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스트리어스급 항공모함

제2차 세계대전기의 영국 해군 군함
구축함A급, B급, C. D급, E, F급, G, H급, I급, 트라이벌급, J, K, N급, 헌트급, L, M급, O, P급, Q, R급, S, T급, U, V급, W, Z급, C급, 배틀급, 웨폰급A, 데어링급A
잠수함U급 잠수함, V급 잠수함, X급 잠수함, HMS X1, P611급, S급 잠수함, T급 잠수함, 그램퍼스급, 암피온급, 리버급, 레인보우급, 파르티안급, 오딘급, L급 잠수함, A급 잠수함, B급 잠수함, C급 잠수함, D급 잠수함, E급 잠수함, M급 잠수함
경순양함C급, D급, E급, 리앤더급, 엠피온급, 아레투사급, 사우스햄튼급, 글로스터급, 에든버러급, 다이도급, 드라군급, 크라운 콜로니급, 실론급,미노타우르스급
중순양함호킨스급, 카운티급(켄트급, 런던급, 노포크급), 요크급
순양전함리나운급, 어드미럴급, J3급, G3급, K3급
전함아이언 듀크급, 퀸 엘리자베스급, 리벤지급, N3급, L3급, 넬슨급, 킹 조지 5세급, 라이온급, 뱅가드A
호위항공모함오더시티, 액티비티, 나이라너급, 아처, 어벤저급, 어태커급, 룰러급, 프레토리아 캐슬
경항공모함유니콘급, 1942년 설계 경량 함대 항공모함
정규항공모함허미스, 이글급, 커레이저스급, 아크로열, 일러스트리어스급, 임플래커블급, 오데이셔급A, 하버쿡, 몰타급
취소선: 실제로 건조되지 못한 함선, 윗첨자A: 전후 완공된 함선

{{틀:해상병기 둘러보기}}

해상병기 둘러보기
1차 세계대전
미국 독일 제국
러시아 제국 영국
2차 세계대전
미국 일본 제국
영국 나치 독일
소련 이탈리아 왕국
폴란드 프랑스
스웨덴 핀란드
중화민국 만주국
냉전
소련 동독
현대전
미국 일본
대한민국 인도
중화민국 러시아
영국 중국
프랑스 태국
독일 이탈리아
스페인 호주
북한




400px
Illustrious class aircraft carrier

영국 항공모함의 계보
정규항공모함
아거스급>>허미즈급>>커레이저스급>>아크로열급>>
최초의 항공모함처음부터 항모로 설계순양함→항공모함최초 갑판 일체화 설계
일러스트리어스급>>임플래커블급>>오데이셔스급>>몰타급>>
장갑항모장갑항모장갑항모1943년 계획, 취소됨
CVA-01급>>퀸 엘리자베스급
1963년 계획, 취소됨스키점프 방식
경항공모함호위항공모함
호위항공모함
오더시티>>액티비티급>>나이라나급>>롱 아일랜드급>>
노획한 상선을 개조미국에서 건조
어벤저급>>어태커급>>룰러급
랜드리스승계함정 없음
경항공모함
콜러서스급>>마제스틱급>>센타우르급 항공모함>>인빈시블급
1942년 설계 경량 함대 항공모함콜로서스급의 소폭 개량형세계 최초의 VTOL 경항모

1 개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 해군의 주력 항모이며 본격적으로 비행갑판이 장갑화된 항모이었다.

