 걸린게 아니라 시약/용매(아세톤, CH등)때문이란걸 단박에 알고 별 신경 안쓴다면 진정한 화학도 탄생)
아울러 실험기구 중엔 유리가 많기 때문에 깨지기 쉬워서 수세미로 빡빡닦진 못하는데 모양은 더럽게 복잡한 실험기구들의 세척(이 세척도 한번이 아니라 여러번의 확인세척을 한다)을 마주할때면 집에서 하는 설거지가 얼마나 간편한것인지 체감할수있다.
3 대학원 교과목
4 트리비아
4.1 화학교육과와의 관계
커리큘럼이 어쩔 수 없이 비슷하기 때문에, 화학교육과 전공과목에서 교육학 부분을 덜어내고 각 분야별 심화과목을 더하면 화학과 커리큘럼이 된다. 임용고시가 워낙 힘들어서 별 의미는 없지만 화학과 학부생 중에 종종 교직이수로 2급 정교사를 달고 졸업하는 경우가 있다.
4.2 약대와의 차이
약대가 6년제가 되면서 대학입학시 약대와 화학과 사이를 고민하는 것은 없어졌으나[3] 대신 PEET시험을 통해 약대로 갈아타는 루트가 뚫리면서 약대진학을 염두에 두고 화학과에 진학하는 고교졸업자들이 많아졌다. 4년제 시절 약대를 기준으로 화학과의 커리큘럼과 비교해보면 겉보기에 비슷한 구석이 많다. 그러나 약대는 근본적으로 약사라는 전문직학위이므로 1:1로 과목을 비교하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하겠다.
4년제 약대의 표준과정은 이러하다.
1학년: 일반화학, 일반생물, 일반물리, 미적분(미방, 선대따위는 안배운다.)
2학년: (약대전용)초급물리화학[4], 표준유기화학, (약대전용)분석화학&기기분석
3학년: (약대전용)의약합성화학[5][6], 약용식물학(생약학), 위생화학[7]
4학년: 제제학(경구제나 주사제등 의약완제품 제조기술) 및 기초화공
여기에 기초의학[8][9]과목들 즉 해부학, 생리학, 미생물&면역학, 생화학, 약물학(약리학)[10]을 2학년에서 4학년에 걸쳐서 순서대로 나눠 배운다.[11]
즉 물리화학-분석화학-유기화학-의약합성-제제공학으로 연결되는 "제약약학"골격에 기초의학을 덧씌운 희한한 2중구조의 교육과정이다. 80년대 이후로는 임상약학이 강조되면서 새로운 과목이 도입됐으나 약사국가고시과목으로 채택되지 못하고 겉돌다가 6년제로 전환되면서 정착됐다. 그러나 기존의 제약약학적 과목들도 요지부동 남아있어서 미국의 철저한 임상위주의 커리큘럼과 비교하면 매우 기형적인 구조를 취하고 있다.
한줄요약: 화학 자체의 참맛을 느끼기에는 많이 부족한 커리큘럼이다. 하지만 제약회사 취직의 마패라는 게 함정.[12]
4.3 화학공학과와의 차이
화학문서에도 나와있지만 화학과와 화학공학과는 차이가 크다. 화학공학은 기존에 개발되어 사용되는 화학제품의 효율적인(엔지니어링) 생산에 대한 원리와 기술과 장치를 고민하는 학문이다. 화학보다는 물리(좀 더 구체적으로는 기계공학)가 중요하다. 하지만 이렇게만 써놓으면 공업화학적 측면의 화공학이 무시되는 오류를 범하게 된다.- ↑ 때문에 화학과에서도 일반물리학이 교양필수로 지정된 대학이 많다.
- ↑ 그러나 일종의 응용물리학이라고도 볼 수 있는 화학이 수학이나 이론물리 없이 성립할 수 없고, 오늘날에는 생물 연구에도 수학이 점차 많이 활용되고 있다. 괜히 생명과학을 위한 수학이라는 책이 있는 게 아니다.
- ↑ 사실 2000년대 이전 서울대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대학에서 약대의 입결이 화학과의 그것을 쳐발랐으나 본문서에서는 지극히 선비적인 관점을 견지한다.
- ↑ 물리약학으로 부른다.
- ↑ 유기화학을 깊게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주요 유기약물을 heterocycle별로 분류하여 구조와 합성 scheme 암기
- ↑ 그러나 그딴 폭풍암기과목을 국가면허시험에 대비해 가르치는 교수들도 거의 미국 유학파기 때문에 화학과 교수와 똑같이 대학원생들과 연구하여 JACS등에 투고하려고 노력한다.
- ↑ 환경위생, 식품위생등
- ↑ 여기서 말하는 기초의학이란 초보적인 수준의 의학을 말하는 게 아니고 기초의학+임상의학으로 구성되는 의학 중에서의 기초의학부문을 말한다. 따라서 임상의학에 해당하는 내과학이나 정신과학같은 임상과목들은 약대에서 가르치지 않는다.
- ↑ 그렇다면 정신과학을 배우지도 않고 약사들은 어떻게 정신과의사의 약처방을 평가하고 감사하는가? 못한다.
- ↑ pharmacology를 의대에선 약리학이라 부르고 약대에선 약물학이라 부른다. 제약회사에 관심있는 화학과 학생이라면 교과서를 한번 훑어보는 것 추천. 폭풍암기과목이다.
- ↑ 의대 본과에서는 일반적으로 1학년과 2학년에 걸쳐서 배우는 과목들이다.
- ↑ 국내 법규상 제약공장에서는 품질관리(QC)와 생산관리 책임자 각 1인씩의 약사를 의무고용해한다. 물론 약사들은 본사의 마케팅과 인허가관련 조직에도 많이 근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