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노래를 부르는 능력. 노래를 잘 부르는 사람에게 가창력이 좋다고 하는데 당연히 가수에게는 필수 불가결적인 요소 중 하나다. 심지어는 가창력의 필요성이 적을 수도 있는 한국 아이돌에게도 대중들이 요구하곤 한다. 한국에서 립싱크가 사장되다시피한 것은 이 때문이다.
반면 일본의 경우는 아주 옛날부터 가수들의 가창력이 전반적으로 좋지 못하다 보니 대중들이 프로 가수들에게 가창력에 크게 무게를 두지 않았으며[1] 따라서 가수들은 가창력보다는 작사, 작곡 능력 등 가창력을 보완해줄수 있는 다른 능력이 더욱 요구되었다.
2 상세
대체로 가창력이 좋으면 그 가수가 논란이 있는 게 아닌 이상 인기가 높을 가능성이 크다. 하현우, 임창정, 박효신, 인순이, 김범수, 나얼 같은 가수들이 이를 증명한다.[2]
젊은이들 사이에선 고음병의 영향인지 대체로 가창력이 좋은 가수를 꼽을 때 고음을 깔끔하게 잘 소화해내는 가수들을 주로 꼽는 경향이 있는 편인데 가창력을 평가할 때 가사 전달력과 호소력을 빼놓을 수 없다. 괜히 김광석, 김현식 [3]같은 가수들이 본좌로 칭송받는 게 아니다. 해외에서 이와 비슷한 예는 역시 지금은 세상을 떠난 오자키 유타카가 있다. 고음을 잘 올리는 가수들은 찾아보면 의외로 많지만 가사 전달력과 호소력이 좋은 가수는 찾기 매우 힘들다. 즉, 가창력을 평가하는 데는 상당히 복잡한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고 봐야 한다.
정리하자면 고음은 단지 노래를 표현하기 위한 한 가지 요소일 뿐이며, 현재 가요계만 봐도 화려한 고음 없는 탄탄한 중저음과 자신만의 음색 및 작사/작곡 등으로 커리어를 쌓아 가고 있는 가수들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김동률, 루시드폴, 이적 등의 가수를 들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