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92mm

1 개요

독일에서 제작한 탄약으로 현대 탄약들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역사적으로 의의가 많은 탄이다. 미국 등에서 사용하는 7.62mm 계열과도 관계가 있다.
가장 가운데에 있는 것이 마우저탄.

2 종류

2.1 7.92×57mm Mauser

8x57.jpg
왼쪽부터 초창기 버전인 M88, 이후에 생산된 IS탄.

2.1.1 제원

설계 완료1888년
사용 기간1888년 ~ 지금현재
탄피 유형림리스 (Rimless), 보틀넥 (bottleneck)
탄두 지름8.20mm
탄피 목 지름9.08mm
탄피 어깨 지름10.95mm
탄피 베이스 지름11.94mm
림(Rim) 지름11.95mm
림(Rim) 두께1.30mm
탄피 길이57mm
전체 길이82mm
탄피 용적4.09cm³
강선 트위스트1회전당 240mm
최대 압력56,560psi (C.I.P 측정), 35,000 psi (SAAMI 측정)
탄환종류탄두중량초속에너지
RWS DK11.7g820m/s3,934J
RWS HMK12.1g820m/s4,068J
RWS TMR12.7g800m/s4,064J
RWS ID 클래식12.8g800m/s4,096J

2.1.2 상세

독일의 소총 시험 위원회가 제작한 Gew88을 시작으로 Gew98과 같은 마우저 계열의 볼트액션 소총들에 쓰이는 탄약. 8mm Mauser라고도 부른다.

1888년 독일제국은 새로운 총알을 개발하기로 결정하였는데, 이 무렵에는 볼트액션소총은 오늘날로 치면 최첨단 무기와도 같은 존재였다. 기존의 구식 단발형 후장식 소총흑색화약을 사용하는 등의 이유로 인해 더 이상 화력을 증대하기 곤란하므로 급격하게 구식화가 진행되었고 무연화약을 쓰는 볼트액션 소총이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하자 독일도 Gewehr-Prüfungskommission(G.P.K) 즉 소총 시험 위원회를 조직했다. 이들은 나중에 Gew88이라는 이름이 붙게 될 신형 개발 소총에 걸맞는 새로운 총탄을 만들 것을 요구한다. 그리하여 개발된 것이 7.92x57mm Mauser M88 총알이다. 독일제국에서는 이 총알을 1888년에서 1945년까지 생산되었다.

8_x_57_IS.jpg
Gew88은 여러가지 문제점으로 인해 실패작이었으나, 총탄은 매우 성공적이었으므로 마우저가 개발한 Gew98에도 채용되었다. 1905년에는 마우저사가 기존의 총알을 보다 더 향상시킨 7.92x57mm Mauser IS 총알을 개발해냈으며 이후 이 총알은 독일의 모든 소총과 기관총등에 제식 탄환으로 사용했다. 1934년에는 기존 탄환을 현대적으로 개량하여 기존의 7.92x57mm 마우저 IS 총알을 기관총이나 현대식 총기류에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이 종전한 후에는 종주국이었던 독일도 제식탄환을 7.62mm계열로 교체하였으므로 군대용 탄환으로 대량생산되거나 대량소비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과거 독일군의 총기류를 여러가지 방법으로 입수한 국가에서는 해당 총기류를 사용하기 위해 탄환의 생산을 상당기간 지속했다. 21세기의 시점에서도 독일처럼 소량이나마 7.92x57mm 마우저 총탄을 생산하고 있는 국가도 있으며, 독일연방군 의장대처럼 의장용으로 쓰이거나, 취미용 및 레저용은 물론이고, 종종 실전에도 사용된다고 한다.

마우저 사가 칠레/스페인 등 해외에 판매한 총기류 중에는 7×57mm Mauser탄을 사용하는 모델도 있는데, 이 탄과 7.92×57mm Mauser탄은 서로 다른 물건이다.

2.2 7.92×33mm Kurz

German_7.92x33mm_Kurz.jpg

2.2.1 제원

설계 완료1938년
사용 기간1939년 ~ 지금현재
탄피 유형림리스 (Rimless), 보틀넥 (bottleneck)
탄두 지름8.2mm
탄피 목 지름8.9mm
탄피 어깨 지름11.2mm
탄피 베이스 지름11.9mm
림(Rim) 지름11.9mm
림(Rim) 두께1.30mm
탄피 길이33mm
전체 길이49mm
탄피 용적4.09cm³
강선 트위스트1회전당 250mm
탄환종류탄두중량초속에너지
Ball8.1g685m/s1,909J

2.2.2 상세

StG44에 사용되는 탄약. 돌격소총용 탄약의 프로토타입이다.