2 제원

함급 제원
급명일러스트리어스급 항공모함
승계 함정아크 로열급 항공모함
후계 함정임플래커블급 항공모함
기준배수량23,207톤
만재배수량28,919톤
전장740 ft (230 m)
전폭95.75 ft (29.18 m)
흘수선28 ft(8.5 m)
장갑현측 : 4.5인치, 비행갑판 3인치, 격납고면 4.5인치
보일러Admiralty 3-drum 6기
터빈Parsons기어드터빈 3기 3축
출력111,000 마력
최고속도30.5노트
무장QF 4.5인치 양용포 16문
QF 2파운드 기관포 40문
40 mm 보포스 기관포 3문
20 mm 오리콘 기관포 52문
함재기36기~55기[1]
자매함포미더블, 빅토리어스, 인도미터블

3 함선 일람

함명이 전부 형용사다. 다음급도 그렇다

함명기공취역퇴역
일러스트리어스(HMS Illustrious, R87, 걸출한)1937년 4월 27일1940년 5월 25일1954년
포미더블(HMS Formidable, R67, 강력한)1937년 6월 17일1940년 11월 24일1947년
빅토리어스(HMS Victorious, R38, 승전의)1937년 5월 4일1941년 5월 14일1968년
인도미터블(HMS Indomitable, R92, 불굴의)[2]1937년 11월10일1941년 10월10일1953년

4 영국 해군의 주력 항모

4.1 배경

1918년도에 아거스(HMS Argus, I49)를 취역시키면서 세계 최초로 현대 항모의 표준을 보여준 영국이었지만 제2차 세계대전 개전 시기 쯤에 가면 아크 로열(HMS Ark Royal, 91)을 뺀 나머지 항모들은 구식화 되어가고 있었기에 영국 해군은 새로운 항모를 필요로 했고 그에 따라 등장한 것이 일러스트리어스급이었다.

4.2 특징

영국 해군의 항공모함은 북대서양 혹은 대서양에서 활동할 것이 상정되었는데, 이 해역에서는 함대가 지상발진 항공기의 위협을 받을 가능성이 컸다. 이 경우 지상발진 항공기는 일반적인 함재기가 탑재하는 폭탄보다 더 무거운 폭탄을 싣고 올 경우가 컸으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해 갑판을 장갑화하고 대공화기를 증강한다는 컨셉으로 개발된 것이 본 함급이다.

4.2.1 장갑갑판

일러스트리어스급의 핵심적인 요소인데, 실제로 이 3인치짜리 장갑갑판은 일러스트리어스급의 상징으로써 전쟁기간 동안 일러스트리어스급이 단 한척도 격침되지 않는데에 큰 역할을 했다. 물론 이에 따른 항해안정성의 하락, 갑판 수리의 난해함과 같은 단점[3]도 있었지만 그래도 몰타 항공전 당시 슈투카에게 폭탄 지근 5발, 명중 6발을 맞고 견뎌낸 일러스트리어스나 카미카제에 충돌하고도 큰 손상이 없었던 빅토리어스 등 일러스트리어스급의 명성을 퍼트리는데 큰 역할을 한 요소.

그러나 이 장갑갑판에 대해서는 다소 평가가 엇갈린다

  • 우선 장갑갑판에 의한 무게중심의 상승등이 문제가 되어 비슷한 시기에 활동한 타국의 항공모함보다 함재기 숫자가 부족한 편이었다. 심지어 1번함인 일러스트리어스의 함재기는 경항모 수준인36대였으며[4] 다른 자매함들도 55대 이하의 함재기만을 적재할 수 있었다. 비슷한 시기에 활동한 요크타운급 항공모함이나 쇼카쿠급 항공모함이 80대 이상의 함재기를 운용할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상당히 차이가 있는셈이다. 그런 이유로 장갑갑판을 포기하고 함재기의 숫자를 늘리는게 더 좋았을것이라는 평가도 있다. 태평양 전쟁 당시 항모 기동부대 간 항공전에서는 함재기가 수십 기씩 갈려나가는 전투도 흔했다. 그런 상황에서 함재기의 부족은 치명적이다.[5] 항모가 아무리 튼튼해봐야 함재기가 없다면 즈이카쿠마냥 미끼 이외에는 할 수 있는 역할이 없다. 더군다나 일러스트리어스가 명중탄 6발을 맞고도 버텼다는 말은 바꿔 말하면 상대가 6발을 맞출 기회를 주었다는 것이다. 함재기가 넉넉해서 방공담당 요격기가 충분했다면 경우가 달랐을 것이라는 말도 된다. 요컨데, 캐리어 방업 백날 찍어봐야 인터셉터 4기 업글 안하면 멍텅구리인 것과 마찬가지라는 것. 당장 요크타운급 항공모함들의 활약을 보면 장갑 갑판은 아니었지만 다수의 함재기를 운용하여 상대를 압박할 수 있었고 유사시에는 넉넉한 탑재량을 바탕으로 동료 항모가 여의치 않으면 대신 함재기를 수용해 주었다. 뿐만 아니라 갑판에 폭탄 한두 발쯤 얻어맞아도 엘레베이터만 멀쩡하다면 승무원들의 대처로 빠르게 제 기능을 회복하는 경우도 비교적 흔했다.[6] 따라서 현재의 항모처럼 우월한 배수량을 확보할 수 없었던 당시로서는 갑판의 장갑화보다 함재기의 수량 확보를 더 신경쓰는 편이 나을 수도 있었다는 것이다.[7] 이 함재기 부족 문제는 다음 함급인 임플래커블급 항공모함에서 어느 정도 해결된다.하지만 그때 미국은 에식스급을 찍어내고 있었다.

