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기보법

< 국악

1 정간보

정간보 항목 참고

2 율자보

Uploads:"Iulzabo-chun.JPG"
현행 낙양춘의 율자보

따로 음의 길이를 표시하지 않고 백지 위에 그냥 음이름만 글자로 줄줄 써내려간 원시적인 기보법이다. 그냥 음이름 외에는 다른 악상부호가 없기 때문에 곡 전체의 빠르기나 각 음의 시가를 모르는 단점이 있다.
고려시대 대성아악에 주로 써 왔고, 조선조에 이르러 종묘제례악을 비롯 많은 악보들이 율자보로 기록되었다. 세종실록 악보나 악학궤범에도 율자보 악보가 많이 전한다. 정간보를 제외한, 아래 서술한 악보들도 모두 율자보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1]
현대에는 문묘제례악종묘제례악의 보태평과 정대업, 경모궁 제례악, 여민락 만, 낙양춘, 정동방곡, 유황곡 등 음의 길이가 일정하고 속도가 느릿한 음악을 기보할때 사용한다.
대학교 동아리같은 곳에서 연주회에 창작국악을 연주할 때 쓰기도 한다. 멜로디는 알고 있는데 순서는 헤깔리고 악보도 따로 구하지도 못했을 때 대충 율자보로 적어놓은 다음 기억을 되살려서 연주하는 방법으로도 사용한다. 귀차니즘의 극치

3 공척보, 약자보

기본적인 방식-즉 종이 위에 음만 줄줄 내려 스는 방식-은 율자보와 같지만, 음이름을 쓸 때 제대로 된 이름 대신 다른 부호를 쓰는 방법이다. 공척보는 음이름 대신 획이 좀더 간단한 다른 글자를 썼고, 약자보는 공척보에 쓰는 한자를 간략화해서 가타카나같이 생긴 부호를 쓴다.

음이름
공척보
약자보

합사일일일상구척공범범범육오
무마ㄱㄱㄱ요레이후리리리와소
표에서 볼 수 있듯이 공척보는 두세 음이 한 문자로 표현되는 경우가 있어 음높이나 율명이 분명하지 않은 것이 단점이다[2]. 약자보 역시, 공척보의 문자를 간략화한 것이기 때문에 마찬가지의 단점이 있다.

4 합자보

거문고 악보를 쓸 때 사용하는 악보이다. 술대를 쓰는 방법, 타는 줄, 괘 이름, 괘를 짚는 왼손 손가락 등을 모두 기호화한 후 이를 합하여 율자보로 표시하는 방법이다. 정간보로 된 악보보다 훨씬 자세하게 탄법을 알려주는 악보이기 때문에 독학하기에 굉장히 좋은 악보이다. [3] 하지만 기보법이 복잡하고 어렵기도 하고, 결정적으로 율자보식 표기방법을 쓰기 때문에 음의 싯가를 표현하기가 힘들다는 점 때문에 요즘은 쓰이지 않는다…. 물론 정간보와 결합한다면 충분히 활용될 가능성이 있는지도.

5 오음약보

조선 세조가 창안한 기보법으로, 정간보에도 적용되어 사용되었던 기보법. 율명을 직접 쓰지 않고 어떤 선법의 기음(으뜸음)을 宮으로 표시하고 이 음의 위 음은 上一 上二…, 아래 음은 下一, 下二…, 등으로 표기하는방법이다.[4] 악보에 宮의 높이와 선법(평조/계면조)을 명기하면 음의 높이를 쉽게 알 수 있으나… 사실상 그냥 율명을 쓰는 게 직관적으로 곡을 파악하기 용이하기도 하고, 결정적으로 5음음계가 아닌 음악들은 기보가 무척 곤란하다는 점이다.
말하자면 黃이 중심음인 평조 선법 음계라면
下五는 僙(솔)
下四는 㑀(라)
下三은 㑖(도)
下二는 㑣(레)
下一은 㑲(미)
宮 은 黃(솔)
上一은 太(라)
上二는 仲(도)
上三은 林(레)
上四는 南(미)
上五는 潢(솔)

黃이 중심음인 계면조 선법 음계라면
下五는 僙(라)
下四는 俠(도)
下三은 㑖(레)
下二는 㑣(미)
下一은 㒇(솔)
宮 은 黃(라)
上一은 夾(도)
上二는 仲(레)
上三은 林(미)
上四는 無(솔)

上五는 潢(라)
  1. 그래서 정간보가 위대한 거다.
  2. 하지만 정악에 한해서는 합리적인 방법이라고도 볼 수 있다. 정악에 있어서, 5음 음계가 주로 사용되고 사용되는 조도 많지 않다. 따라서 大와 太, 夾과 姑같은 반음 관계의 음이 한 음악 내에서 나오는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악곡의 조성만 잘 안다면 一이 夾인지 姑인지 충분히 인지할 수 있다는 뜻이다. 물론 예외가 있다는 게 문제.
  3. 실제로 가야금이나 다른 국악기의 경우 정간보만 보아도 어느정도 독학이 가능하지만 거문고는 정간보만으로 독학이 어렵다.
  4. 이 때문에 상하일이지보라고 불리기도 했다고 서술되어 있었는데, 그게 아니라 같은 궁을 가진 평조와 계면조의 상1과 하1음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의미에서 상하일이(다를이)지보 라고 불린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