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송

回送 / Out of Service, Not in Service, Forwarding[1][2]
만국 공통의 행선지

1 개요

철도 운용에 있어서 여러 가지 상황 혹은 필요에 의해 차량을 공차 상태로 목적지까지 운행하는 것을 지칭한다. 비슷한 뉘앙스로 버스 동호인 쪽에서 공차회송이라는 용어를 쓰고 있는데 영업운전을 하지 않으면서 목적지까지 스스로 이동한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철도의 자력회송에 대응하는 용어로 볼 수 있다.

회송은 일단 비영업 운전이고 분명히 목적지가 정해져 있다는 점에서는 시운전과 유사하지만, 시운전은 목적지까지 "가는 것"을 언급하는 말이고 회송은 "목적지까지" 가는 것을 언급하는 말이라는 아주 미묘한 차이가 있다. 하지만 열차를 기다리는 승객들에게는 둘 다 문 안열어주는 열차라는 똑같은 의미로 다가온다.(...)

2 자력회송

(55초경에 나온다)

신분당선 열차의 회송 모습. 참고로 이 동영상을 촬영한 곳은 분당선 죽전역이다.[3]

기관차 등을 활용한 어떠한 도움도 받지 않고 차량 스스로 목적지까지 공차로 운행하는 것을 지칭한다. 모든 철도차량이 스스로 움직여서 회송한다면 이에 해당되며, 짧게는 인상선을 한번 올라갔다 내려오는 것부터 시작해서 길게는 수십, 수백 키로미터를 달려가기도 한다. 일반적인 다이어그램 운용에서 일어나는 거의 대부분의 회송은 이 범주에 들어간다고 보면 된다. 행선지에 회송을 띄우고 승강장으로 들어오면서 열차를 기다리고 있는 승객을 능욕하는 경우가 열이면 열이다.(...) 독립문역 출발/종착 첫차/막차가 이런 경우다. 바로 앞에 있는 유치선을 놔두고 독립문역 종착 열차는 운행을 마친 후 지축차량사업소로 회송해 버린다....[4]

3 갑종회송

이 문단은 갑종회송(으)로 검색해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신차의 갑종회송 모습.

뉴욕 지하철 신차의 갑종회송 모습.

넓게 보면 무화회송의 범주에 포함되며, 신차 출고 등이 이루어질때 갑종회송 떴다 라는 식으로 표현하는데, 현업에서 쓰는 용어가 아니라 일본 철도 동호인들의 용어를 그대로 가져다 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갑종철도차량'과 '을종철도차량'은 한국철도공사의 규정(화물운송세칙)에 각각 '자기 차륜의 회전에 의해 운송하는 것'과 '차체를 포함 화차에 적재하여 운송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는 정식 용어이다. 물론 철도청 시절에 일본의 용어를 그대로 수입해다 쓴 것.

보통 기관차에 물려 목적지까지 회송하는데, 이 경우 회송되는 열차는 제작사에서 철도회사에 인수인계 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철도차량이 아니라 화물, 즉 그냥 엄청비싼 고철덩어리로 분류되며, 따라서 회송열차 뒤에는 화차에서 쓰이는 후부표지등[5]을 매달고 간다.

일본 동호인계에서는 갑종회송(甲種回送)이라는 용어 대신 배급회송(配給回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열차를 편성 째로 기관차에 묶어 다른 차량센터 등지로 회송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4 을종회송

이 문단은 을종회송(으)로 검색해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유로스타 e320의 을종회송 모습.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전동차의 을종회송 모습.
철로를 활용하는 갑종회송과는 달리 신차를 트레일러 등 타 교통수단에 실어 목적지까지 회송하는 경우. 물론 철로를 이용해도 수송되는 차량이 자기 바퀴로 굴러가지 않고 통째로 화차에 실려버리면 여기에 해당된다. 사실 을종회송(乙種回送)이라는 단어 자체가 동호인 계에서 실제로 사용되는지, 의미가 맞는지조차 모호한 단어이기 때문에 사용이 적절한가에 대한 논란은 있다.[6]탁송회송이라고도 부른다.

타 교통수단을 이용해 운송하기 위해서는 크레인을 이용한 하역 작업이 필수이기에, 그만큼 갑종회송에 비해 안전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제법 있다. 하역작업을 하다가 잘못되면, 이러한 안습상황이 발생하기도 한다.

5 무화회송

회송, 그 중에서도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동력차량을 자력으로 회송하지 않거나 화차, 객차 등의 회송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디젤기관차 및 디젤동차의 경우 엔진의 시동을 켜지 않고, 전기기관차 및 전기동차의 경우 팬터그래프를 올리지 않고 목적지까지 회송할 경우 무화회송이라고 한다. 객차나 화차를 회송할 때에도 무화회송이라고 지칭한다. 다만 무화회송의 범주에 포함되더라도 기관차와 회송당하는 열차의 보유회사가 다른 경우에는 갑종회송/화물로 분류한다.
  1. 하지만 이 표현은 국가마다 조금씩 다르다. Not in Service의 경우 회송이라는 말을 간접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직역할 경우 봉사하지 않음(...) 정도로 이해할 수 있다. 주로 신칸센 등 일본 철도쪽에서 사용하는 표현이며, Forwarding은 한국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회송을 아예 대놓고 직설적으로 쓴 단어이다.
  2. 최근 Forwarding과 같은 한국에서 쓰는 회송표현이 문법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한번씩 제기되고 있다.
  3. 동영상 촬영 당시 분당차량사업소에서 신분당선 차량을 위탁 관리하고 있었다. 이때 당시 시종착역인 정자역에서 이 역까지는 분당선의 선로를 이용하여 회송하는 것이다. 현재는 광교차량사업소로 모두 이전했다.
  4. 이 경우에는 수도권 전철 1호선도 해당사항이 있다. 서울메트로에서 운행하는 서울역발 열차는 동묘앞~시청 무정차 통과이니 이용에 착오없기 바란다. (그 반대인 주말 막차 서울역행(소요산방향)도 역시 서울역에서 주박을 하지 않고 군자차량기지까지 회송한다.)
  5. 말 그대로 열차의 등짝후미를 알려주는 등(lamp)이다. 이해가 안간다면. 컨테이너 열차가 지나가거나 대피한다고 서 있을때 한번 유심히 봐라. 평판차의 형태에 따라 맨 끝부분 수송원들이 잡고 다니는 난간 부분에 원통 모양으로 생긴 무언가가 매달려있는 것을 볼수있다. 전동차 갑종회송같은 경우 전동차 운전실문쪽에 매달고 다니는게 기본.
  6. 구글에 乙種回送을 검색하면 트레일러에 열차가 실린 사진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의미는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