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사당

1277185767-12.jpg

1 소개

정식 명칭은 인왕산 국사당(仁王山國師堂). 한국 무속신앙에서 신을 모셔놓고 굿을 하는 데 편하도록 민가와 좀 떨어진 곳에 짓는 굿당 중 하나로, 중요민속문화재 제28호(1973년 7월 16일 지정)로 지정되어 있다.

2 역사


국사당의 신목.
인왕산 국사당의 건립연대는 확실치 않다. 다만 건축 양식이나, 진열하고 있는 무신도의 신격, 조선왕조실록에 남산의 산신을 목멱대왕에 봉했다는 기록이 나오고, 목멱신사(木覓神祠)에 관련된 기록이 있어 조선시대에 지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래 국사당은 서울 남산 꼭대기(지금은 팔각정이 위치)에 지어진 건물이었다. 그러나 1925년 일본인들이 남산 기슭에 조선신궁(朝鮮神宮)을 지으면서 국사당이 자기들의 신사보다 높은 곳에 있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겨 이전을 강요하면서 결국 지금의 위치로 이전되었다. 이전 장소를 인왕산 기슭으로 택한 것은 태조 이성계무학대사가 그곳에서 기도하던 자리라고 전해지기 때문이다.

앞면 3칸, 옆면 2칸이고 양끝의 2칸은 이곳으로 이전한 후 새로 지은 것이다. 1칸은 4쪽의 여닫이문으로 되어 있고 지붕은 맞배지붕이다. 내부의 3면에는 무신도가 걸려있고 마루에는 제상을 차리고 굿을 하는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 건물보다 구조는 간단한 편이나 그 규모는 더 크며, 이전 당시 원래 사용하던 자재들을 그대로 가져와 건축하였다.

여담으로, 국사당의 이전은 일본의 피지배 조선에 대한 나름의 배려의 증거이기도 하다. 문화 말살의 의도가 있었다면 국사당을 이전하지 않고 철거했을 것이기 때문. 다른 경우에도, 일본은 순종 황제이 살아 있을때까지는 나름 조선민을 의식한 움직임(시늉)을 보이기도 했다. 물론 중일전쟁 이후로는 그런거 없다 그냥 벼락맞을까봐 무서웠던 게 아니고?

3 기타정보


국사당의 내부 모습. 내부의 단청은 단청 중 가장 화려한 금단청으로, 조선시대부터는 사찰같은 종교건물 위주로 사용했다. 다만 유교건물에서는 검소함을 추구했기에 거의 사용하지 않았다.[1]

국사당에 모셔진 신들은 다음과 같다.

국사당은 무당개인이 운영하는 신당이 아니라 관리자인 당주(堂主)가 따로 소유하고 있으면서 무당의 요청이 있으면 유료로 빌려주는 굿당이며, 일반 개인도 처럼 개인적으로 찾아와 참배하고 기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근처 환경이 환경이니만큼 주변에 암자와 절, 교회가 잔뜩 섞여 있지만 역사적 상황 때문인지 이렇다 할 종교문제가 터지는 경우는 별로 없다.[7]

국사당의 근처에는 선바위가 있고, 선바위에서는 독립 운동가들이 많이 투옥되었던 서대문형무소가 바로 보이는 위치에 있다. 과거 일제의 압제에 시달리던 독립 운동가들이 갇혔던 서대문형무소와 일제의 압박에 밀려 옮긴 국사당의 묘한 조화는 많은 이들에게 강한 인상과 여운을 주고 있다.

선바위의 모습.

일부 무속 연구자들은 이 인왕산 국사당을 이슬람교의 메카나 일본의 이세신궁마냥 한국 무속신앙의 중심지인 것 마냥 주장하는 경우가 있는데,[8] 우리나라의 무속은 이슬람교신토처럼 국가 주도하에 하나의 단일 교단 형태로 통일된 적이 없다. 과거 나라에서 특정 지역의 명산대천에 직위를 내린 것도 어디까지나 나라를 지켜달라는 주술적인 의미와 민심의 위무 차원일 뿐 특별히 국가 주도로 무속신앙의 교리나 교단을 정비하고 각 지방신의 위격을 일일이 구분해 모든 지역에 통일시키거나 한 적은 없기에 한국 무속의 중심지라는 표현은 적절치 못하다.[9][10] 하지만 그와 별개로 우리나라의 역사가 담긴 중요한 문화재라는 것은 변함이 없으니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져야 할 것이다.
  1. 다소 예외적인 경우로는 환구단이 있다. 여기 단청은 유교 건축물치고는 다소 화려한 편.
  2. 최영 이라는 주장이 있다.
  3. 천연두를 옮기는 신.
  4. 역시 천연두와 관련된 신.
  5. 점술과 관련된 신이다.
  6. 예능의 신.
  7. 반면에 이태원의 부군당은 기독교인이 토지를 매입해 바로 옆에 교회가 들어왔다. 물론 이 경우도 다행히 별 사고는 없다. 여담으로 역사적으로 이쪽도 영 일제랑 안좋은 일들이 많았다고 한다.(일본 순사들이 말을 타고 앞을 그냥 지나다니면 사고가 생겨 함부로 못 건드렸다고 한다) (민속원 저, '서울 이태원 부군당굿' 참조)
  8. 대표적으로 조성제와 최준식.
  9. 무속신앙 내에서 자체적으로 각 지역의 유명한 명산대천이나 기도터의 품계를 나누는 것은 있었다.
  10. 이슬람이나 신토의 제정일치적 컨셉에 대응하는 시설로써 종묘환구단을 꼽을 수는 있지만, 무교(巫敎)와는 전혀 상관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