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 넘어옴)

문장 부호 중 하나인 느낌표에 대해서는 !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이 문서는 토막글로 분류되는 800바이트 이하의 문서입니다. 토막글을 채우는 것은 기여자의 따뜻한 손길입니다. 이 틀을 적용할 시 틀의 매개변수로 분류:토막글의 하위 분류 중 적절한 분류를 지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옛한글 기본 자모
자음: · · · · · · · · / 모음:
옛한글 겹자모
자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모음 · · · · · · · · · · · · ·
기타
HCF
문서가 없는 옛한글은 틀:유니코드 한글자모 참고.
일부 모바일 환경에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음.

ᆝ, ᆢ!(느낌표)가 아니다

1 개요

ᆝ(이아래아 혹은 아래야) 혹은 ᆢ(쌍아래아)는 아래아에 [j]가 붙은 모음으로 아래아가 [ɒ]라고 가정할 시 [jɒ]이다.

유니코드: U+119D, U+11A2

2 역사

발음은 [이ᄋᆞ]를 빨리 말한다.

훈민정음에서는 방언과 아이들이 내는 소리를 표기하기 위해 아래아를 붙인ᆝ(이아래아)로 처음 소개되었다. 하지만 1750년 신경준은 j계 상향 이중 모음에 적용되는 재출(再出)의 원리(점을 두 번 찍는 원리)에 맞게 ᆢ를 소개했고,[1] 이는 제주어를 표기할 때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ᄋᆝᆷᄇᆝᇰ
  1. 다른 j계 상향 이중 모음은 점을 두 번 찍은 ㅛ, ㅑ, ㅠ, ㅕ이면서 아래아 앞에 j가 오는 상향 이중 모음에 대해서는 곧이곧대로 ᆝ를 쓰는 게 다소 자연스럽지 않기는 하다. 훈민정음 창제 당시에는 이 발음이 중앙어에 없었기에(방언 내지는 아이들의 소리였기에) 정식으로 재출의 원리를 적용하지 않고 '이런 것도 있더라' 정도로 언급만 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오늘날 국어학적으로 이를 표기할 때는 재출의 원리를 적용한 ᆖ를 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