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기호 델타에 대해서는 라플라시안 문서를, 도형에 대해서는 삼각형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옛한글 기본 자모
자음: · · · · · · · · / 모음:
옛한글 겹자모
자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모음 · · · · · · · · · · · · ·
기타
HCF
문서가 없는 옛한글은 틀:유니코드 한글자모 참고.
일부 모바일 환경에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음.

1 개요

'반시옷/가벼운시옷/여린시옷/반치음' 따위으로 불리는 한글 자모의 하나. 현대 한글에서는 쓰이지 않으며 옛한글에 속한다. 음가가 없어져서 이름에 대한 논란이 많다. '반시옷'이 많이 쓰이지만 자모의 이름에는 그 자모가 들어가야 하므로 굳이 '진짜 이름'을 만들려면 ㅿ을 써서 'ᅀᅵ으ᇫ'(ziɨz=현대 추정 음가입니다.)으로 표기해야 한다(훈몽자회상 이름은 ᅀᅵ(而)).

옛한글 입력기를 설치했다면 shift+ㅁ으로 입력할 수 있다.

2 발음

발음 듣기

현재 추정 음가로는 을 울리듯이 발음한다. 영어의 Z발음과도 같다.(훈민정음 창제 당시 ㅿ의 딱 맞아떨어지는 음가는 알기 어렵다).
일단 현재 정확한 음가를 추측하는 것은 힘들지만 여러 가지 설이 있고, 지금은 일반적으로 ㅅ의 유성음유성 치경 마찰음([z])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세종은 ㅿ를 반잇소리로 정했는데 이는 당~송 시기 때 정립된 중국 음운학의 자음 분류법에 영향을 받은 것이다. 중국 음운학에서 반치음은 (해 일)의 자음이라고 하였는데 음운학 정립 당시 日자음의 음가는 ȵ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헌데 ȵ의 발음은 잇소리가 아니라 혀소리에 가까워서 ȵ일지는 모른다. 그리고 이 음의 음가가 불안정해서인지 한자가 전파될 때 각 지역마다 [ȵ]의 음가가 상당히 변하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ȵ] 음가가 그대로 보존되는가하면[1] 다른 지역에서는 ʑ가 되고[2], z가 되거나[3], j가 되거나[4], ɻ가 되는 등[5] 다른 성모에 비해 지역별 자음 변화가 컸다. 그래서 훈민정음 창제 당시 ㅿ의 딱 맞아떨어지는 음가는 알기 어렵다. 일단 세월이 흐르면서 여러 문헌에서 Z 발음을 표기하는 데 이 글자를 쓴 건 사실이다.[6]

한국 한자음 중 원래 이 발음을 초성으로 갖고 있던 한자는 현대 중국 병음은 예외없이 r로 시작하고, 일본 한자음은 예외없이 ざ행이거나 た행이다.


또ㅣ([i])나 ㅑ, ㅕ, ㅛ, ㅠ 등 경구개 접근음([j])이 결합된 이중 모음의 앞에서는 유성 치경구개 마찰음([ʑ])을 썼다고도 추측한다. 한편 교육 과정에는 이 자음의 발음을 어떻게 하라는 규정은 딱히 없기 때문에, 일선 학교에서 고전 시가 등을 낭독할 때 별별 소리가 다 나오기도 한다. 위 추정대로 [z]로 발음하는 사람부터 시작해서 ㅈ, ㅅ으로 읽거나 아예 그 부분만 빼놓고 읽는 사람까지… 예를 들어, 'ᄀᆞᅀᆞᆶ(가을)을 발음할 때 앞의 'ᄀᆞ'는 다들 그냥 '고'또는 '거'(gɒ)처럼 발음하는데 뒤의 'ᅀᆞᆶ'은 [zɒl], [d͡ʑɒl], [sɒl], [ɒl] 등이 다 나온다는 얘기. 앙드레 김의 ㅈ 발음을 생각하면 쉽다. 즈질이야

3 반시옷의 소실

16세기 말에 발음이 소실된 것으로 추측되며, 17세기에는 보기 드물게 되고 18세기에 이르면 사라진다. 문헌상으로는 18세기까지 나타나지만, 이때까지 남은 표기는 과거의 서적을 재간하면서 오래된 표기가 남은 경우나 아니면 외국어를 표기한 사례에 국한된다. (디ᅀᅦᆯ 같은 거) 반시옷으로 표기되던 발음은 현대 한국어에서는 가까운 발음인 ㅇ(음가 x), ㅅ, ㅈ 등으로 바뀌었다. 예를 들어 중세 한국어의 '여ᅀᆞ'(jʌzɒ)는 표준어 내지는 서울 방언에서는 '여우'가 됐고 동남 방언에서는 '여시'가 됐다. 여조 그럼 zoo가 oo로 바뀌냐?

한편, 북한에선 정부 수립 시기에 조선어 신철자법이 제정되면서 ㄷ 불규칙 활용을 하는 용언의 어간에서 ㄷ 받침 대신 쓰는 용도로 ㅿ이 부활했지만(예: 깨달아 → 깨다ᇫ아[k˭ɛdaza]) 국어사를 생각하면 ㅅ 불규칙 활용에 쓰는 게 더 타당하지 않을까? 실생활에서 별로 쓰이지 않았고, 김두봉이 실각하면서 다시 폐지되었다.
  1. 베트남, 일본어 오음(吳音)
  2. 일본어 한음(漢音), 민남어
  3. 중국 일부 도시의 방언
  4. 광동어, 현대 한국 한자음
  5. 표준중국어
  6. 조선 후기 일본어 학습서에서 ざ 발음을 표기하는 데 쓰였고, 흑역사가 되긴 했지만 '들온말 적는 법'이라는 외래어 표기법에서도 z을 ㅿ로 적으라고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