단 태평양 등의 원양에서의 작전을 기본으로 한 미국 등 타국의 해군과 달리 영국 해군은 좁은 지중해에서의 작전을 고려해야 했고 이 경우에는 적의 육상 비행장과 함대의 거리가 대양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만큼 짧아지므로 함재기가 요격에 나설 시간이 짧아, 필리핀 해 해전마냥 칠면조 사냥이 아닌 다음에야 함재기 수에 상관 없이 어차피 항모가 공격당하긴 마찬가지라 자체 방어력에 중점을 둔 점도 감안해야 한다.

  • 이 장갑갑판이 충격이 용골까지 그대로 전달되어서 함 자체의 수명에도 악영향을 준다는 이야기도 있다. 실제로 일러스트리어스급 4척중 3척은 1955년 이전에 퇴역했으며 포미더블은 1947년에 퇴역했다. 빅토리어스만이 1968년까이 운용되었으며 후계함인 임플래커블급 항공모함도 1955년에 전부 퇴역하는등 영국의 항공모함들은 대부분 퇴역이 빠른 편이었는데 에식스급중 가장 오래 운용한 함정이 1991년까지 운용한것과는 대조적이다. 하지만 이에 대해서 장갑갑판을 갖춘건 전함등도 마찮가지인데 항공모함이라고 특별히 수명이 크게 단축되지는 않으며 영국 항모들이 빠르게 퇴역한것은 종전후 영국군이 대대적으로 감축했기 때문이라고 보기도 한다.일단 종전후 영국군이 대대적으로 감축된것은 사실이며 임플래커블급 항공모함의 경우에는 제트기를 운용하기에는 격납고가 너무 협소해서 개장이 고려되었으나 비용문제로 퇴역했다. 이후 미국도 장갑갑판을 도입한것을 생각하면 수명에 악영향을 준다고 해도 감당할만한 수준인듯 하다.

4.3 활동

영국 해군의 주력항모답게 많은 지역에서 작전을 펼쳤다.

  • 일러스트리어스 : 이글과 함께 타란토 공습에 참전하였다. 지중해에서 몰타 항공전에 참전하였으며 독일군의 공습등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나 살아남았다.
  • 빅토리어스 : 비스마르크 추격전에 참여하였으나 별다른 성과는 없었다. 잠깐동안 미 해군에게 대여되어 로빈이라는 이름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이후 영국 태평양 함대에 편성되어서 오키나와 전투일본 본토 공습에 참여했다. 대대적인 개장을 받고 경사갑판으로 바뀌었으며 드 해빌랜드 시빅슨블랙번 버캐니어를 운용하기도 했다.
  • 포미더블 : 인도미터블과 함께 실론 해전이 벌어졌을때 있었으나 별 다른 성과는 없었다. 지중해에서 활동 중 폭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나 버티어냈다.
  • 인도미터블 : 동양함대에 소속되어 작전을 수행할 예정이었으나 암초를 들이받아서 수리를 받으러 가게되고 그 사이에 말레이 해전이 벌어진다. 그후 실론 해전당시에도 인도양에 있었으나 별 다른 성과는 없었다. 지중해에서 몰타 항공전에 참전하였으며 독일군의 공습등으로 큰 피해를 입었으나 살아남았다.

