ㅢ에 대해서는 ㅢ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옛한글 기본 자모 | |
자음: ᄼ · ᄾ · ㅿ · ㆁ · ᅎ · ᅐ · ᅔ · ᅕ · ㆆ / 모음: ㆍ | |
옛한글 겹자모 | |
자음 | ㅥ · ᅞ · ㅩ · ᄙ · ㅭ · ᄛ· ᇚ · ퟠ · ㅱ · ㅸ · ㅹ · ㅺ · ㅼ · ㅽ · ㅾ ᄽ · ᄿ · ᅂ · ꥶ · ᅄ · ᅅ · ᅇ · ᅊ · ᅋ · ᅏ · ᅑ · ꥹ · ㆄ · ㆅ · ꥼ |
모음 | ᆥ · ᆂ · ힱ · ᆃ · ᆆ · ㆉ · ᆍ · ㆌ · ᆗ · ힽ · ᆜ · ퟄ · ᆝ · ᆢ |
기타 | |
HCF | |
문서가 없는 옛한글은 틀:유니코드 한글자모 참고. 일부 모바일 환경에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음. |
ᆜ
1 개요
'이으'를 빠르게 말한다.
훈민정음에서 존재하는 ㅣ에서 시작해 ㅡ로 끝나는 이중 모음. 현대 한국어 표준어에는 없는 발음이나, 방언을 비롯하여 일부 언중들의 구어 생활에서 간혹 발현되는 음이다. 현대 한국어 맞춤법에서는 'ᆜ'라는 글자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현대 한국어를 기준으로 보면 '이으' 로 표기할수 있는 발음이다. ㅡ에서 시작해 ㅣ로 끝나는 ㅢ와는 다른 모음이니 주의. 일부 모바일에서는 보이지도 않는다.
훈민정음에서도 방언이나 어린아이의 소리를 뜻하는 것으로 언급되고 있다. ᄋᆜ기 있다 다만 다른 j계 상향 이중 모음은 재출(再出)의 원리를 적용하여 점을 두 번 찍은 ㅛ, ㅑ, ㅠ, ㅕ로 썼으면서 'ㅡ' 앞에 [j]가 온 상향 이중 모음에 대해서는 곧이곧대로 'ᆜ'를 쓴 게 다소 자연스럽지 않기는 하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이 발음이 중앙어에 없었기에(방언 내지는 아이들의 소리였기에) 정식으로 재출의 원리를 적용하지 않고 '이런 것도 있더라' 정도로 언급만 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오늘날 국어학적으로 이를 표기할 필요가 있을 때는 재출의 원리를 적용한 'ᆖ[1]'를 쓰고 있다.[2]
표준어가 아니기 때문에 쓸모가 없어보이지만 방언이나 속어에서는 은근히 용례가 적지 않다.
발음해보고 싶다면 '이으'를 빠르게 발음하면 된다. ㅑ, ㅕ, ㅛ, ㅠ와 발음 공식이 같으므로(ㅣ+ㅏ=ㅑ, ㅣ+ㅓ=ㅕ 등) 참고해서 발음해보자.
2 정의
ᆜ는 ㅢ(/ɯj/)와는 달리 ㅣ 소리가 먼저, ㅡ 소리가 나중에 난다. 국제음성기호로 [jɯ] 또는 [jɤ][3]로 표기할 수 있다.
단모음 | ㅣ[i] | ㅔ[e] | ㅐ[ε] | ㅟ[y] | ㅚ[ø] | ㅡ[ɯ] | ㅓ[ʌ] | ㅏ[a] | ㅜ[u] | ㅗ[o] |
y[j] | ퟄ[ji][4] | ㅖ[je] | ㅒ[jε] | ㆌ[jy][5] | ㆉ[jø][6] | ᆜ[jɯ] | ㅕ[jʌ] | ㅑ[jɐ] | ㅠ[ju] | ㅛ[jo] |
만일 ᆜ에 대한 로마자 표기법을 만든다면 yeu 정도가 될 것이다(매큔-라이샤워 표기법 기준으로라면 yŭ).
