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뜻에 대해서는 아래의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이 문서는 토막글로 분류되는 800바이트 이하의 문서입니다. 토막글을 채우는 것은 기여자의 따뜻한 손길입니다. 이 틀을 적용할 시 틀의 매개변수로 분류:토막글의 하위 분류 중 적절한 분류를 지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옛한글 기본 자모
자음: · · · · · · · · / 모음:
옛한글 겹자모
자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모음 · · · · · · · · · · · · ·
기타
HCF
문서가 없는 옛한글은 틀:유니코드 한글자모 참고.
일부 모바일 환경에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음.

ᅇ는 현재는 사라진 옛한글로 쌍이응이라고 읽는다. 15세기까지 사용되다가 세조 때 사라졌다. 소리는 된소리가 아니라 ㅇ과 같고 뜻을 구별하는 데에만 쓰였을 것이다. 아래에서도 언급되지만 '괴ᅇᅧ[koj.jə]', 'ᄆᆡᅇᅵᄂᆞ니라[mɒj.i.nɒ.ni.ɾa]'의 [j.j], [j.i]와 같은 긴장된 협착음을 나타낼 때 제한적으로 쓰였다고도 하고, 뒤에 y[j]계 이중모음이 있을 때의 [ ʎ ]를 나타낸 자모라고 추정하기도 한다.

피동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이-'가 어말어미와 축약될 때에 쓰였다. 중세 한국어에서는 '사랑하다'를 '괴다'라고 했는데, '사랑받아'를 '괴ᅇᅧ'로 표기했던 식이다. 훈민정음 언해본에 나오는 '사ᄅᆞᆷ마다ᄒᆡᅇᅧ'도 있다.

흔히 성문파열음을 ㆀ으로 아는 사람이 많은데, 이는 의 소리이다.

그렇기 때문에 된소리라고도 추정하지 않는다. 경상도 사투리에서 [math]2^e, e^2[/math]를 다르게 발음한다든가, "야!!"라고 강하게 소리 지를 때의 초성이라든가, 등등은 ㆀ의 발음이 아니다. 무엇보다 초성에 쓰면 된소리가 된다는 용례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