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한글 기본 자모 | |
자음: ᄼ · ᄾ · ㅿ · ㆁ · ᅎ · ᅐ · ᅔ · ᅕ · ㆆ / 모음: ㆍ | |
옛한글 겹자모 | |
자음 | ㅥ · ᅞ · ㅩ · ᄙ · ㅭ · ᄛ· ᇚ · ퟠ · ㅱ · ㅸ · ㅹ · ㅺ · ㅼ · ㅽ · ㅾ ᄽ · ᄿ · ᅂ · ꥶ · ᅄ · ᅅ · ᅇ · ᅊ · ᅋ · ᅏ · ᅑ · ꥹ · ㆄ · ㆅ · ꥼ |
모음 | ᆥ · ᆂ · ힱ · ᆃ · ᆆ · ㆉ · ᆍ · ㆌ · ᆗ · ힽ · ᆜ · ퟄ · ᆝ · ᆢ |
기타 | |
HCF | |
문서가 없는 옛한글은 틀:유니코드 한글자모 참고. 일부 모바일 환경에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음. |
ㅸ
1 발음
국제음성기호로 이 글씨를 표현하자면 [β]가 된다. 음성학에서 쓰이는 말로는 유성 양순 마찰음[1]이라고 한다.
발음 방법은 영어의 [v]와 같은 소리가 나는데 두 입술을 아주 살짝 벌려서 ㅂ 을 발음하면 된다.
유성 순치 마찰음 [v]와 유성 양순 마찰음인 ㅸ [β]는 조음 위치만 다르지 둘 다 성대를 울리고 조음 방법이 같으므로 두 발음을 구분하는 언어는 거의 없다.[2]때문에 둘을 분간하는 언어는 에웨 어 하나뿐이다. 어떻게 구별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2 본문
ㅸ은 가벼운 비읍, 여린 비읍, 순경음 비읍이라고도 한다. 절대 '븡'이나 '붕'이 아니다. 모양은 ㅂ+ㅇ의 꼴이기는 하지만 ㅇ은 발음이 나는게 아닌 소리를 약하게 내라는 표식이기에 겹자음으로 보지는 않고 개별적인 자음으로 본다.
원래는 한국어에 존재하는 음이었으나 1500~1600년대를 지나면서 사라졌다. 사라진 흔적을 찾아볼 수 있는 가장 좋은 사례는 ㅂ 불규칙 용언. '돕다' 등은 원래 '도ᇦ다'였고 '도ᄫᅡ'로 규칙 활용이 되었으나 원형은 ㅂ으로 굳어지고 활용형은 ㅗ로 굳어지면서 '돕다' - '도와'로 변하는 불규칙 용언이 되었다. 동남 방언에서 '더워'를 '더버'라고 하는 것도 ㅸ의 흔적이다. 다른 곳에서는 ㅜ, ㅗ 등으로 바뀐 것이 동남 방언에서는 일괄적으로 ㅂ으로 굳어진 것.[3]
북한에서는 1948년 조선어 신철자법에서 ㅂ 불규칙 용언을 규칙 용언으로 만들기 위해 새 자음을 만들었는데, 그때 ㅸ을 다시 재활용하진 않고 Y자 닮은(?) 새로운 글자를 만들어 썼었다. 물론 결과는 '번거로우니까 그냥 원래대로 돌아가자'였지만.
재미있게도 일본어에서 순음퇴화 현상이 일어나면서 원래 [p] 음가를 내던 は행이 붕괴하면서 현재의 [h]로 변화했는데, 그 과정에서 ㅸ의 추정 음가와 비슷한 양순 마찰음 [ɸ](무성 양순 마찰음이긴 하지만)을 지나갔다. 그래서 1400년대에 조선에서 만들어진 일본어 교재 이로파(伊路波)에서는 は(/ɸa/)를 'ᄫᅡ'로 적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름에 대해 논란이 있는데, 자음+모음, 자음+모음+자음으로 만들어지는 한글 자음 자모 이름의 특성상 'ᄫᅵ으ᇦ'이라고 쓰고 [ᄫᅵ읍]이라고 읽는 것이 맞다. 중세 국어의 음절의 끝소리 규칙에 따라 받침에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ㅅ[4], ㅇ'만 올 수 있었고 ᄫ은 ㅂ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옛한글로 입력할 때는 단순하게 ㅂㅇ을 치면 ㅸ으로 변환된다. 한글 중에서는 유일하게 세로로 자음이 겹쳐 있는 글자다 보니 받침으로 들어갈 때 모양이 심하게 망가져 보인다.
일본에서 가나 표기로 [v] 발음에 ヴ를 쓸 때처럼 1948년 <들온말 적는법>(외래어 표기법)에서는 [f], [v], [z], [l] 발음을 표기할 때 ㆄ, ㅸ, ㅿ,ᄙ을 살려서 쓰기로 한 적도 있었다. 하지만 정착되지 못하고 1958년 <로마 자의 한글화 표기법>에서 '현용 24자모만을 쓴다'라고 규정해 흑역사가 되었다.
지금까지 쓰게 됐다면 [b]와 [v]를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보기를 들어 'ᄫᅡ이올린' 따위. 외국말을 적을 때 [b]와 [v]를 구분해야 할 일이 많고, 외국어를 배울 때 정확한 발음을 익히기 위해서 IPA보다 좀 더 친숙한 한글의 생김새로 외국어를 배우기 좋을 것이다. 때문에 옛한글은 좀더 외국말을 쓸 때 좋을 것이다.
현대 한국어 맞춤법에서 쓰이지 않는 낱자이기 때문에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는 이 낱자를 어떻게 표기하라는 규정은 없다. 만약 어두에서 유성음으로 바뀌는 현상이 이 글자에도 나타났다면 유/무성음을 철저히 따지는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서는 어두에서 f, 어중에서 v 식으로 표기했을지도 모른다. 물론 어두에서도 유성음으로 발음했었다면 얘기가 달라진다. 현행 로마자 표기법에서는 대체로 유성음 버전으로 일괄적으로 적으므로('부산[pusan] - Busan) v라고 적었을 수도 있다.
자매품으로 ㆄ ([ɸ]) 이 있다. ㅸ은 ㅂ 불규칙의 원인을 설명할 때 들을 일이 좀 있는 데에 비해 ㆄ는 좀 인지도가 낮다. 외국어를 통해 발음은 익히 들었을 것이므로 그리 낯설지 않을 거다.
찌아찌아어를 한글로 나타내려고 했을 때 [v]를 표기하는데 이 문자가 쓰였지만, 찌아찌아어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흑역사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