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숙(삼국지 시리즈)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에서의 노숙을 정리한 항목.

1 개요

Lu_Su_%28ROTK11%29.png
삼국지 11
Lusu-rotk12.jpg
삼국지 12
삼국지 13
삼국지 13 PK

코에이사의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지력과 정치력이 모두 90대인 일류급 책사로서 등장한다. 훌륭한 인품 덕에 매력도 높고, 도독이었다는 점이 감안된 듯 통솔력도 나쁘지 않고 무력은 역시 떨어지는 편이지만 노숙이 무예도 어느정도 할 줄 알았다는 점을 반영해서인지 문관 치고는 50대 후반~60대 초반의 무력을 꾸준히 찍고 있어[1] 그렇게 떨어진다고도 보기 힘들다. 캐릭터 가치는 높은 편. 하지만 그가 소속된 오나라엔 주유, (각성 버전)여몽, 육손 등 사기 능력치를 가진 굇수들이 여럿 있는지라 능력치가 좋긴 하지만 딱히 특색이 있는 편은 아닌 노숙은 자연스럽게 콩라인으로 밀려버린다. 그래도 주유가 수명이 짧아 주유 사후~여몽 괄목 상대 이전 시나리오에서는 콩라인에서 벗어날 수는 있지만 이쪽도 수명이 길지 않아 빠르게 요절하는지라(...).

일러스트도 대부분 선한 인상이나 웃는 얼굴로 그려지는 게 특징. 예외로 7편은 비교적 날카로운 이미지로 그려졌다.

2 상세

2.1 삼국지 2

무지정 순으로 63/96/92 어느정도 준수한 -S급 책사이다. 다만 초기작에서는 후임 도독들인 여몽, 육손의 무력이 80대이상인지라 묻히는 경우가 많다. 그나마 이 둘에 비해 일찍 등장한다는 점이 장점이다.

2.2 삼국지 3

무력61 육전지휘78 수전지휘 79로 설정되어 있다. 거기에 친촉파라는 점이 부각되었는지 매력도 90이다. 거기에 지력95에 정치80이라 능력치가 꽤나 준수해서 문관임에도 불구하고 전방지역 태수를 삼으면 아주 좋다. 일기토 이외의 모든 방면에서 맹활약이 가능한 장수이다.

숨겨진 의리 88/야망 9/행운 8/냉정 9/용맹 8/수명 4. 지력 95임에도 냉정이 낮은편이다. 사실 같은 지력인 육손도 냉정 9이다.

2.3 삼국지 5

능력치는 61/96/93/90으로S급 문관이다. 그러나 지력에서는 주유(99)와 육손(97)에게 밀려 참모로 쓰이는 경우는 흔치 않다. 손권은 손자병법을 가지고 있으니 참모인 주유는 지력보정을 받아 100인 경우가 많다. 삼국지5는 매력이 90 이상인 경우는 의외로 몇 없으니(500명 장수 중 30명도 채 되지 않는다.) 그걸로 인재들을 쏙쏙 빼오는 인사 담당관으로 쓰는 것도 좋다. 무력이 61로 책사 치고 나쁜 편도 아니고, 어린 진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2만 병력으로 우라돌격하면 육지와 물 모두에서 좋다. 진형은 기형, 어린, 수진. 특기는 복병, 침착, 수계, 내분, 혼란, 반계.

2.4 삼국지 6

능력치는 통솔 90/무력 42/지력 94/정치 94/매력 90 꿈 : 왕좌, 성장특성 : 유망주.

손책이 원술로부터 갓 독립한 군웅할거 시나리오에서, 아직 재야 장수인 노숙에게 주유가 찾아가 군량 3천을 받아오는 이벤트가 있는데, 이는 지균상증의 고사를 나타낸 것이다. 당연히 등용도 따라오는 부산물이니 재야 발견했다고 넙죽 먹어버리지는 말자.

2.5 삼국지 8

무력 64/지력 90/정치 93/매력 89. 특기 경작, 상재, 변설, 반계, 혼란, 보병. 전법 난격3, 교란4, 창진 3, 제사 2, 열화 2, 공성 3를 가진 +A급 책사이다. 경작과 상재를 가지고 있어서 매력, 정치의 경험치를 성장하게 할수있고, 무력만 올려준다면 최강의 책사가 된다. 다만 인격자의 풍모를 가지고 있을면서 인덕 특기가 없는게 옥의 티.

2.6 삼국지 9

능력치는 90/57/93/93. 통솔이 무려 90으로 역대 최고 통솔. 무력 하나만 낮은 A+급 문관이다. 연사, 누선, 배반, 혼란, 고무를 보유하고 있다. 보병계 병법이 분전 하나 뿐이지만 기본 숙련도가 400이라 높은 등급의 병법을 익힐 가능성이 높다.

