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2년 설계 경량 함대 항공모함

제2차 세계대전기의 영국 해군 군함
구축함A급, B급, C. D급, E, F급, G, H급, I급, 트라이벌급, J, K, N급, 헌트급, L, M급, O, P급, Q, R급, S, T급, U, V급, W, Z급, C급, 배틀급, 웨폰급A, 데어링급A
잠수함U급 잠수함, V급 잠수함, X급 잠수함, HMS X1, P611급, S급 잠수함, T급 잠수함, 그램퍼스급, 암피온급, 리버급, 레인보우급, 파르티안급, 오딘급, L급 잠수함, A급 잠수함, B급 잠수함, C급 잠수함, D급 잠수함, E급 잠수함, M급 잠수함
경순양함C급, D급, E급, 리앤더급, 엠피온급, 아레투사급, 사우스햄튼급, 글로스터급, 에든버러급, 다이도급, 드라군급, 크라운 콜로니급, 실론급,미노타우르스급
중순양함호킨스급, 카운티급(켄트급, 런던급, 노포크급), 요크급
순양전함리나운급, 어드미럴급, J3급, G3급, K3급
전함아이언 듀크급, 퀸 엘리자베스급, 리벤지급, N3급, L3급, 넬슨급, 킹 조지 5세급, 라이온급, 뱅가드A
호위항공모함오더시티, 액티비티, 나이라너급, 아처, 어벤저급, 어태커급, 룰러급, 프레토리아 캐슬
경항공모함유니콘급, 1942년 설계 경량 함대 항공모함
정규항공모함허미스, 이글급, 커레이저스급, 아크로열, 일러스트리어스급, 임플래커블급, 오데이셔급A, 하버쿡, 몰타급
취소선: 실제로 건조되지 못한 함선, 윗첨자A: 전후 완공된 함선

{{틀:해상병기 둘러보기}}

해상병기 둘러보기
1차 세계대전
미국 독일 제국
러시아 제국 영국
2차 세계대전
미국 일본 제국
영국 나치 독일
소련 이탈리아 왕국
폴란드 프랑스
스웨덴 핀란드
중화민국 만주국
냉전
소련 동독
현대전
미국 일본
대한민국 인도
중화민국 러시아
영국 중국
프랑스 태국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호주
북한
영국 항공모함의 계보
정규항공모함
아거스급>>허미즈급>>커레이저스급>>아크로열급>>
최초의 항공모함처음부터 항모로 설계순양함→항공모함최초 갑판 일체화 설계
일러스트리어스급>>임플래커블급>>오데이셔스급>>몰타급>>
장갑항모장갑항모장갑항모1943년 계획, 취소됨
CVA-01급>>퀸 엘리자베스급
1963년 계획, 취소됨스키점프 방식
경항공모함호위항공모함
호위항공모함
오더시티>>액티비티급>>나이라나급>>롱 아일랜드급>>
노획한 상선을 개조미국에서 건조
어벤저급>>어태커급>>룰러급
랜드리스승계함정 없음
경항공모함
콜러서스급>>마제스틱급>>센타우르급 항공모함>>인빈시블급
1942년 설계 경량 함대 항공모함콜로서스급의 소폭 개량형세계 최초의 VTOL 경항모

1942 Design Light Fleet Carrier/British Light Fleet Carrier[1]

1 개요

1942년 설계 경량 함대 항공모함은 흔히 영국 경량 함대 항공모함으로 불리는 경항공모함으로 2차 대전동안 영국 해군에 의해서 설계되었다. 16척이 계획되어서 취소된 1척을 제외한 15척이 완성되었다. 이들은 8개국 해군에 의해서 1944년부터 2001년까지 운용되었다.

2 제원[2]

기준배수량13,200톤/15,750톤
만재배수량18,000톤/19,500 톤
길이 (비행갑판)210m
길이 (선체)212m
24m
흘수선5.64m/5.94m
장갑주장갑 4인치
주 갑판 4인치
격벽 2 ~ 4인치
추진방식2축 프로펠러
기관출력보일러 4기, 40,000 shp
속도25노트
항속거리12,000 nmi (22,000 km, 14,000 mi)
14노트 기준
승무원1,050명
무장2파운드 4연장포 6기, 20mm 2연장 오리콘 기관포 16기[3]/40mm 보포스 기관포 30문[4]
탑재 항공기수52대 이상

3 설계[5]

