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레

상위 문서 : 한국 전통 문화 관련 정보

1 개요

한국에서 옛날부터 내려오는 풍습. 밖으로 놀러 나갔을 때나 에서 음식을 먹을 때 "고수레!"하며 음식을 던지는 풍습.

사전에 등록되는 이름은 고수레지만 고시래,고씨례,고씨네 등등 굉장히 많은 바리에이션이 있다. 이렇게 이명이 많은 이유는 후술할 내용인 많은 기원설때문인듯.

요즘에 들어서는 이것을 아는사람도 없을뿐더러 남겼으면 남겼지 이렇게 버리는 사람은 없어서 거의 없어진 풍습이나 다름없다.음식물 쓰레기 길거리에 막 던진다고 경찰서에 잡혀가지 않으면 다행이다 오히려 야생동물들이 이런걸 받으면 인간에게 먹을걸 의지하게 되어 사냥 본능이 없어진다며 이를 자제하라고 말하던 때도 있었다.

야생동물과 먹을 것을 나눈다는 생각에 만들어진 풍습이라고도 한다.

2 기원설

2.1 경상북도 안동

경상북도 안동에 고씨성을 가진 할머니가 있었다. 가족도 없었는지 들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먹을것을 베풀어서 끼니를 이어갔는데 이 할머니가 돌아가셨다. 할머니에게 음식을 주었던 사람들이 죽은 고씨할머니를 생각하면서 밥을 먹기 전 음식을 떠서 "고씨네!"하고 허공에 던졌다는 이야기. 이 "고씨네!"가 고수레로 바뀌었다고 한다.

상당히 대표적인 이야기이며 나머지 이야기들도 고씨 성을 가진 등장인물이 나온다.

2.2 고씨 지주설

옛날에 고씨 성을 가진 지주가 있었는데 마음씨가 좋았는지 흉년이 들면 소작인들의 소작료를 감면해준다던가 해서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 그래서 그에 대한 감사의 표현으로 음식을 먹을 때면 음식의 일부를 허공에 던지면서 "고씨례(高氏禮) (고씨에게 예를 갖춘다는 뜻)이라고 외쳤고 이가 고수레가 되었다는 설이다.

2.3 규원사화

숙종때 책인 규원사화라는 책에서는 고시레의 유래에 관한 얘기가 나오는데 고시씨가 옛날 사람들에게 을 가르치고 농사짓는 방법을 가르쳤다고 한다. 신농씨? 후대 사람들이 이를 감사하여 "고시네"라고 외쳤던 것이 고수레가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 책이 신뢰도가 영 아닌지라...

2.4 농경신 자청비를 대접하는 행위

한국 신화의 농경신이자 이세경본풀이의 주인공격인 여신 자청비는 특별한 제단이나 신체가 없는 대신 밭에서 밥을 떠 던지며 "고시래!"를 외치는 행위가 농경신을 대접하는 행위라고 한다. 출처: 제주 향토문화대전

3 방언

제주도 지역에서는 '걸명'이라고 한다.

'고시레'라는 말은 강원,경남지역의 방언이라고 사전에 나온다.

평안북도에서는 '쒜'라고 한다. 한국말 맞아?

강화도에서는 퇴기시레라고 한다.

4 기타

한류스타 배용준일본에 '고시레'라는 이름의 한식집을 열었다. 드림하이에도 나왔다.[1] 귀신항목에 따르면 제사지낼때 고수레를 하는데 고수레를 한 음식은 얼마 지나지 않아도 상하려고 하고 조상님께 드리는 음식은 달고 향기가 난다고 한다. 귀신은 음식의 양기를 뺏어먹고 조상님께서는 음식에 양기를 불어넣어준다고 한다. 물론 귀신항목의 이 내용의 각주[2]에 나와있듯이 믿지는 말고 재미로 넘어가자.

4.1 장윤정의 노래

2006년 3집 '이따 이따요' 수록곡

  1. 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102080100050180003631&servicedate=20110208
  2. 이 부분은 환빠 논란 중인 증산도 , 대순진리회 의 '도를 아십니까'에서 교육시키는 내용이기도 하다. 재미로 읽어보고 넘깁시다. 라고 쓰여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