2.7 삼국지 10

플레이하기 쉬운 장수 중 한 명. 구체적인 능력치는 78/59/94/93/89에 특기는 총 15개로 일단 능력치는 무력이 약간 낮지만 그렇다고 아주 낮지는 않은 만능형이고, 재야 상태인데도 명사 특기를 가지고 있는데다가 처음부터 중보병 4천을 사병으로 데리고 있다. 이를 이용해서 빠른 속도로 돈을 불리고 몇몇 장수들과 사귄 후에 방랑군을 꾸리고 도시를 점령하여 군주가 되는 플레이를 하기가 쉽다. 더욱이 노숙은 명사 특기 때문에 전투 없이 설전으로 도시를 먹을 수 있다.[2] 특기도 있을 특기는 다 있고 도적에게 걸려도 명사 특기와 설전 특기로 도적을 농락하면 삥 뜯길 걱정은 제로. 전쟁에서는 통솔이 전작에 비해 90->78로 대폭 깎이긴 했지만 군사 특기가 있어서 더 사기가 되었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밸런스를 맞추기 위한 걸로 볼 수도 있다. 내정에선 정치가 93인데 농업,상업 특기를 모두 가지고 있으며, 징병특기는 매력89와 맞물려 군사력 증강에 매우 유용하다. 기술특기가 없는 것이 조금 아쉬운 정도. 종합하면 내정에서나 전쟁에서나 개인 퀘스트에서나 굉장히 플레이하기 수월한 무장 중 한 명이다. 어떤 의미에서는 추천무장들을 제외하면(어쩌면 그 이상으로) 초보용 무장으로 손색이 없다.

2.8 삼국지 11

능력치는 80/56/92/90/89로 무력만 제외하면 전체적으로 능력치가 높은 편이다. 11에서의 특기는 그가 부자였다는 점을 감안해 부호. 특기만 봐도 직접적으로 전투에 관련되어있지 않는 걸 줬다(…). 적성들은 기병빼고 올 A이지만[3], 특기때문에 도시에 쳐박힌 모습을 자주 보인다. 명색이 오나라 대도독인데 수군적성이 S가 아니다 그래도 의외로 컷인을 가진 무장 중 하나라는 점이 그나마 위안이 된다.

결전재패의 '한조 부흥전'에서는 다른 오나라 장수들이 투함 타고 멋있게 나오는데 손권의 부장으로 손권과 같이 주가쪽배를 타고 나온다... 지못미 손권&노숙

2.9 삼국지 12

삼국지 12에서는 통솔이 84으로 올라간 외에는 변동이 없다. 여전히 능력치는 당연히 콩라인이다. 일단 강동사걸[4] 중에서 정치는 제일 높지만, 나머지 부분에서 조금씩 모자라다. 게다가 전법이 진정(?) 사실 전법만 괜찮게 나왔어도 충분히 전장에서 굴릴 수 있었을 것이다. 이 점은 전작인 11도 동일하다. 대전판에서는 진정 무장 중 가장 능력치도 좋고, 무려 금카이기까지 하나, 코스트 6의 압박이(...) 차라리 참군으로 데리고나가자. 치유지책을 가지고있기때문에 쓸만하다. 내정에서는 구재지책이라는 최상급 내정 비책을 가지고 있고, 상재와 경작, 명사를 모두 가지고 있어 시장에서도, 농장에서도 좋으며, 변설 특기가 있어 외교관으로도 좋으며, 인맥이 있어서 구인소에서도 나쁘지 않고, 군사 특기가 있어서 계략부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제갈량 정도를 제외하면 내정으로써는 적수가 없다. 전투 특기도 수련, 공성이 있어서 백 도어할때 나쁘지않다. PK라면 에디터를 이용해 전법만 바꿔줘도 무결점의 장수가 된다.

2.10 삼국지 13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85/56/92/90으로 통솔이 85으로 증가했다. 중신특성은 외교관으로 오간걸 반영한것인지 화기생재. 나쁜 특성은 아니고, 지력도 90이 넘어서 임무장이 2장이나, 주유와 육손의 신산귀모가 있기에 묻힌다. 병과적성은 창A/기C/궁A.

전법은 전법 포인트 5를 소모해 범위 내 방어 +1, 사기 +2, 부상병 회복 +1을 부여하는 군략지원으로, 전법 자체는 순욱이 가진 왕좌의 하위호환에 가까운 전법이나 순욱의 통솔과 무력, 병종 적성이 낮은 것과, 노숙의 지력이 순욱에게 거의 밀리지 않는 것을 감안하면 전장에서의 가치는 노숙이 오히려 더 우세한 편이다. 이번 작에서는 전장에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같은 전법의 소유자인 양호에게는 밀리는 편인데, 그의 결정적인 단점인 등장 시기(...)를 감안하면 큰 상관이 없다.

특기는 상업(9), 교섭(8), 언변(7), 견수(7), 인덕(6), 훈련(6), 수영(6), 문화(3), 농업(2)인데 삼국지 공인 부자를 인증한 건지 사실무장중 유일한게 상업9를 가지고 있어서 내정돌리기도 좋다. 당연히 외교관으로도 최상이고, 인격자답게 인덕이 6이라서 장수 등용하기에도 좋다. 훈련까지 있고 통솔이 높은지라 내정으로는 거의 결점이 없다.

그 대신 일러스트가 점점 유약한 모습으로 나온다. 진삼국무쌍에서 노숙이 기존 연의 이미지를 깨고 호방한 모습으로 나왔기에 삼국지 시리즈에서의 변화도 기대해볼만 했는데 전혀 달라진게 없었다. 그래도 초년 얼굴은 책사다운 편이고, 나름대로 미남이라고 평가된다. 그러다가 13PK에서는 드디어 진삼국무쌍의 갑옷을 걸친 모습으로 나온다!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노숙(삼국지)/기타 창작물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실제로는 무관에 관련된 직책에 종사했던 것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2. 뒤집어서 말하면 이런 시나리오에서 노숙을 등용하면 중보병 4천을 날로 먹을 수 있는 셈.
  3. 기병은 C. 심각하게 고증오류.
  4. 주유, 노숙, 여몽, 육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