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法
Martial law
1 소개
일반사회와는 달리 군대에서 주둔 및 생활하고 있는 군인(사병), 군 간부, 군 장성, 군무원 등을 대상으로 지정한 법체계. 넓게는 전시지역, 점령지역, 군 직할지 등에서도 통용되며 일반사회와는 다른 법체계를 구성하고 있다.
군법에서는 군인이 해서는 안 될일에 대한 징계 및 처벌규정과 군대 내에서의 비리척결, 그리고 군대에서 지켜야 할 원칙사항과 군대에서 적용되는 생활 및 병무상의 절차에 따라 법칙을 지정하고 있으며 사병, 간부, 장성, 군무원에 속하는 모든 이들에게 적용되는 법체계이다.
이 법체계에 속하는 법으로 군형법, 군인사법 등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군법이라고 하면 군형법만 생각한다.
다만 전환복무자의 경우 군법이 적용되지 않으나 복무지 이탈 등의 경우에 한해 군형법과 유사한 법령이 전투경찰대설치법, 의무소방대설치법, 교정시설경비교도대설치법 등 자체 법령으로 따로 마련되어 있다.
공식적인 군대가 없는 일본에는 자위대법이라는 군법과 비슷한 법률이 있다.
2 군인에게도 민간법이 적용된다!
군인에게도 민간법이 적용된다. 특별법 우선 원칙에 의거, 군법을 우선 적용할 뿐이며 군 관련 법에 별다른 언급이 없다면 형법, 민법 등 모든 민간법이 그대로 적용된다. 엄밀히는 군형법 등이 아니라 군인사법에서 정의된 사항이지만 많은 사람들의 오해가 있어서 군법 문서에서 기술한다.
도시전설 중 하나가 군인은 민간법이 적용되지 않는다인데[1], 사실은 군형법 제 4조를 봐도 나와있듯이 군 관련법(군형법, 군인사법 등)을 우선 적용하되 군법에 별 말 없으면 민간법으로 적용한다는 점이다. 군인도 결국 대한민국 국적자이기 때문. 추가되는 것은 형사처벌과 무관히 따로 존재하는 군인사법 제 57조에 근거한 징계절차다. 일반 공무원의 범죄에 대해서도 견책, 감봉부터 파면까지 징계가 가능한데(국가공무원법 제 79조) 이것과 거의 똑같다. 단지 경찰, 검찰, 법원의 3단계가 대신 헌병 수사과, 군 검찰, 군사법원으로 바뀔 뿐이다.
즉 군인이나 군에 속한 사람이 범죄를 저지르거나 송사에 휘말리면 무조건 헌병 수사과에서 조사를 받고, 그 다음 혐의가 충분하다고 판단되면 검찰로 넘겨 기소 여부를 결정하고[2], 기소되면 민간법을 위반했건 군법을 위반했건 무조건 군사법원에서 유무죄를 결정하는 식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군사법원법이 따로 존재하는데 보통의 형사소송법을 그대로 복사한 것에 가깝다. 또한 군사정권 시절 무지막지한 군 권력 남용 등으로 인해 군형법, 군사법원 등에 대해 아직도 반감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런 문제점 때문에 현재는 군형법도 대한민국의 헌법 아래 있는 법이며 100% 절차를 준수하여 판단을 내리고 재판 자체도 공개된다. 보통의 형사사건은 헌병이 교도관을 맡고 군검찰이 기소를 하고 군재판관이 양형을 부과하는, 그냥 민간에서 하는 것과 거의 100% 같다고 보면 된다(판사의 판결에 따른 기록이므로 전과기록이 전역 후에도 남는다). 예를 들면, 병사의 휴가 중 음주운전 행위의 경우 군형법에 관련 법이 없기에 도로교통법이라는 민간법으로 벌금형이나 집행유예 등의 형사적인 처벌을 받고, 운전면허 정지 또는 취소도 똑같고[3] 이후 전과기록 및 행정처분기록, 벌점 관련 사항도 민간인과 똑같다. 면허취소 처분이 내려졌다면, 전역 후(정확히는 결격기간 이후)에 운전면허를 다시 따야 하는 점도 똑같다. 휴가가 박탈되거나 영창에서 있으면서 군 복무기간이 늘어나는 등의 징계가 추가된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그리고 군사법원 유죄판결자는 관심병사 명단에도 오른다. 고참과 후임, 간부로부터의 따가운 질책은 보너스 하사 이상의 경우는 견책, 감봉 등의 징계가 존재한다. 단, 영내에서 후임병이나 상관을 폭행한 경우는 군형법에 특별 조항이 있어서 이 경우는 민간법보다 군법이 우선하게 된다.
요약하면, 군법+민간법은 맞는 말이지만, 처벌 자체를 군법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군사법원에서 재판을 하고 추가로 군 관련 법률상의 징계절차가 따른다는 의미다. 물론 징계절차가 무의미할 정도로 큰 죄를 지었다면 그냥 군에서 쫓겨나며, 군형법이나 군인사법 등에 없는 내용이라면 처벌은 민간법이 적용되고 다만 기소와 재판은 군사법원에서 하게 된다. 군사법원은 단지 군인이나 군 조직에 속해 있는 민간인에 대해 재판하는 곳일 뿐이다. 그래서 일부 국가에서는 어차피 임무가 중복되는데 굳이 평시에 군사법원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고 폐지하기도 하지만 미국처럼 그대로 유지하는 나라들도 많다.[4]
3 처벌
양형이 확정되면 징역 1년 6월 이하의 형을 선고받은 병사와 단기 부사관은 국군교도소에서 복역한 뒤 출소하며, 징역 1년 6월 이상을 선고받았다면 민간 교도소로 이송하여 복역하게 된다. 단 장기부사관이나 장교(단/장기 모두 포함), 군무원은 양형과 무관하게 국군교도소에 수감된다. 사형수의 경우에도 국군교도소에 수감된다.
