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한글 기본 자모
자음: · · · · · · · · / 모음:
옛한글 겹자모
자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모음 · · · · · · · · · · · · ·
기타
HCF
문서가 없는 옛한글은 틀:유니코드 한글자모 참고.
일부 모바일 환경에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음.

1 개요

현재는 쓰이지 않는 옛한글 자모 중 하나. 꼭지이응, 옛이응이라고 부른다. 반치음, 여린히읗, 아래아와 함께 사라진 네 글자이다. 연구개 비음이다.

2 발음

발음 듣기

예를 들어 'ᅌᅡ'를 발음하고자 한다면, ㅇ과는 달리 혀를 ㄱ과 똑같이 하고 콧소리를 내면서 '아' 발음을 하면 된다. 이때 중요한 건 '나', '마'를 발음할 때와 마찬가지로 콧소리를 내는 것이다.

3 본문

발음을 유추하기 힘든 다른 세 글자와는 달리 이 글자의 발음은 현대 한국어 발음에 버젓이 살아 있다! ㅇ은 초성에서는 소리가 없고 받침에서는 [ŋ] 소리가 나는데, 그 소리가 바로 이 옛이응의 소리인 것. 하지만 근대 한국어로 오는 과정에서 초성의 [ŋ] 소리가 탈락되어 쓸 일이 없어져 갔고, 반대로 이런 식으로 받침이 없을 때 종성에 쓰던 ㅇ(그러니까 묵음)은 생략하는 식으로 되면서 그냥 ㅇ이 받침으로 가면 [ŋ] 소리를 내고, 초성에선 소리가 없는 식으로 1인 2역(?)을 하고 옛이응은 퇴장하게 되었다. 사실 문서 들어가 보면 알겠지만 '이응'이란 이름도 실은 이 옛이응의 이름이다(…). 정확히는 'ᅌᅵ으ᇰ'으로 초성까지 ㆁ이라 현재 한국말식 소리로는 [(응)이응]에 가깝다. ㅇ은 원래는 종성에 오지 못해서 이름이 그냥 '이'였다.

물고기를 뜻하는 한자 (어)의 원음은 'ᅌᅥ'였다. 부ᅌᅥ(鮒魚), 사ᅌᅥ(鯊魚), 리ᅌᅥ(鯉魚, 이ᅌᅥ), 백ᅌᅥ(白魚), 오즉ᅌᅥ(烏鰂魚) 등이 각각 붕어, 상어, 잉어, 뱅어, 오징어(←오증어) 등으로 바뀐 것이 그 잔재. 강아지(+ᅌᅡ지), 송아지(+ᅌᅡ지), 망아지(+ᅌᅡ지) 역시 짐승의 새끼를 나타내는 '아지'가 본래 'ᅌᅡ지'였던 것의 잔재이다.

옛한글 자판으로는 보통 shift+ㅇ으로 입력할 수 있다. 한컴오피스 한글도 이 방식을 쓰는데 이 경우 쌍이응(ㆀ)은 ㅇ을 두 번 연속 누르는 것으로 입력할 수 있다.

언어학적으로는 , , 와 같은 계통의 음인 연구개음으로, ㆁ는 연구개 비음에 해당된다. 하지만 다른 한글 자음과는 달리 비슷한 소리인 ㄱ, ㄲ, ㅋ와 전혀 다른 모양이라는 것이 특이한 점. 이는 훈민정음 창제 당시 ㅇ 발음과 ㆁ 발음 간의 혼동이 있었기 때문이다. 훈민정음 해례 제자해에서 이 혼동을 언급하고 있다. 그래도 배치는 ㄱㅋ 바로 뒤에 짝찌어져 있었다.

아음 ‘ㆁ’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닫고 소리와 공기가 코에서 나오지만 그 소리가 ‘ㅇ’과 비슷하므로 운서에서는 ᅌᅴ모(疑母, ㆁ)와 유모(喻母, ㅇ)가 많이 혼용되니 지금 역시 ㆁ를 콧소리에서 모양을 만들고 여린입천장소리를 문자를 만드는 시작으로 하지 않았다.[1]
  1. 간단히 말해 ㆁ를 ㄱ에서 만들지 않고, ㅇ에서 만들었다는 뜻. (원래라면 콧소리 ㄴ, ㅁ을 각각 조음 위치가 같은 예사소리 ㄷ, ㅂ에서 만든 것 처럼 ㆁ을 조음위치가 같은 ㄱ에서 만들어야 했지만 ㆁ와 ㅇ 구별이 힘들고 유사하게 들렸으므로 ㆁ을 ㅇ에서 따서 만들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