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청해전

서해교전
제1연평해전제2연평해전대청해전
대청해전
날짜
2009년 11월 10일
북방한계선 (대한민국)
교전국1교전국2
교전국대한민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지휘관233 편대장 소령 연제영[1]
236 편대장 소령 고승범
참수리 325[2] 정장 대위 김상훈
참수리 328 정장 대위 김성완
참수리 336 정장 대위 강동완
참수리 338 정장 대위 김상욱
불명
전력울산급 호위함 1척
참수리급 고속정 4척
상해-I급 경비정 1척
피해 규모고속정 외부격벽 15발 탄흔
인명피해 없음
경비정 반파
8명 전사(추정)
결과
대한민국 해군 대승

1 개요

2009년 11월 10일한반도 서해 북방한계선(NLL) 이남 대청도 인근 해상에서 대한민국 해군북한 해군 고속정 간에 벌어진 3번째 서해교전.

대한민국 국군 합동참모본부에서 11월 16일 대청해전이라 명명하였다. 그 이전에 일부 언론에서 제3연평해전 등의 명칭을 사용했는데, 연평도 인근에서 일어난 교전이 아니라서 부적합한 명칭이라고 볼 수 있다.
해군 교리 정의상 '교전'에 불과한 것을 해전으로 명명했다는 해군 내의 비판적 시각도 있다. 어쨌거나 정식 명칭은 대청해전이다.

2 교전 내용

북한 경비정이 북방한계선을 침범한 것을 우리 해군이 수 차례 경고통신을 보냈으나 이를 무시하고 경고 사격을 하겠다는 경고마저 수차례 무시하자 교전수칙에 따라 경고 사격을 한 아군 고속정을 향해, 오전 10시 27분에 조준사격을 가하며 들어와 교전이 벌어졌다.

다행히 우리 해군 측 사상자는 없으며, 북한측 경비정에서는 8명 사망 3명 부상의 피해가 있다는 정보가 국방부에 들어왔다고 한다. 북한 측 경비정은 반파된 채 북한으로 돌아갔다. 이날 북한 해군 전사자가 발생했다는 사실은 2010년 10월 16일자 로동신문이 대청해전에서 전사한 해병[3] 김주혁의 출신 중학교인 평양 축전중학교를 10월 15일자로 김주혁중학교로 개칭했다고 보도함에 따라 공인되었다.

3 교전 이후

제2연평해전이 벌어진지 약 7년 만에 벌어진 교전으로서 북한이 이러한 도발을 또다시 자행한 이유에 대해서는 추측만 난무할 뿐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그래도 그 중에 가장 힘을 얻고 있는 추측은 북미 대화를 앞두고 북한이 기선제압에 들어갔다는 것이다. 우발성 충돌이라는 설도 있으나, 5회에 걸친 경고방송에도 불구하고 넘어온 것으로 보아 가능성은 거의 없다. 기선제압 하려다가 되려 개발살났다

북한은 당연히 '남한 선공'을 주장하며 음모론을 전개했지만, 개소리 집어쳐! 북한이 이런 짓거리를 어디 한두번 해왔던가?

어쨌든 2004년 참여 정부 때 바뀐 교전수칙[4]에 따라서 제2연평해전 때와는 달리 대응이 빨라져 우리 측의 경고 사격이 먼저 있었고, 그 이후에 북한의 조준사격으로 교전이 벌어졌다.

우리 측의 선제 경고사격에 대한 대체적인 여론은 이번에 우리 측의 사상자가 생기지 않았기에 다행이라는 분위기였으나, 한겨레에서는 선제 경고사격을 북측에선 조준사격으로 오인할 수 있는 것이라며 우리의 과잉 대응 문제를 제기하는 기사[5]를 올려서 욕을 먹었다. 왜 종북주의자로 몰릴뻔한짓을..


북한 함선이 85mm 함포 50발을 쏴서 15발을 맞혔다는 오보가 있었는데, 사실은 14.5mm 중기관총이다. 상식적으로도 수동사격의 명중률을 고려하면 기관총으로 한 수천발 쏴야 15발 맞힐까 말까지, 85mm 함포로는 택도 없다. 그나마 북한 해군이 훈련을 제대로 했을지조차 의문이다. 1년에 1인당 자동소총 탄약 소모량이 평균 2발둔전병(...)들이 대포는 쏴 봤을거 같은가? 사통장치에 연동된 자동 화기도 해상에선 명중률이 그리 높지 않은데 수동사격이야 뭐... 그리고 맞힌 것도 배에 피해를 그리 주지 못했으니 의미 없다.

그 이후에도 서해상에는 북한 군함들과 우리 군함들이 대치하며 15일에는 북한이 실크웜 기반의 대함 미사일 레이더를 가동시켜 아군 구축함이 긴급 회항하는 일이 벌어지는 등 상당히 긴박하게 돌아갔다. 아무튼 손도 못쓰고 진 게 분하긴 분했던 모양이다.

이 전투에서 '파열탄'이 일부 사용되었다 한다. 쉽게 말해서 일종의 수류탄이나 유탄과 비슷한 무기로 이걸 날리면 북한이 배에 얼마나 인원을 많이 집어넣든 간에 소용없다.

참고로 국제법에서 금지하는 비인도적 무기의 골자는 맞은 사람이 어떻게 인수분해되는가가 아닌 무기가 조준한 것 이외에 피해를 줄 가능성이 있는가에 의해 정해진다. 대표적인 예로는 눈에 보이지 않아 많은 어린아이들이 다치는 지뢰나 오랫동안 잔류하거나 흘러내려가 제3자나 전쟁이후에도 문제를 일으키는 화학탄, 그리고 수많은 자탄으로 인해 불발탄 문제가 심각한[6] 클러스터탄 등이 있다. 결론은 이 경우에는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교전 뒤 긴박한 분위기에도 큰 일은 벌어지지 않았지만, 2010년 3월 26일 오후 9시 30분쯤 백령도와 대청도 사이에서 포항급 초계함 PCC-772 천안함북한의 어뢰공격으로 침몰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그리고 2010년 막바지에는 연평도에 포격을 가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1. 현재 중령. 제1연평해전 당시 참수리 357 정장이었다.
  2. 1차 연평해전에서 북측과 교전하여 전과를 올린 그 고속정이다. 북한 해군 입장에선 우리 해군이 자신들의 684를 바라보는 심정과 비슷한 함정이다.
  3. 얘들수병을 이렇게 부른다.
  4. 엄격히 이야기하면 한미연합군 사령부가 교전수칙 제정, 수정 등에 관여하고 있다고 한다.
  5. 참고로 1차 연평해전 때 이러면서 당시 김대중 정권을 깠던 만화를 관련지 한겨레 21에서 그리기도 했다. 북한해군은 노로 젓는 통나무배이고 한국 해군은 첨단 장비로 거뜬히 이기곤 이겼다고 자화자찬하고 김대중도 잘했다 이런 내용이니까 과잉 대응이라고 깐 거다.
  6. 한마디로 한 10년 지난 뒤에 민간인 거주지가 되면 굴러다니던 돌멩이가 폭발한다는 소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