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신령

한국 신화에 자주 등장하는 신적 존재.

1 설명

%ED%98%B8%EC%95%94%EB%AF%B8%EC%88%A0%EA%B4%80-%EC%82%B0%EC%8B%A0%EB%8F%84-228x300.jpg
호암미술관 소장 산신도(출처)

말그대로 에 사는 신령. 주로 백발에 긴수염을 가지고 흰옷을 입은 할아버지로, 등장 장소는 속이나 산중의 알 수 없는 곳, 또는 연못, 옹달샘 등이다. 산이 많은 한국답게 전래동화에 단골로 출연하며, 주로 심마니에게 산삼의 장소를 가르쳐주거나 도끼를 빠뜨린 나무꾼에게 귀금속 도끼를 막 주거나[1] 한다.

무속에서는 조금 더 격이 높아져 산 하나와 가까운 지역을 관리하며, 호랑이를 수하로 부리며 타고 다니는 경우도 있다. 선도에서는 수행을 열심히 하는 이를 직접 보호하거나 부하를 시켜 보호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대충 취미로 산삼 등의 희귀식물을 키우며 애완동물로 야수를 키우는, 늙지 않는 산 관리인 정도라고 보면 되겠다. 다시 말해 산의 인격화.

또한 산신도 위격에 따라 등급이 있어 낮은 산신들은 야트막한 산을 다스리지만 높은 산신은 특정 지역에서 가장 높고 지역 산줄기의 중심이 되는 높고 거친 산에 살면서 다스린다고 한다. 산신기도를 지낼 때도 낮은 산신은 조금만 소원을 빌어도 잘 받어주지만 큰 일은 잘 못하며, 높은 산신은 어지간해서는 기도를 잘 받지 않지만 정성이 닿으면 큰 일도 쉽게쉽게 들어준다고 한다. 하지만 아무리 낮은 위격의 산신이라 해도 서낭신이나 솟대, 장승 등 마을신보다는 높은 위격의 신으로 모셔진다.[2] 다만 지역에 따라 분류가 애매모호한 경우도 있다.

일설에 따르면, 고대 사회에서 산은 풍부한 물자를 품고 있으나, 호랑이 등 맹수들의 서식처이기 때문에 보물고이자 동시에 공포의 대상이었고, 그에 따라 산신이나 산신령등 산을 관리하거나 주인의 역할을 하는 신들은 매우 격이 높은 신으로 여겨졌다고 한다. 하지만 사회의 규모가 커지고, 불교나 유교 사상이 들어서고, 기술이 발달해 산의 위험이 줄어들면서 점점 그 격이 떨어졌다고 한다.

2 남녀 산신령

%EC%82%B0%EC%8B%A0%EB%8F%84-248x300.jpg
조선시대 산신도. 당시로는 보기 드문 여성 산신을 묘사했다.(출처)
보통 할아버지로 많이 묘사되지만 할머니나 아줌마, 부부 산신도 존재한다. 일설에 따르면 본래 산신은 농경신/지모신적인 여신이었는데 이에 짝을 지우고, 유교 전통이 깊숙히 침투함에 따라 그 남편이 산신으로 대체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한다. 여성 산신의 일례로 꼽을 수 있는 것이 첩자의 꼬임으로 적성국 탐험여행(?)을 떠나려다 세 미녀의 만류로 돌아온 김유신 설화이다. 이때 김유신을 구한 세 미녀가 서라벌을 지키는 세 산의 산신이었다. 덧붙여 일본에서는 산의 신은 질투가 심한 여자라고 한다.

그러나 산신을 원시시대 수렵이 주 경제수단이던 시절의 사냥의 신에서 유래했다고 보는 설에서는 남신이라고 하며, 과거 주요 사냥터였던 산을 다스리는 점과 사나운 맹수호랑이와 관계되거나 호랑이를 부리는 것을 그 근거 중 하나로 들고 있다. 제주도의 산신멩감신앙이 대표적인데, 여기서 산신멩감은 수렵신으로 산신군졸들을 거느리고 다니는 남성적인 성향을 보인다.

3 대중문화 속의 산신령

임달영박성우흑신에서는 본래 여신이었다는 일설을 따라서 여자로 묘사한다.플러스 모에선

4 관련 항목

  1. 다만 이 금도끼 은도끼 설화는 본래 한국의 전래동화가 아니라 이솝 우화에서 유래한 것이다.
  2. 민속학에서 산신은 상당신, 장승이나 서낭신 등의 마을신은 하당신으로 분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