1944년에 영국 태평양 함대가 편성되었을때 4척 모두 해당 함대에 편성되어서 작전을 수행하였다.

5 기타

  • 빅토리어스는 후계함인 임플래커블급 항공모함이 퇴역한 이후에도 현역에 남아서 활동했다.
  • 일러스트리어스라는 이름은 후에 인빈시블급 경항공모함에 계승된다.함재기 적은것도 똑같다.
  • 포미더블은 진수식 직전 거치목이 부러지면서 스스로 선대를 벗어나 진수되었다.(...) 이 와중에 생긴 파편을 맞고 관람객 1명이 사망하고 20명이 다치는 사고는 덤. 하여튼 이러한 일화로 인해 붙은 별명이 '스스로를 진수한 바로 그 배'(The ship that launched herself).

6 외부 링크

wikipedia:Illustrious class aircraft carrier
HMS Illustrious British Aircraft Carrier of WW2
ARMOURED AIRCRAFT CARRIERS IN WORLD WAR II BAPTISM OF FIRE Armoured aircraft carrier action and damage reports, 1940-1945

7 미디어에 등장

  • 네이비필드에서 영국 3차(순서로는 4차) 항모로 등장한다.
Illustrious.gif
  1. 자매함별로 차이가 있다.
  2. 인도미터블은 일러스트리어스급내의 소그룹에서 인도미터블급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3. 일러스트리어스가 카미카제로 인한 선체 손상으로 전선 이탈 후 손상 조사 중 누적된 피해에 용골이 비틀어진 게 발견되어 대대적인 수리를 위해 종전까지 영국 본토에 머물렀고 다른 함선들은 전선에서 임시 수리 후 작전을 재개했었고 작전을 마친 후 1개월 정도 수리 및 재정비를 했다. 미 해군 항모의 경우 복귀에 2개월이 걸렸으며 카미카제로 큰 피해를 본 벙커힐, 엔터프라이즈는 수리에 3개월 정도가 걸렸다.
  4. 미 해군에서 운용한 경항모인디펜던스급 항공모함의 함재기 숫자가 33대다. 함재기 수용량을 생각하면 정말로 경항모 수준인 셈. 호위항모였던 커먼스먼트 베이급 호위항공모함의 경우도 함재기가 34기였다.
  5. 영국이 함재기 개발에 어려움을 겪은 이유중 하나기도 하다. 부족한 함재기의 숫자로 전투기/폭격기/뇌격기를 충분히 확보하려면 전폭기의 형태로 가야했기 때문이다. 물론 그 이외에도 다른 문제들도 있었지만. 영국이 원한건 미국의 F6F 헬캣, F4U 코르세어같은 기체였고 결국 수입해서 사용하게 된다.
  6. 다만 이는 개방식 격납고와 철저한 방재 시스템과 우수한 피해복구능력이 갖춰졌기에 가능한면도 있다. 폐쇄식 격납고에 장갑은 없고 피해복구능력이 형편없었던 일 항모가 어떻게 되었는지를 생각하면 폐쇄식 격납고를 선택한 영국으로서는 장갑갑판을 포기하기가 어려웠을 것이다. 함재기가 적어더라도 항공모함 자체를 상실하는것 보다는 나을테니까.
  7. 미 해군의 미드웨이급 항공모함이 그런 사례이다. 2차 대전에 사용되는 항공기를 기준으로 한다면 130기 이상을 탑재할 수 있으며 3.5인치의 갑판장갑을 두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