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용차

틀:군관련


軍用車
Military Vehicle

1 개요

군대에서 군사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차량. 장갑차 등이 해당되는데, 군용트럭처럼 군수물자를 운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군용 자동차도에 민수용 자동차와는 달리 군사적인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제작된 것이다.

아래 목록의 모든 차량은 공도상에서는 대한민국 도로교통법상의 자동차로 분류가 가능하다.(대법원 94도 1519) 다만 기계적 특징 면에서는 자동차관리법이 아닌 군수품관리법의 적용을 받는다.

2 종류

2.1 자동차

민수용 차량에 비해 견고하고 험지돌파 능력을 갖춘 지프, 트럭 등이다. 또는 민수용 차량을 군에서 운용하기도 하는데, 높으신 분들의 관용차량이나 인원수송용 버스 등도 군용차량에 포함된다. 이런 민수용 차량의 경우, 장성의 관용차량은 성판을 달고 있으며 버스나 트럭 등은 번호판의 글자가 군별로 "육, "해", "공", "합",[1] "국"[2] 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별이 가능하다.혹은 운전자가 전투복을 입고 있는걸로도 구별이 가능하다 민수용 차량이 아닌 지프나 트럭의 경우 전 · 후면의 범퍼에 부대번호와 차량의 호수가 적혀 있다.

민수용 차량이 아닌 군용 차량은 주로 톤수로 나타내는데, 원칙적으로 야지에서의 수송 능력 또는 견인 능력을 반영하기 때문에 동일한 체급의 민수용 차량과 완벽 대응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2½톤 트럭은 야지 수송능력이 2½톤[3]이고, 포장도로에서의 수송능력은 4.5톤으로 되어 있으며, 실제로 민수용 5톤 트럭과 비슷한 크기를 가지고 있다.물론 무게는 넘사벽으로 많이 나간다 아마 군필자 중에서도 저 큰 트럭이 왜 2.5톤밖에 못 싣는것인지 궁금해한 사람이 있을 것이다. 군용 차량은 원칙적으로 전장, 야지에서의 능력을 상정하고 만든 것이다보니 명칭도 이를 따른 것이다.

  • ¼톤 트럭 - 레토나라고 불리는 차량으로, K-111은 거의 다 도태되었으며 K-131, K-151 등으로 대체되었다. 6명 이하의 인원이나 소량의 물자 및 장비를 수송하기 위한 차량이며, 대전차미사일이나 무반동총 등을 탑재하는 파생형 차량이 있다.벌처컨트롤을 할수있다 카더라
  • 1¼톤 트럭 - 닷지 혹은 쿼터라고 불리는 차량으로, K-311이 표준장비이며 10명 내외의 인원이나 2톤 정도의 짐을 수송하기 위한 차량. 또는 통신쉘터 등을 탑재한 여러 파생형 차량이 있다.
  • 2½톤 트럭 - 카고 또는 두돈반, 육공 등으로 불리는 차량으로, K-511이 표준장비이며 15~20명의 인원이나 5톤 정도의 짐을 수송하기 위한 차량. 역시 통신쉘터를 탑재하거나 유조차 등 여러 파생형 차량이 있다.
  • 5톤 트럭 - 오돈이라 불리지만 두돈반 이하의 차량이 흔한 데 비하여 이 차량은 꽤나 드물기 때문에 군필자들 중에도 잘 모르는 사람이 꽤 있다. 또한 외형상 2½톤 트럭과 거의 흡사하여 자세히 보지 않으면 헷갈린다. K-711이 표준장비이지만 인원 수송보다는 포병대대 등에서 견인포의 운용이나 탄약수송 등에 주로 사용된다.
  • K-811 - 위의 5톤 트럭보다 더욱 드문 차량으로, M115의 견인차였으나 M115가 모두 퇴역하여 현재 운용되고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여담으로 군용 지프와 트럭에는 히터는 있지만 에어컨은 없다. 사실 히터는 엔진의 배기열을 내부로 유입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 없지만, 에어컨은 추가적인 장치가 필요하다보니... 기름국민의 세금이 아까워서라는 얘기도 있고, 더우면 창문열면 되지만 추운건 어쩔수 없기 때문이라는 얘기도 있지만 자세한 내막을 아는 사람은 추가바람. 물론 최근에 도입되는 차량에는 에어컨이 달려 나오기도 한다.

