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계획

Plan Z. 나치 독일의 해군 크릭스마리네가 추진한 대양 함대 증강 계획.

1 배경

1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패전국인 된 독일은 연합군에 함대를 인양하던 중 대규모 함대를 스캐퍼플로 만에서 자침시킨 사건으로 독일 제국 해군(Kaiserliche Marine)은 카이저급 전함,쾨니히급 전함,바이에른급 전함을 포함해서 전함만 16척이나 잃었다. 그 외 구축함이나 순양함 등이 바다에 침수되는 바람에 독일 전체함대 80%가 고철덩어리가 되었다. 그나마 건진 함선도 노후함였고 향후 20년간 극심한 주력함 부족 문제에 시달려야 했다.

그로인해 보호해야할 영해나 영토가 주변국에게 굉장한 취약한 상태였고 가뜩이나 베르사유 조약으로 인한 경제적 파탄, 군사력 제한등으로
독일 제국 해군에게 사형선고나 다름이 없었다. 결국 독일제국 무너지고 바이마르 공화국이 들어서면서, 1920년 9월 새롭게 조직된 독일 국가해군[1]에선 향후 어떤방식으로 잃어버린 전력 재건해야할지 두고 해군 수뇌부의 장성들이 격렬한 논쟁을 벌였다.

특히 독일의 연안해군을 강조한 윌리엄 미하엘 소장은 해안(연안) 방어 치중할 것을 강조했다. 그 이유는 차후 독일이 주변국 중 가장 호전적인 폴란드와 전쟁이 일어난다면 국가해군은 육군을 지원해줄수 밖에 없고, 폴란드와 충돌과정에서 프랑스가 가만히 있지않으므로 반드시 폴란드를 지원할것이며 프랑스 해군이 주 상대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한편 영국의 참전가능성에 대해 낙관적으로 보았는데, 전통적인 유럽의 균형을 추구하는 영국입장으로 2대1로 싸우는 독일을 지원해주기는 보다는 중립을 지킬것으로 보았다.[2] 실제로 1930년대 중반까지 군함의 구조는 대 프랑스전 맞추기 위해 함대를 편성을 했었다.

이에따라 독일국가해군은 베르사유 조약을 준수하더라도 노후함들은 1922년에는 신규 전함으로 대체가 가능했기에 1925년에도 구식 순양함의 대체 목적으로, 경순양함 엠덴이 1차 대전 이후 최초의 신규 대형 함정으로서 건조되었다. 또한 이 시점에서 독일국가해군은 기존 구형 전함을 대체할 함을 중장갑, 고화력의 저속, 소형의 모니터형 전함으로 건조할 것인가, 혹은 고속에 빠른 순양함 형식으로 건조할 것인가 고민에 빠지게 된다. 아무래도, 1만 톤의 제한으로는 어찌할 수가 없었기에...[3]

그런데 1922년 세계 대공황으로 인해 계획에 차질이 빚어지긴 하였으나, 당시 해군 사령관 한스 젠커(Hans Zenker) 제독의 지시하에 설계 작업은 지속되었으며, 1925년 3개 시안들이 제시되기에 이르렀고, 이미 1923년에 계획된 2개 시안을 합쳐 총 5가지 시안이 등장하게 되었다. 1923년의 "I/10" 시안의 경우, 32노트에 8.1인치 주포를 장착했고, "II/10" 시안은 22노트로 4문의 15인치 주포를 갖춘 중장갑 함선을 염두에 두었다. 여기에, 1925년 들어 제안된 "II/30", "IV/30", "V/30" 시안들은 공통적으로 6문의 12인치 주포를 탑재한 가운데, 장갑 수준에 차등을 두었다. 최종적으로, 독일 해군은 11인치 주포 안을 채택하게 되었으며, 그렇게 해서 나온 함이 도이칠란트급 장갑함이다.

1928년 한스 젠커 후임으로 에리히 레더(Erich Raeder)가 해군 총사령관이 되었다. 전쟁이 발발한다면 적국 함대에 대항하여 무엇을 해야할지 고민에 빠지시작할때 레더는 long-range surface raiders 전술을 채택하였다. 1938년 히틀러의 공격적인 외교에 점점 영국과의 전쟁 가능성에 보이자. 영국의 실질적인 함대에 대항하기위해 비스마르크급 전함과 H급 전함을 신속히 건조할 것을 주장했다. 하지만 히틀러는 1948년 전까지 전쟁을 하지 않을거라고 레더에게 약속을 하였고, 레더는 전쟁 전까지 새롭게 탄생할 전쟁해군(KriegMarine) 전력증강 계획을 새우게 된다. 향후 영국과의 대결에서 자신이 선호한 surface raider strategy 통해 승리할 수 있다고 보았고, 그의 계획에 따라 신형 구축함, 장거리 순양함 등 수상함대를 주축, 중심으로 U보트의 통한 통상파괴를 통해 영국 전력을 분산시켜 전함을 통해 각계격파한다는 독일식 점감요격작전[4]세웠다. 이 계획을 X라 하며 조금씩 함대 수의 개정을 거쳐 Y에 이르러 최종버전 Z 계획에 도달하게 되었다.

2 Z계획 실행

도이칠란트급 장갑함 및 동급 함들은 당시 세계의 해군들에게 일대 센세이션을 일으켰는데, 이론상으론 그들은 어느 순양함이라도 격침시킬 수 있고, 어떠한 전함이라도 속도로 따돌릴 수 있을 것 같았다고 한다. 단지, 손에 꼽을 정도의 영국 순양전함들만이 그들을 따라잡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졌고, 이들 신조함들이 야기한 위협으로 인해 프랑스 해군은 서둘러서 2척의 신규 고속전함 됭케르크급 전함을 내놓게 되었다.

