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복무

병역
병역준비역전시근로역
현역보충역예비역민방위
현역병간부전환복무대체복무
육군
해군(예하 해병대)
공군
의경
해경
의무소방대
경비교도대
사회복무요원
국제협력봉사요원
산업기능요원
전문연구요원
예술체육요원
공중보건의사
징병전담의사
국제협력의사
공중방역수의사
공익법무관
예비군 지휘관
상근예비역
동원예비군
향토예비군
승선근무예비역

1 개요

현역으로 병역의무를 이행 중인 자이나 군인은 아닌 자를 의미한다.[1] 군인이 아니므로 군전세객차 할인이나 현역병 할인 등은 적용되지 않으니 주의. 또한 군형법의 직접 적용 대상은 아니지만 군형법과 유사한 법령이 각각 존재하며 그 내용도 군형법 조항과 거의 똑같다. 소속이나 역할을 따졌을 때 크게 의무경찰, 국민안전처 의무경찰(해경), 의무소방대 셋으로 나뉜다. 자세한 내용은 각 항목을 참조.

2 폐지된 분야

육군훈련소에서 강제로 차출하던 작전전경과 경비교도대는 폐지되었다.

3 지원

의무소방대는 4급 판정을 받아 보충역인 자도 지원할 수 있다. 물론 합격하여 입영하면 현역이 되며 만기 후에는 예비역이 된다.

4 기초군사훈련과 교육

의경의무소방대충청남도 논산시육군훈련소에서 기초군사훈련을 진행한다. 또한 국민안전처 의경 지원자들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해군제1군사교육단에서 기초군사훈련을 받는다. 그리고 의경들은 훈련소 이후 중앙경찰학교로 갔었으나 2011년 3월 10일 입대한 1000기 이후는 각 지방청별 전의경신임교육대에서 신임교육을 받는다. 단, 의무소방대원과 국민안전처 의무경찰 대원은 각각 천안시 동남구 중앙소방학교여수시 해양경비안전교육원으로 간다. 교정시설경비교도대 차출 인원들은 육군훈련소에서 진행한 이후, 용인시로 이동하여 전국 각지 교도소로 배치된다.

5 계급 체계와 주특기

이들도 국방부 퀘스트처럼 진급이 가능한데, 그 순서는 의경 계열은 이경-일경-상경-수경, 의무소방이방-일방-상방-수방이다. 클래스가 병사가 아닌 경찰, 소방이기에 '병(兵)' 자가 아닌 '경(警)', '방(防)' 자를 붙인다. 그리고 최종 레벨의 명칭이 경장, 방장이나 소방장이 아니라 수경(首警), 수방(首防)이라는 것[2]. 작전전경의 경우 2011년 12월 26일부터 신규 생산이 중단되어 2013년 9월 25일에 폐지. [3]

전의경, 의무소방대군사특기 번호는 대한민국 육군 보병 소총이다. 복무만료 시 예비역 육군 병장에 편입된다. 따라서 병역명문가 선정에서 육해공군 병장 만기전역과 같은 취급을 받아서 자격 조건을 충족하게 된다.

6 현황

저출산으로 인한 병력 부족으로 복무기간 단축이 2011년 1월부터 육군 기준 1년 9개월로 동결됨과 동시에 2011년 3월 21일, 국방부작전전경2011년 12월 26일에 입대할 3211기를 끝으로 2013년 9월 25일에 폐지[4][5]하는 대신 의무경찰, 해양경찰의무소방원의 신규 충원은 2015년까지 연장하기로 하였다. [6]

7 여담

주의할 점이 또 있다!! 휴가, 전역시 등의 경우에도 교통비 후급지원이 되지 않는다 . 의무경찰의 경우 휴가 등 여비가 별도로 산정되어 현금지급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정기외박 내지 병가 등 공가에 있어 지역간 이동이 필요할 시 철도는 할인증, 고속열차의 경우 후급증을 중대장 또는 행정과장이 발급해준다. 군인과 다르게 별도의 사전지정이 아니라 사용 당일 일반 매표소로 가서 원하는 열차편/버스편에 대해 할인/후급 받으면 된다. 전역시에는 휴가비의 1/2에 해당하는 전역비를 지급한다. 당연히 국방부 소속이 아니므로 TMO 내지는 군전세객차 이용은 불가.애초에 의경은 자기집에서 걸어서 수십분 내외에 주둔한 경우도 많다.
  1. 입영하지 않은 현역대상자는 제1국민역이다.
  2. 공식 경찰, 소방 계급 중 순경, 소방사 위가 경장, 소방장이므로, 별도의 명칭을 설정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3. 계급은 따로 없이 그냥 '의경'이나, 월급은 작전전경에 준하여 나온다. 그렇지만 역시 전역 이후 육군 보병 소총수 병장편입. 2013년부터 해양경찰은 육상 전경이 아닌 의경의 제도를 따라, 이후 신채 대원 계급도 의경으로 단일화 된다.
  4. 링크1
  5. 링크2 입법추진포털 병역법 일부개정법률(안) 입법예고 2011년 8월 12일
  6. 국방부, 대체복무 2015년까지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