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M

DAEDRIC_C.PNG DAEDRIC_H.PNG DAEDRIC_I.PNG DAEDRIC_M.PNG

데이드릭 알파벳으로 쓰인 CHIM

"CHIM. 그것을 아는 자들은 대지의 모양을 바꿀 수 있다. 한때 정글이었던 레드 킹고향을 목도하라." - Commentaries on the Mysterium Xarxes, Book Three[1]

CHIM.[2] Vehk's Teaching에서는 엘노페이어로 "왕족", "별빛", "고귀한 광휘"를 함축하는 고대의 심벌로 설명되며, The 36 Lessons of Vivec에서는 "왕족의 비밀 음절"으로 표현된다.[3] 역사에 걸쳐 많은 기록들에서 언급되었지만,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

흔히 모든 법칙과 한계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해 주는 존재의 상태로 받아들여진다. 우주의 본질과 그 속에 존재하는 자신의 위치에 대해 불현듯 깨달음을 얻는 득도의 과정이며 이는 자기 자신과 모든 존재에 대한 이해로 이어진다. CHIM을 아는 자는 타워(Tower)의 꼭대기 혹은 그 안에 존재하면서 현실을 바꿀 수 있는 불가해한 힘을 지닌다. 그는 형언할 수 없는 신의 감각을 경험하며 모든 제한으로부터 벗어난다.

CHIM에 대한 간단한 정리

비벡몰라그 발을 통해 CHIM을 알게 되었다. The 36 Lessons of Vivec에서 그에 대한 많은 기록을 볼 수 있는데, 그는 CHIM을 폭력을 통해 천국에 도달하는 것으로 표현하기도 했다. 비벡에 따르면, CHIM이라는 개념을 이해한 최초의 존재는 로칸이었다. 신적인 능력을 손에 넣기 위한 여섯 단계의 길들, 워킹 웨이즈(Walking Ways) 중 CHIM이 그 다섯 번째이며, 이 길들을 걷기 위해서는 오르비스의 구조, 바퀴(Wheel)에 대한 이해가 필요했다. 변화에 대한 호기심과 욕망 속에 로칸은 바퀴의 테에서 오르비스의 옆면을 바라보았고 이로써 신의 이름 "I", 타워를 알게 되었다.[4] 그 후 로칸은 다른 엣아다를 설득하여 함께 바퀴의 중심에 문두스를 창조했고, 이는 그들이 CHIM을 알게 됨으로써 그들을 구속하는 모든 법칙들로부터 벗어나기 위한 모험이었다. 하지만 이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다. 그들이 실패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고, 그 때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이를 놓고 수많은 갈등과 유혈 사태가 발생했다. 어떤 이들은 에이드라가 CHIM을 알게 되지 못한 것을 단순한 실수로, 또 어떤 이들은 로칸의 탓으로 보았지만, 비벡은 실패하지 않는 방법을 필멸자들이 알 수 있도록 그들이 실패했으리라 추측했다.

나인 디바인을 따르는 자들은 타이버 셉팀이 CHIM을 알게 되어 아홉 번째 디바인 탈로스가 되었다고 믿는다. 탐리엘 정복을 마치고 타이버 셉팀은 이렇게 말한 것으로 전해진다: "북쪽, 나의 입김이 긴 겨울인 그곳에서 태어난 탈로스, 스톰크라운의 힘을 보여 주겠다. 이제 나는 왕족의 입김을 불어 나의 것이 된 이 땅의 모양을 바꾼다. Red Legions, 그대들을 위해, 내가 그대들을 사랑하기에 그리 하리라."[5] 탈로스의 힘으로 그 전까지 "끝없는 정글"이었던 시로딜에 기후 변화가 찾아왔다고 여겨지며, 이것이 CHIM을 앎으로써 엄청난 힘을 손에 쥘 수 있다는 증거라고 그들은 생각한다.[6]

  1. 데이드릭 알파벳 "CHIM"으로 시작되는 이 책에서 맨카 캐모런은 또한 "필멸자가 창조자가 되고 창조자가 필멸자가 되는 비밀"을 언급하는데, 이는 Amaranth에 도달하는 것을 말한다고 볼 수 있다.
  2. 인간과 머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엘노페이의 언어에서 왔기에 대문자로 표기한다. '킴'으로 발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엘더스크롤 온라인에서는 '침'으로 발음되었다.
  3. Vehk은 비벡의 또 다른 이름이기에 둘 모두 그의 표현이다.
  4. 즉, 바퀴를 옆에서 보아 "I"와 같은 모양.
  5.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에서 하임스커가 이를 그대로 언급했다.
  6. 하지만 시로딜의 기후를 다룬 Pocket Guide to the Empire, 3rd Edition과 Subtropical Cyrodiil: A Speculation 등에는 이와 충돌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