예를 들어서, 'ᄀᆜ'를 발음하려면 '기으'를 한 음절로 축약해서, 즉 빠르게 발음하면 된다. '기아'를 한 음절로 축약해서 발음하면 '갸'가 되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3 사용예
3.1 한국어
- 일부 경기도, 경상도 방언에서 자주 나타나는데, 이는 ㅣ 다음의 ㅓ 발음을 제대로 안해서 생겨나는 현상이다. 보기) ᄋᆜᆼ감. ᄀᆜᆼ기도.
맛깔난다감탄사로써는 한숨을 내쉬듯이 내뱉는 말, 으ᄋᆜ (으유)[7] 가 있다. - '연하다'의 충청북도 방언의 '연'에 해당하는 음절의 모음이 이 모음이다.
- 쓸개의 (강원, 경기, 경북, 충청, 평안, 함경, 황해) 방언인 '열' 은 사투리에서 'ᄋᆜᆯ' 로 발음된다. 실제 저 이중모음을 발음할 때, ㅣ 발음 다음에 입이 더 벌어진다면 /열/이고 입이 다물어진다면 /ᄋᆜᆯ/이다.
- 호남 방언에서는 ㅕ의 발음이 ᆜ에 가깝게 나는 경우가 있다.
ᄋᆜ가 으듸라고 왔냐? - 그 밖에는 분노를 느낄 때 이를 갈면 이 모양이 ㅡ가 되기 때문에 이런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 병신이란 단어가 욕으로 쓰일 때. 소리 나는 대로 옮길 때 븅신이라고 쓰는 경우가 많지만 ㅠ를 발음할 때처럼 입술이 둥글어지지는 않는다. 즉 /븅ː신/이 아닌 /ᄇᆜᆼː신/(비응신)에 가깝다. '병신'의 첫 음절은 장음인데, 현대 한국어에서 'ㅓ'는 장음이 될 경우 아예 음가 자체가 'ㅡ'에 가깝게 붕 뜬다.(/jɤː/) 이게 표준 발음이다.
- 허구연처럼 ㅅ을 항상 [ɕ]로 발음하는 사람일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다(스[sɯ]→ᄉᆜ[ɕɯ]).
해설을 듣고 있으면 엄청나게 많은 용례가 나온다ᄉᆜ와쟥증ᄉᆜ빈 - 개그 콘서트의 코너 HER에서 마지막에 등장하는 이수지의 대사 중 '역병에 걸리고 말았지'가 있는데 잘 들어보면 [ᄋᆜᆨᄈᆜᆼ]에 가깝게 들린다. 발음기호로 표기해 보자면 [jɤk̚.p͈jɤŋ] 정도.
- 뭔가 맛깔나는 느낌 때문인지 아프리카 BJ 서농도 역병드립을 칠 때 이 발음으로 한다. 그 외의 경우에도 이 발음이 나오는 것을 가끔 볼 수 있다. ᆜ를 채팅창에 칠 수 없고 잘 쓰이지도 않는 발음이다보니 시청자들은 'ㅠ'정도로 표기.
영남대의 표기가 Yeungnam University이다. ᄋᆜᆼ남대로마자표기법을 제대로 적용시키자면 Yeongnam University. 대경대학교도 이런 식의 라틴 문자 표기를 쓴다(Daekyeung).