그리고 앞으로 도입될 최신형 차량들 부터는 전부 자동변속기에 냉난방설비가 완비되어서 나온다.만세

2.2 장갑차

장갑#s-2을 두른 차량으로, 병력을 총탄과 파편으로부터 보호하며 자체 전투 능력도 어느 정도 갖춘 군용 차량이다. 병력을 전장 또는 전선까지 수송하기 위한 병력수송장갑차(APC)와 직접적으로 전투를 수행하기 위한 보병전투차(IFV)가 대표적이며 이 외에도 여러 용도의 장갑차가 있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조.

일반적으로 전차에 비해서는 방어력과 공격력이 약한 편이며, 보병의 개인화기나 기관총, 기관포[4] 등은 방어할 수 있지만 포탄은 방어하기 힘들기 때문에 전차와 정면 전투는 거의 불가능하다. 어차피 장갑차의 임무는 전차랑 싸우는 것이 아니라 전차를 지원하기 위한 보병의 생존성과 기동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니... 그런데 경우에 따라 경전차 정도는 잡을 수도 있다고 한다. 장갑차는 보통 40mm 이하의 기관포나 12.7mm의 중기관총을 주무장으로, 7.62mm의 기관총을 부무장으로 사용하고, 대전차미사일이나 박격포 등을 장착하는 경우도 있다.

최근에는 APC는 IFV에 밀려서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며, 오히려 험비같은 군용 차량으로 대체되고 있기도 하다. 다만 험비보다는 튼튼하고, IFV보다는 저렴하기 때문에 단순 수송 목적으로는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장갑차의 차체는 다른 무기체계의 차체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의 자주대공포 비호#s-2, 대공미사일 천마의 차체는 K200 APC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2.3 전차

흔히 탱크라고 불리우는 기갑차량으로, 강력한 대포와 두꺼운 장갑으로 무장하고 기동력을 바탕으로 전투를 수행하는 전투차량이다. 제1차 세계대전 당시 적의 참호를 돌파하기 위하여 장갑을 갖춘 차량을 개발한 것이 시초이며, 이후 제2차 세계대전과 각종 전쟁을 거치면서 현대 지상전의 꽃으로 자리잡았다. 사실 초기에는 대보병용으로 사용되어 경장갑과 기관총, 소구경 주포를 갖춘 장갑차에 가까운 수준이었지만 이후 전차의 핵심 역할은 적 전차를 격파하는것이 되어,[5] 갈수록 중장갑과 대구경의 주포를 갖추게 되어 현재와 같은 모습을 하게 되었다.

현대의 전차는 주로 105mm 또는 120mm 포로 무장하며, 부무장으로 1~2정의 기관총을 탑재하고, 500mm에서 1,000mm에 이르는 방어력을 가진다. 또한 야지에서 50km/h, 평지에서 70km/h 정도의 속력을 낼 수 있는데, 무게가 60t에 이르거나 더 무겁다보니 연비는 그야말로 시망#s-3인 경우가 많다.전차의 연비가 시망인건 전차 등장 이후 어느 시대에나 그랬지만... 물론 군용 차량 대부분은 민수용 차량에 비해 연비가 좋지 않기는 하다. 연비와 방어력을 교환한 셈. 또한 단기간의 폭발적인 기동을 상정하고 만든지라, 지속적인 장거리 운행에는 적합하지 않아서 철도를 통해 수송하는 경우가 많다. 도로 망가지는 것도 문제고.

3 외국의 군용차

추가바람.
  1. 합동참모본부 소속 차량.
  2. 국방부 소속 차량.
  3. 정확히는 2,270kg
  4. IFV의 경우 전면부에 한해서, 30mm 까지는 방어하는 것이 일반적. 측면은 14.5mm정도가 한계이다. 반면 APC의 경우 전면부도 12.7mm가 고작인 경우도 많다.
  5. 전선 돌파라는 주 역할은 바뀌지 않았지만, 먼저 적 전차를 격파해야 전선을 돌파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 즉 전차전이라는 새로운 전투 양상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