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제펭귄(이나즈마 일레븐 시리즈)

황제펭귄 시리즈는 이나즈마 일레븐의 슛 계통 필살기이다.

1 개요

키도 유우토를 비롯한 제국 학원의 멤버들이 사용하는 슛. 1호와 2호가 있는데, 개발자는 1호는 카게야마 레이지, 2호는 키도이다. 게임 3편에서는 키도 유우토를 중심으로 3호를 구사한다.

기술의 이름 그대로 펭귄들이 나타나 이타노 서커스를 펼치는, 처음 보는 순간은 뿜을 수 밖에 없는, 어떻게 봐도 개그라고 볼 수 밖에 없는 기술.

…그러나, 이 기술은 겉보기와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위력을 지닌 시리즈 전통의 최강급 슛 계통 필살기이다.개그 슛 주제에!!

게임상 위력은 2호 < 1호 = 분신 = X < 스페이스 < 3호 순이다.

2 황제펭귄 1호


皇帝ペンギン1号. 게임판
위력 99 / 소모TP 58 / 속성 林 / 성장속도 느림 / 궁극오의

게임 2편부터 등장. 카게야마 레이지가 만들어낸 금단의 필살기. 이미지 칼라는 빨강. 사용자는 사쿠마 지로. 위력은 99으로 꽤 강력하며, 2편에서는 최강의 슛 중 하나다.[1]

황제펭귄 2호를 뛰어넘는 위력을 지녔지만, 선수의 생명 따위 아웃 오브 안중인 카게야마가 만들어낸 슛 답게 쓰는 사람이 받는 타격이 너무 커서 기어이 봉인당하는 지경에 이르고야 말았다. 한 시합 중에 3번 이상 사용하면 사용자가 다시는 축구를 할 수 없는 몸이 될 정도. 연출부터가 이미 소환된 펭귄이 사용자의 다리를 문 상태에서[2] 슛을 날리는 연출이며, 애니판을 잘 보면 다리를 무는 2번째 펭귄을 통해 이빨로 물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펭귄의 얼굴이 황제펭귄 2호보다 훨씬 험악한 건 덤.

나중에 카게야마의 꼬드김에 넘어가 진 제국 학원에 들어간 사쿠마 지로가 3번 연속으로 사용했다가 시합 끝나고 장기간 리타이어했다.

3 황제펭귄 2호


皇帝ペンギン2号. 게임판
위력 86 / 소모TP 52 / 속성 林 / 성장속도 빠름 / 3인 합체기

게임 1편부터 등장. 황제펭귄 1호의 위험성을 경계하여, 키도 유우토가 새로 만들어낸 개량형 슛. 이미지 칼라는 파랑. 게임 내 위력은 86으로 그럭저럭 쓸만하며, 1편에서는 최강의 슛 중 하나였다. 게임에서는 사쿠마 지로의 전용 슛기술이지만, 정작 애니에서는 키도 유우토가 사용한다. 파트너는, 제국 학원에선 사쿠마 지로와 지몬 다이키, 라이몬중에선 이치노세 카즈야고엔지 슈야(고엔지가 없을땐 소메오카 류고)가 맡았다. 127화에서는 키도 유우토, 이치노세 카즈야, 후부키 시로가 사용했고, 이나즈마 일레븐 GO극장판에서는 키도 유우토, 카제마루 이치로타, 후도 아키오가 사용했다.

이쪽은 셋이서 쓰는 합체 필살기로 혼자서 발사하기에 시전자의 부담이 큰 황제펭귄 1호와는 달리 위력은 조금 약하지만, 셋이서 사용하기 때문에 부담이 1/3으로 줄어들어 더 안정적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것도 부담이 상당히 큰지라 한 시합 내에서 여러번 쓰기는 힘들다. 이 기술을 쓰느라 키도는 다리에 부상을 입어 한동안 시합에 나갈 수 없었다.[3] 그밖에 애니에서는 엔도 마모루갓 핸드를 뚫기 위해 만들었다는 설정이 추가되었다. 참고로 데스 존과 위력, 속성 모두 똑같다.

하나 더, 이나즈마 일레븐 GO에서는 키노 아키가 감독으로 있는 '가을하늘 챌린저즈'의 멤버들도 사용한다!!

그리고 이나즈마 일레븐 GO 갤럭시에서는 창시자인 카게야마, 즉 쿠로이와 류세이가 직접 시전했다!

4 황제펭귄 3호


皇帝ペンギン3号. 게임판
위력 113 / 소모TP 64 / 속성 林 / 성장속도 보통 / 3인 합체기 / 궁극오의

게임 3편에서 키도 유우토가 익히는 합체 필살기. 이미지 칼라는 보라. 1호의 위력과 2호의 안정성을 합친 기술. 사용자는 키도 유우토, 파트너는 후도 아키오사쿠마 지로. 위력은 113으로 다시는 개그슛을 무시하지 마라 펭귄 시리즈 중 최강이다. 다만 숲속성이라 키도의 속성 보정은 못 받는다.