3.2 외국어
- 터키어 등 튀르크어족 언어들에서 상당히 많이 쓰이는 음가다. 터키어로 번개를 뜻하는 yıldırım의 경우, 실제 발음은 ᄋᆜᆯ드름이지만 표기의 한계상 이을드름, 일드름, 을드름,
여드름따위로 표기할 수밖에 없다.[8] - 가나 문자 중 ゆ(ユ)
그의 원래 음가는 yu(/유/)이지만 사람에 따라 ᄋᆜ에 가깝게 들릴 수도 있다. 한국어의 ㅜ와 ㅡ 발음이 일본어에서는 변별되지 않기 때문.ᅗᅮ지타 사ᄋᆜ리 - 중국어에서도 볼 수 있는데, 한어병음 yin, ying 등은 음운 체계상으로 각각 '/i/+/ə/+/n/, /i/+/ə/+/ŋ/'이기에 음운학적으로는 단순한 '인, 잉'이 아닌 'ᄋᆜᆫ, ᄋᆜᇰ'에 가깝다.
- 베트남어에서는 yư 발음에서 들린다. 그리고 베트남 남부에서는 vư, dư, giư 발음에서도 나온다.
- 에스토니아어 jõ 발음 역시 'ᄋᆜ'처럼 들리기도 한다. 다만 이쪽의 경우 정확한 발음은 [jɤ] 쪽.
- ↑ 이 표기는 지석영이 근대 시기 주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이는 'ᆝ'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신경준의 제안으로 오늘날 j+아래아는 'ᆢ'로 표기한다.
- ↑ /ɤ/는 /ɯ/와 비슷한 후설 비원순 모음이되, 살짝 입을 벌린 채로 발음하는 모음이다.
- ↑ 영어 단어 yeast의 발음 기호를 보면 /jiːst/라고 되어 있는데, 여기에서서의 /ji/가 바로 이 발음이다. 'y[j]'에 'ㅣ'를 더한 음가. 굳이 표기하자면 'ᅟퟄ('ㅣㅣ'의 합자)'겠지만 훈민정음 체계에서는 이에 해당하는 별도의 자모가 존재하지 않는다. 'ㆀ'를 이용하여 '괴ᅇᅧ[koj.jə]', 'ᄆᆡᅇᅵᄂᆞ니라[mʌj.i.nʌ.ni.ɾa]'의 [j.j], [j.i]와 같은 긴장된 협착음을 나타낸 경우가 있긴 하나, 지극히 제한적인 경우이다.(이 경우엔 '설측 경구개 접근음'(/ʎ/)을 발음한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 한편 이 발음은 현대 한국어에서도 종종 발음되는바, 첫음절에서 '이'를 발음할 때 특히 그렇다.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기준으로 '이순신'의 로마자 표기가 ' Yi Sun-sin'인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현행 표준 로마자 표기법으로는 'I Sun-sin'.). 내가 고자라니에서 '이게 무슨 소리야'라고 말하는 부분 역시 마찬가지.
Yee라고 생각하면 쉽다. - ↑ y[j]와 ㅟ[y]는 혀의 전후 위치, 고저 위치가 거의 비슷하되 전자는 원순성이 거의 없는 한편, 후자는 원순 모음이므로 한 음절 내에서 원활히 발음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한 음절로 결합할 수가 없는 발음이다. 역사적으로 훈민정음 당시에는 ㅠ+ㅣ를 연달아 발음하는 삼중 모음 [juj]일 뿐이었고, 근대에는 (ㅟ의 이중 모음 발음인) [wi]가 전설화된 [ɥi]가 등장하여 이 자모에 대응시킬 수 있게 되었으나 [wi]와 [ɥi] 모두 ㅟ로만 표기하게 되었다.
- ↑ 강원도 방언에 존재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또 묠니르의 원어 표기는 Mjöllnir인데, 이의 정확한 발음은 ᄆᆈᆯ니르다. 자세한 건 ㆉ 문서 참조.
- ↑ 이때는 으ᄋᆜ 보다는 으이ㅜ_유가 더 정확한 편이다.비슷하게는 ᆗ라는 글자도 있다.
- ↑ yıldırım의 ı는 i에서 머리가 빠진 글자로 한국어의 ㅡ에 해당하는 후설 평순 고모음(/ɯ/)의 음가를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