이런 가운데, 1935년 6월 18일 영독 해군 협정으로 독일은 톤수 기준 대영 35%의 주력함, 대영 45%의 잠수함을 장비한 해군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잠수함의 경우, 곧 타 함종과의 교환에 의해서는 사실상 100%까지 인정을 받게 되었다. 이 결과는 베르사유 조약의 제한에서 숨통이 트이게 된 독일은 물론, 독일 해군을 35%로 억제시키는 데 성공한 영국 입장에서도 만족할 만 했다. 단 프랑스의 경우 이 조치에 불만이 심했는데, 이같은 조약은 프랑스와 전혀 상의를 거치지 않은 것이었지만... 당시에 이같은 '쾌거"는 독일의 자부심을 크게 드높였으며, 히틀러바이마르 공화국의 국가해군 'Reichsmarine'라는 이름을 전쟁해군으로 개칭하기에 이른다.

1938년, 크릭스마리네 내부에서 본격적으로 Z계획이 논의되는데, 당시 열강 해군과 겨룰 만한 수상함대의 건설을 선호하는 보수파와 적국의 통상로를 파괴할 대규모 U-보트 함대를 선호하는 파들 사이에 격렬한 논쟁이 이어졌다. 전자의 대표 주자라면, 당시 독일 해군의 사령관 에리히 레더 제독이었고, 후자의 대표주자라면 카를 되니츠 제독. 궁극적으로, 1939년 1월 29일 결정된 Z계획의 상세는 보수파들의 견해가 더 우세하게 되었다. 당 계획은 당시 건조중이던 2척의 전함(비스마르크급) 및 3척의 중순양함(어드미럴 히퍼급)을 완성할 것으로 보였다. 추후의 주력함들이 건조될 터였는데, 대부분은 1945년까지 완성될 것이었다.

이외에도 H급 전함, O급 순양전함을 포함해서, 다른 여러 함정들의 설계와 건조 등이 기획되어져 있었으나, 대부분 페이퍼 플랜으로 끝났다.

3 Z계획 함대 구성

최종 Z계획의 함대 구성 예정은

전함 10척 (비스마르크급 2척, 샤른호르스트급 2척 , H급 6척)
순양전함 3척 (O급 순양전함 3척)
항공모함 4척 (그라프 체펠린급 2척, 그 외 2척)
포켓전함12척 (P급 장갑함)
중순양함 5척 (히퍼급 5척)
경순양함 44척(새로운 순양함 16척, M급 6척, 정찰함[5] 22척)
구축함 68척 (Z 시리즈)
어뢰정 90척 (미정)
잠수함 249척 (유보트)

실제로 전쟁내 전력화 된 함정들

전함 4척 (비스마르크급 2척 샤른호르스트급 2척)
포켓전함 3척 (도이찰린트급)
중순양함 3척 (아드미럴 히퍼급)
경순양함 2척 (뉘른베르크급)
경순양함 3척 (K급)
경순양함 1척 (엠덴급)
구축함 22척 (Z 시리즈)
잠수함 53척 (유보트)

4 한계

제2차세계대전이 시작되고나서 Z계획은 제대로 시행되지 못했고 그나마 남은 전력도 연합군을 상대하기 버거웠다. 독일 수상함대는 연합군을 상대하기에는 터무니 없는 전력이였고 그마저도 각종 연이은 전투와 악재로 전쟁 동안 함선 다수를 잃었다. 수상함대가 생각보다 전력이 좋지 않다는걸 곱게 못본 히틀러는 전과가 많은 유보트에 눈을 돌리게 됐고 바렌츠 해 해전 기점으로 수상함대에 건조를 중지시켰고 Z계획의 전면 중지되므로서 전쟁해군은 더 이상 전력 증강시킬수 없었다.

그외에도 Z계획같은 대규모 프로젝트가 육군과 공군에 필요한 자원들을 너무 많이 요구한다고 결론났다. 그 결과, 이들 함들의 건조작업은 중단되었고, 자재들은 유보트 건조 계획으로 대체되었다.

역사에 만약이라는 과정은 없지만 Z계획대로 함대가 다 건조되었어도 유지비와 연료부족으로 운용하기 굉장히 힘들였을 것으로 보인다.[6] 그리고 설사 계획대로 50년 쯤에는 연합군도 손만 빨고 있지 않기에 그에 대응하는 해군력을 갖췄을것으로 연합군을 이기기가 쉽지 않았을 것이다.

5 관련 문서

  1. Reichsmarine, 바이마르 공화국 수립 이후 신설된 독일 해군. 허나 이후 크릭스마리네에게 흡수당했다.
  2. 하지만 정작 2차대전이 터질때 1차대전과 똑같은 상황을 맞이한다. 그 전의 히틀러의 삽질이 너무나 커서
  3. 베르사유 조약의 함재 톤수 제한은 독일해군의 함선 개발에 지대하게 악영향을 미쳤다. 덕분에 1935년 영-독 해군협정이 이뤄지고나서 톤수제한이 풀렸을때 1차대전 건조기술로 함선을 만들어야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4. 다만 차이점이 있다면 일본은 상대전력을 어느정도 깍아먹고 한타를 하지만, 독일은 적 본함대의 접촉은 피하고 유보트를 이용한 함대 분산을 통해 지속적인 전력 감소를 통해 적 해군력을 무력화시키는 것이다.
  5. 번역문에는 정찰기(Scouts)라 되있다. 함대 원문 아시는분은 수정바람
  6. 저 함대를 움직이긴 위해선 200만톤의 디젤연료가 필요한데, 1938년에 독일이 1년동안 소비한 연료가 240만톤였다는 것, 즉 1년 연료치분이 함대운용으로 빠져나간다는 소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