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퍼 플랜

Paper Plan / 紙上計劃

실제 영어에는 존재하지 않는 어휘이므로 외국에서 쓰지 않도록 주의하자. 네이버 사전에는 숙어처럼 등록되어 있지만 좀 다른 말이고, 구글에 검색하면 paper plane을 찾았냐고 한다. 다만 영어권에서도 "(only) exist on paper"라는 어구는 가끔 쓰이며 대강 이 바닥 단어가 거진 그렇듯 일본어에서 유래되었을 확률이 높다. 영어권에서 많이 쓰는 것은 "Blueprints"(청사진)이다.

1 개요

말 그대로 종이 계획이란 뜻으로 서류상으로만 작성되고 실제로는 실행되지 않은 계획을 가리킨다.

대중교통, 특히 철도 노선은 건설과 개통까지 어마어마한 돈이 들어가기 때문에 타당성 조사 등에서 밀려 페이퍼 플랜으로만 끝난 것들이 많다. 이런 노선을 가리켜 미성선이라고 한다.

밀리터리 계열에서는 구상, 설계, 입안은 되었지만 실제로 제작되는데에는 이르지 못한 병기들을 가리키는 용어. 메카닉이 등장하는 메카물의 배경설정에서도 쓰이는 용어이다.

당연히 페이퍼플랜들도 그 구체성이 제각각이라 어떤 것들은 몇몇 사정으로 단지 실물제작만 되지 않았을 뿐 프로토타입 제작이 가능할 정도로 매우 상세한 도면이 존재하는 것들이 있고, 어떤 것들은 대략적으로 어떤 성능의 부품을 장착하여 대충 어떻게 생긴 병기를 만들 것인지 개념도 수준의 청사진이 제시된 것들이 있고 또 다른 것들은 단순히 구상단계에서 스캐치만 제시된 것들이 있으며 가장 구체성이 부족한 것들은 단순히 타 병기 설계안의 바리에이션 급으로 '추후 ~할 수도 있다.' 수준으로 단순 언급만 있는 경우도 있다.

페이퍼 플랜으로만 끝난 것들은 페이퍼 플랜으로만 끝날만한 이유가 있었다. 특히 나치 독일의 것들이 대표적인데, 정말 필요 이상으로 괴악하다(…) 라테 정도로 가면 아예 공상의 영역에 이를 정도.

다만, 제작 자체가 불가능한 공상적인 계획과는 달리 상당수의 페이퍼 플랜의 발생 이유는 경제성이다.[1] 원래 정식 서류까지 만들어지면 어느 정도 현실적 가능성을 인정받는 셈이기도 하다. 따라서 계획대로 만들 수는 있지만 돈이 없거나 비용이 너무 들어간다던지, 제작하더라도 효과가 별로 없을 것 같으면 멀쩡한 계획도 페이퍼 플랜이 되어버린다. 심하면 만드는 도중이나 자재까지 다 발주해놓고 일부가 납품되기 시작할 때 계획 중지가 떨어지는 경우도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이미 들어온 자재는 다른 곳에 사용한다. 그래서 시제기가 1기라도 제작된 물건들은 일단 제조가 되었기 때문에 페이퍼 플랜에 끼지 않는다.

2 페이퍼 플랜으로만 끝난 것들

나치 독일 시절 추진하다 취소된 Z-Plan 함선들을 볼 수 있다.

2.1 현실

2.2 창작물

  1. 물론 만들 수 없는 것을 계획해서 페이퍼플랜이 되는 경우도 적지는 않다.
  2. 문자 그대로의 물건. 특수한 방법으로 강화한 파이크리트라는 얼음 소재로 항공모함을 건조하는 계획이였다. 명칭의 유래는 구약성서의 선지자 하박국.여러가지 의미에서 영국답다
  3. 초기에는 고층 건물 내부에 역사를 지으려 했으나, 예산과 시간 문제로 인해 나가리되었고 그냥 역사로 지어졌다.
  4. 2005년부터 2011년까지 대저역~강서구청역 근처의 역세권을 신도시로 개발하려는 계획이 있었으나, 계획만 발표되고 실행되지는 않은 채 땅값이 너무 많이 올라 재정난으로 무기한 연기되었다.
  5. "황금색 웨이브 라이더 형태의 기체를 봤다"라는 소문이 있지만, 게임판 기동전사 건담 UC에 황금색으로 칠한 델타 플러스(...)가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