연출은 공중으로 뛰어오른 상태에서 키도가 휘파람을 불어 펭귄을 부르고 키도, 사쿠마, 후도가 공중에서 펭귄과 같이 공중에서 빙빙 돌다가 동시에 공을 참으로써 슛을 날린다. 왠지 데스 존의 연출이랑 비슷하다. 애니판에서 처음에 키도와 후도가 몰래 익히고 있었으나 그 위력이 부족했었고, 사쿠마의 높이가 부족하다는 말에 깨달음을 얻은 후에 마침내 완성시켰다. 팀K오르페우스와의 대표 결정전에서 첫등장하며, 데모니오 스트라다가 황제펭귄 X로 반격을 하려고 했으나 오히려 같이 튕겨날아가면서 골인, 팀K를 꺾고 오르페우스 팀을 승리로 이끌어줬다.

이번에 와이파이로 비전서를 배포한다고 한다. 배포일은 아마도 10/1~10/21,10/22~11/4일 사쿠마에게 가르치면 좋을 듯.

5 황제펭귄 X

皇帝ペンギン X. 영상 게임판
위력 99 / 소모TP 58 / 속성 火 / 성장속도 느림

게임 3편부터 등장. 팀K의 주장 데모니오 스트라다가 사용한다. 이미지 칼라는 검정. 연출은 황제 펭귄 1호와 비슷하고 위력도 1호와 똑같다. 그래서인지 1호처럼 사용자에게 되돌아오는 부담이 꽤나 큰 모양. 화속성의 슛으로 위력은 99로 준수한 편.

그런데 애니판에서는 1호를 써 본 사쿠마가 위력은 1호 이상이라고 언급한다. 그런데 데모니오는 이 기술을 3번이나 사용하고도 멀쩡했다. 데모니오 왈, "미완성 기술과 똑같이 취급하지 마라." 즉, 애니판 한정으로 황제펭귄 1호의 완성형'. 실상은 궁극오의도 아니라 1호보다 약하다.

참고로 애니에서 황제펭귄 1호는 펭귄이 이빨로 시전자의 다리를 무는데, 황제펭귄 X를 보면 펭귄의 이빨을 붉은색으로 칠해놨다.

6 스페이스 펭귄


スペースペンギン. 게임판
위력 106 / 소모TP 61 / 속성 風 / 성장속도 빠름 / 3인 합체기

이제는 우주까지 진출한 펭귄들. 2편에서 등장했다. 이미지 칼라는 초록색. 우주복을 입고있다. 역시 외계인. 사용자는 더 제네시스울비다. 파트너는 그란위즈. 게임 내 위력은 106으로 펭귄 시리즈 중 두번째로 강력하며, 2편에서는 황제 펭귄 1호와 마찬가지로 최강의 슛 중 하나였다. 게임 3편에선 사쿠마 지로가 자력기로 습득한다.

시전자가 밑에서 공과 우주복을 입은 펭귄들을 위로 올리면 그걸 파트너 2명이 받아서 황제펭귄 2호처럼 양쪽에서 슛을 날린다. 2호와 같은 합체기라 그런지 레퍼토리가 비슷하다. 명실상부 더 제네시스의 최강의 필살기로, 리미트 해제까지 한 상태에서 사용하여 타치무카이 유우키무한 더 핸드 G3를 바른다. 하지만 경기 종료 직전, 무한 더 핸드가 G4로 진화하면서 결국 막히고 만다.

7 분신 펭귄

ぶんしんペンギン. 게임판
위력 99 / 소모TP 58 / 속성 林 / 성장속도 보통

게임 3편 중 봄버 편에만 등장하는 스킬. 애니메이션에선 미등장. 원래 3명이 쓰는 황제 펭귄 2호를 혼자서 분신 둘을 만들어 쓰는 개그 슛 기술. 참고로 스파크 편에는 이에 대응되는 분신 데스존(...)이 나온다. 위력은 99로 개그 슛 주제에 황제펭귄 1호의 위력과 똑같다.

8 황제펭귄 7

皇帝ペンギン 7.
등장 작품은 이나즈마 일레븐 GO.전통은 이어진다!
제국 학원의 주장 미카도 하루마가 사용하며, 7가지 무지개 색의 펭귄들이 나타나서 이타노 서커스를 펼친다. 시전자시드여서 그런지 어쩐진 모르겠지만 미카도는 이 기술을 사용하고도 별 타격은 받지 않은 듯한 모습이었다. 그런데 이 슛, 이나즈마 일레븐 GO 에선 분명히 니시조노를 무시해버리고 버닝 캐치를 뚫을 정도로 강력했는데, 갤럭시에선 초보 키버 이부키에게 맨손으로 막혔다(...).

9 펭귄 더 핸드

ペンギン・ザ・ハンド
갓핸드와 황제 펭귄 1호를 믹스해서 만든 기술. 속성은 무(無)속성이다.

사용자는 메카 엔도.

  1. 스페이스 펭귄의 위력이 106으로 더 높지만, 궁극오의이기 때문에 G5까지 성장시키면 진 스페이스 펭귄과 위력이 같다.
  2. 게임에선 몸 주변을 돌면서 온 몸을 쪼다가 다리를 문다. 저건 확실히 아프지 않을까?
  3. 사실 정확히 설명하자면 황제 펭귄 2호가 처음 등장하기 이전에 고엔지의 태클 경합으로 인해 다리에 부상을 입는 바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