헌법 제 27조 2항에 나오는 죄에 해당한 죄를 저지른 민간인들이 군법에 의해 군사재판을 받을 경우 민간 교도소에서 복역하며, 미성년자는 소년교도소 혹은 소년원에서 복역한다. 다만 미성년자의 경우 군사법원에서 군사재판을 받을수도, 가정법원 소년부로 송치되어 소년재판을 받을 수도 있지만 말이 소년재판이지 군법으로 다스려지므로 가정법원에 의한 군사재판이라고 봐야한다.
3.1 군법과 민간법 간의 관계를 규정하는 사례
군 관련이라고 해서 민간과 완전히 괴리된 것은 아니다. 아래 사례는 군 관련 사례 중 민간의 사례를 그대로 가져오는(준용하는) 사례를 서술한다.
공통적으로, 군법이 민간법과 다름을 강조하며 법률심까지 끌고 갔다가 오히려 민간법이 군인에게 그대로 적용된다는 것만 확인하고 피고인의 KO패로 끝난 사건들이다. 실제로 옛날 사람들 인식 자체가 "군인이 대한민국 법외의 인물인 줄 아는" 사람도 부지기수다. 다시한번 말하지만, 군인이라고 해서 대한민국 법외의 인물이 아니다.
3.1.1 자동차
군 작전용 차량은 기동 장비 및 기계적인 특징에 있어서는 자동차관리법이 아니라 군수품관리법의 적용을 받지만, 기능적 측면에서 민간 도로를 운행하는 중에 생기는 모든 문제는 일반적인 도로교통법의 적용도 동시에 받는다(대법원 94도1519, 해당 사건의 차량은 현대 포니엑셀). 기계적 특징상의 군용 승용차는 군용 장비이만, 민간 도로로 나오면 다른 자동차와의 관계에서 교통 질서를 준수할 의무가 있는 자동차 기능을 하는 물건, 즉 자동차가 된다. 군이 민간과 관련된 모든 사건의 경우 민간법을 동시에 적용받는다는 의미다. 군용 상용차, 두돈반같은 야전트럭 뿐 아니라 장갑차 등 전차(戰車)를 민간 도로에 끌고 나와도 마찬가지. 따라서 (자동차관리법에서 말하는 차량과 비슷한 형태임이 명백한) 군용 차량으로 일반 도로에서 법규 위반(사소한 신호위반부터 음주운전 뺑소니 사고까지 모든 것을 말한다)을 했을 경우 일반 도로교통법으로 처벌이 가능하게 된다.
만약 이런 대법원 판례가 없다면 군용 상용차는 일반도로에서 소달구지나 자전거인가? 라는 의문이 생길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확한 판례는 없지만 뉴 슈퍼 에어로 시티같은 일정 규정을 충족하는 군용 버스도 버스이기에 이러한 버스가 버스전용차로를 달릴 수 있다는 근거도 된다. 즉 군용버스는 버스처럼 생긴 물건이 아니라 그냥 버스다.
3.1.2 군 내 성범죄
대법원 2014도2585에 의하면 군형법상의 군인도 성폭력 신상정보 공개 대상이며, 특별법인 군형법 상의 강간 및 강제추행 등도 가해자 및 피해자가 군인인 것만 다를 뿐 나머지는 일반 강간 및 강제추행과 똑같아서 신상정보 공개가 된다는 취지다. 원래 신상정보 공개법에는 군형법 상의 성폭행이 없지만 사람이 누군지에 따라 행동이 같은데 범죄 자체가 달라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만약 저런 대법원 판결이 없다면, 이런 생각도 가능하게 된다. 남자 군인이 부하 여자 군인을 성폭행한 것은 성폭행이 아니라 아주 특별한 행위인가? 즉 군형법상의 성범죄도 별개의 성범죄가 아니라 일반 성범죄의 일종임을 알려준 판결이다.- ↑ 예전에는 주민등록증을 주임원사나 대대장이 보관하였으며 휴가 중에도 휴가증과 군번줄로 신원 파악을 했는데 이 때 생긴 도시전설로 추정된다. 물론 지금은 주민등록증을 개인이 각자 알아서 보관한다. 군인이 된다고 해서 주민등록번호 대신 군번으로 100% 대체하는 것이 아니다.
- ↑ 가벼운 범죄일 경우 99% 이상 부대로 다시 보내서 징계하라고 한다.
- ↑ 운전병이면 군 운전면허도 동시에 적용됨.
- ↑ 다만 미국에서는 판사와 검사의 신분이 군인이 아니라 그냥 군에 소속된 민간인이다. 다만 여기도 배심원은 군인들이 맡고 수사 등의 결정도 헌병에서 담당하기 때문에 결국 유무죄를 군인이 하는 건 한국과 똑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