2차 세계대전초기, 특히 노르웨이 전역에서의 전훈은 영국 해군에게 함대의 상공을 지키기 위해서는 대공포로는 충분한 효과을 얻을 수 없으며 효과적인 방공을 위해서는 항공모함에서 운용하는 고성능 함재기가 필요하다는 교훈을 주었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 영국은 이미 2척의 항공모함(글로리어스, 커레이저스)을 상실한 상태였다. 이에 처음으로 한 생각은 전함이 전투기를 직접 들고 다니자는 항공전함을 연상하게 하는 것으로 1940년 10월에 킹 조지 5세급 전함에 전투기를 탑재하는 제안이 제시되었던 것이다. 그러나 신형 전함을 항공전함으로 개조하는것은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들어가며 주포의 숫자도 감소한다는 결론이 나왔기에 거부되었다.[6] 그 다음으로 나온것이 일명 '항공 구축함'으로 대략 1만톤의 배수량에 12기의 항공기를 탑재하고 구축함이나 어뢰정과 싸울 주포를 탑재하는 제안이었다. 이 제안은 해군건설국장(Director of Naval Construction, DNC)를 포함한 어느 누구도 만족시키지 못했다. 이후 구식 순양함의 함체를 개조해서 항공모함으로 써먹자는 제안이 나왔으나 이 또한 시간과 비용이 너무 소요되고 성능도 제한적이라는 이유로 기각되고 저렴하고 경량이며 경무장에 장갑은 거의 갖추지 않은 새로운 설계의 항공모함을 건조하는 방향으로 결론이 난다.

해군건설국장항공모함의 대략적인 설계는 1942년 1월 14일에 완성되었다. 이 설계는 600피트의 길이의 비행갑판, 14피트 6인치 높이의 격납고와 45x34피트의 엘리베이터 2기를 가지고 있었으며 15,000 파운드의 항공기 50기를 수송할 수 있었다. 대공 화기로는 4인치 연장포 2기와 4기의 4연장 폼폼 포 그리고 오리콘 기관포를 가지고 있었으며 속력은 25노트로 예상되었다. 건조에 필요한 기간은 21개월로 예상되었으며 공식적으로는 'woolworth carrier'로 묘사되었다.[7] 이 설계는 4인치 대공포를 제거하고 차세대 고성능 항공기를 운용하기 위해서 비행갑판을 연장하는 변경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무렵 DNC는 다른 업무로 너무 바빠서 설계는 함선 설계에 경험이 풍부했던 빅커즈 사에게 넘어가게 된다. 빅커즈사의 처음 설계는 1942년 1월 23일에 체출되었으며 격납고의 높이가 17피트 6인치로 변경된것을 포함한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졌다. 이무렵 해군성과 빅커즈사는 건조일정을 두고 갈등을 빚었는데 해군성의 요구는 21개월이었지만 빅커즈는 27개월은 필요하다고 맞섰고 결국 24개월로 타협을 하게 된다.

4 함급

4.1 콜로서스급 항공모함

1942년에서 1943년 사이에 설계되어 총 16척이 계획되었다. 초기계획은 각 항공모함이 21개월이면 취역이 가능할것으로 보았으나 중간에 설계의 변경등이 원인이 되어 27개월이 걸렸다. 1943년 하반기부터 완공되기 시작하여 1944년 12월부터 취역하기 시작했다. 2차 대전동안 4척만이 취역하였으며 8척까지 건조되고 나머지는 수리모함으로 건도된 2척을 제외하고는 전부 취소된다.

4.2 마제스틱급 항공모함

본래라면 콜러서스급이 되었어야할 함체 6개가 남아있었고 더 빠르고 무거운 항공기를 운용하기위한 설비가 추가되고 갑판을 보강했다. 2차 대전이 끝나기전에 5척이 완공되었고 종전이후 1척이 추가로 취역한다.
  1. 정식명칭/통칭이다.
  2. 두 함급에서 차이가 있는 경우 콜러서스급/마제스틱급으로 표기.
  3. 이후 모든 대공화기기 40mm 보포스 기관포로 대체됨.
  4. 2연장포 6+단장포 18
  5. 이 문단은 British Aircraft Carriers: Design, Development & Service Histories, Nelson to Vanguard: Warship Design and Development 1923 1945 를 참고함.
  6. 추가적으로 항공전함으로 구성된 함대는 항공모함+전함으로 구성된 함대와 비교해서 배수량 대비 항공기 탑재량은 확실히 밀리고 주포의 경우에도 우세를 잡을 수 없을것으로 예상되었다.
  7. woolworth carrier는 영국 해군에서 호위항공모함을 부르는 별칭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