1933년 독일은 보다 더 화력이 강하고 현대화된 총탄을 개발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리하여 Heereswaffenamt(HWaA) 즉 독일 육군무기위원회는 차후개발되는 새로운 총에도 사용이 가능한 총탄을 개발할 것을 지시한다. 그 결과로 만들어진 것이 바로 위의 마우저 탄환의 현대화였다.

그러나, 기술의 발전상황과 함께, 보병화력의 증대를 위해서는 자동소총을 채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존재했다. 이런 경우에는 기존의 탄환은 너무 강력해서 자동사격할 경우 사수가 총을 콘트롤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부수적인 개발이지만 최초 요구는 1923년부터 이루어질 정도로 일찍 7.92×33mm Kurz가 개발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부수적이라는 말 그대로 해당 총알의 개발은 요청에 비해서는 상당히 늦은 1935년 ~ 1937년 사이에 일단 완료되었다. 그리고 1938년에는 자동소총에도 사용이 가능할 수준으로 개발이 진행되었다. 이와 동시에 실험을 한 결과 해당 총탄의 유효 사정거리가 최대 1000m에 이르는등 나름대로 좋은 성능을 발휘하였다. 그리하여 1938년에는 본격적으로 탄약공장에서도 양산이 가능할 수준으로 개발이 완료되었다.

7.92x33%20KURZ1.gif

하지만 당시의 볼트 액션식 제식 소총에 사용이 불가능하며, 당시의 주요 관계자가 주목하던 기능인 원거리 사격전과 강력한 파워면에서는 기존의 마우저 탄환에 비해 크게 모자랐다. 그래서 양산은 보류되었으며 개발과 개량만 지속된다. 1939년 9월 3일을 기점으로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한지 2년째인 1941년에는 해당 총탄에 맞는 강선의 개발에 성공했으며, 7.92×33mm Kurz 총알을 제조하는 방식도 변경했다. 그래서 다른 총탄과는 달리 강철과 황동을 적게 사용하면서도 간단하게 제조가 가능하게 만들었다.

이 총탄의 양산이 결정된 이유는 StG44의 보급 때문이다. 해당 총기가 매우 유용함을 알아챈 독일군에서는 히틀러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기관단총인 것처럼 위장해서 지속적으로 납품을 받고 있던 상황이었다. 결국 기존 제식소총탄의 재고가 엄청나며, 제식소총탄이 2종류가 되므로 보급에 혼선이 일어난다는 이유로 반대를 하던 히틀러도 여론에 못이겨서 양산을 허용했으므로 대량의 탄환이 필요해진 것이다. 그래서 양산에 돌입 할 때에는 탄환의 질량을 약간 변경하고, 탄두를 뾰족하게 해서 공기저항을 줄이는 방식을 채용해서 양산하였다.

해당 탄환의 가장 큰 특징은 원거리 사격은 기존의 제식 소총탄과 기관총, 저격 소총들에게 위임하고, 단거리나 중거리에서 몰려오는 적을 상대로 기관단총보다 우월한 사정거리와 강력한 파워를 발휘하는 것이다. 그리고 앞서 언급했듯이 기존 제식 소총탄은 자동사격시 강력한 반동으로 인해 소총을 사수가 컨트롤하기 힘들다. 이 때문에 위력의 감소를 감수하고 탄피의 용량과 길이를 축소했다. 기존보다 좀 더 강력한 탄환을 요구하는 것이 당시의 대세였으며, 21세기의 기준에서도 만만치 않은 요구사항인 것을 감안한다면 발상의 전환 및 대량사용면에서 훌륭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정작 해당 탄환을 사용하는 총기류가 제2차 세계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할 단계에 돌입할 때에나 대량생산에 돌입했다는 악재가 터졌다[1]. 그래서 이 탄환은 독일의 제식 소총탄에서 1위를 차지하지 못하고 패전을 맞이한다. 하지만 전쟁이 끝난 이후에도 동독을 포함한 소련이 자국의 위성국들에 StG44를 공급하면서 총탄들이 생산 및 사용되었고 현재는 정식으로 생산이 종료가 되었지만 여전히 StG44가 사용되는 제3세계 국가들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와 함께 StG44인기에 힘을 얻어 총기매니아들이 마우저탄을 개조하며 탄환을 만들었고 이에 힘을 얻어 여러 총기메이커에서 정식 발매하고 있다.

한편, 미국과 소련은 이 총알을 참고로 하여 오늘날의 돌격소총인 M16 소총5.56mm탄환과 AK-477.62mm 탄환을 만들 때 어느 정도 참고를 했다고 한다.
  1. 참고로 이 탄환을 사용한다고 잘 알려진 총기는 전부 이때 다 만들어졌다. 물론 CEAM Modèle 1950이나 CETME 소총 초기형을 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