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M

400px

3M M3 3미터 엠생 3MB[1]

1 개요

한국 쓰리엠 홈페이지

“우리 제품은 어디에나 있다” - 3M 관계자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간단하게 3M이라 부르며 미국의 다국적 기업중 하나이다. 3M은 1902년에 설립되었으니 113년이 지난 오래된 회사중 하나로 창립초기엔 사포를 만들다가 현재의 초 거대 다국적 기업으로 까지 오게 되었다. 물론 이름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현재도 본사는 미네소타 주에 위치하고 있다. 뉴욕 증권 상업거래소의 주식코드는 MMM(맞는 말이지만서도 뭔가가....)[2]

전세계 직원은 약 8만명 이나, 생산 품목은 5만5000개 이상이다. 홈페이지에 접속해보면 알겠지만 이 회사의 제품 중엔 접착제, 라미네이트, 방화용품, 의료용품, 마스크, 치과재료[3], 자동차 용품 등등 엄청나게 많다. 그중 일반 사람들에게 가장 잘 알려진 물건은 포스트잇과 더불어 스카치테이프, 스카치 브라이트 등이 있다. 특히 스카치 테이프와 포스트 잇의 경우 상표가 보통명사가 되어 버린 사례로 유명하다. 기록매체(플로피디스크, 공CD) 등도 제조, 판매했었는데 이쪽은 이메이션이라는 회사로 오래 전에 분사했다.[4]

더불어 과거 플로피디스크도 판매하였는데 3M을 회사가 아닌 용량으로 오해한 사람들이 간혹 있었다. 결국 3M플로피가 왜 1.44MB냐고 따졌다가, 망신만 당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 외로는 테이프 같은 제품에 찍힌 3M로고를 테이프 길이가 3미터인 것인 줄 알고 오해하는 경우도 있다.[5]

한국에서는 두산그룹이 라이선스를 확보하여 미국 3M사와 함께 합작법인인 한국3M으로 있었다가 1996년 미국 3M이 지분을 인수하여 독립 법인사로 있다. 여담으로 뭔가 올드한 포장을 좋아한다.

1988년부터 1992년까지 IOC 후원사로 있었으며 올림픽 후원을 한 적도 있었다.

국내에는 현재 한국인 신학철 부회장이 있는 기업으로도 유명하다. 신학철 부회장은 서울대를 졸업후 평사원으로 3m 한국지사에 입사한 뒤 미국 본사에 발령된 뒤 부회장까지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로도 유명하다.

몇년 전부터 핸드폰 액정보호 필름 사업도 시작했다. 이쪽은 mobileshield 라 부른다. 제품의 기원은 헬리콥터 프로펠러의 블레이가 공기저항에 의해 마모되는것을 막기위해 소모성 필름을 부착하던 것에서 부터 시작했다. 그외에도 레이싱중 드라이버가 노출되어 있는데, 험지를 주행해야 해서 헬멧의 투명한 부분이 더러워지는것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장의 필름을 붙여놓고, 더러워지면 떼어내고. 더러워지면 떼어내고 하는 용도의 필름. 그리고 자동차나 오토바이 레이싱에서 각종 광고들이 그려져 있는데, 이 광고들이 지워지지 않게 위에 부착하던 필름 등등이 있다. 역시 테이프의 명가답게 접착력이 매우 우수하고, 필름제조의 역사가 있다보니, 필름의 질이 매우 훌륭하다. 요즘은 상향평준화가 많이 되어서 큰 차이는 없지만, 과거에는 SGP와 함께 투톱이었다. 현재는 잘 안나오지만, 초장기에는 긁히지 않는 필름도 만들었었다. 재질이 쿠션감이 있는데, 엄청나게 질긴 재질이라서, 흠집은 안나고, 그냥 움푹 패이는 느낌이 들다가 하루정도 지나면 복원되는 필름. 다만 유리처럼 매끈하지 않고 쿠션감 있는 표면이라, 큰 호응은 얻지 못했다.

2 논란

2016년 환경부의 주도 하에 이루어진 3M의 OIT(옥틸이소티아졸론) 항균필터의 위해성 검사 결과 가습기 살균제 사망사건을 일으킨 독성물질인 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CMIT)이 검출되었다. 제 2의 가습기 샬균제 사건이 될 지는 두고볼 일이다.

자세한 내용은 추가 바람

3 관련 문서

  1. 이와 관련된 컴맹개그가 존재한다.
  2. 직원 이메일 주소도 @mmm.com이다(...)
  3. 치과가면 때우는 레진중 대다수가 3M제품이다.
  4. 더 오래전에는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 비디오 테이프도 제조했었다.
  5. 하지만 이는 반대 상황이 더 많다. 즉 듣보잡 회사에서 자기회사가 만든 제품을 마치 3M제품처럼 오인하기 위해 길이가 3미터로 만들고 길이:3M(길이는 작게, 3M은 크게 표기) 같이 표기하는 것. 주로 전선(멀티탭),테이프 등에서 흔히 발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