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어 반복

同義語 反復, (영어)redundancy, pleonasm, tautology

1 개요

같은 뜻의 단어를 반복해서 쓰는 것을 뜻한다. 유의어반복이라고도 한다. 니시오이신이 좋아하는 것 겹말 항목도 참고할 것.

일반적으로 '동의어 반복' 자체는 강조하는 의미에서 관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tautology(토톨로지)의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다시 말함' 정도의 의미로 쓰이기에 부정적으로 파악한다.

2 어원이 다른 동의어 반복

2.1 한자어 계열, 라틴어 계열 복합

2.2 한자어의 경우

한자어와 고유어가 동의어 반복을 이루는 낱말이 있다.

  • 낙엽잎
  • 완두콩 2개 여기서도 두번째 심지어 2.2항목의 두번째다
  • 무궁화꽃
  • 동해 바다
  • 역전앞
  • 백발머리
  • 족발
  • 금전
  • 모래사장
  • 육숫
  • 초가집
  • 향내음
  • 해변가
  • 대머리독수리 [1]

3 동의어 반복이 아닌 경우

3.1 외래어 지명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본래 지명에 산맥, 산, 강 등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더라도, 산맥, 산 강을 겹쳐서 적도록 되어 있다.

  • 사하라 사막 : 사하라가 아랍어로 사막이다.
  • 리오그란데 강 : 리오(Río)가 스페인어로 강이다.
  • 몽블랑 산 : 몽(Mont)이 프랑스어로 산이다.
  • 황허 강

엄밀히 말하면 이것은 동의어 반복이 아니다. 외래어 표기법은 외국어의 단어를 한국어의 음운 체계에 맞게 한국어로 편입시키기 위한 수단인데, 한국어로는 '사하라', '리오', '몽' 등이 '사막', '강', '산'이라는 뜻을 지니지 않기 때문이다. 쉽게 말하면 '리오낙동', '몽백두', 고비 사하라' 등이 말이 안 되기 때문이다. '블랑 산', '그란데 강' 이런 식으로 쓰자는 주장도 있지만, 의미를 더 번역해서 '하얀 산', '큰 강'이라고 하자는 의견도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현재의 규정이 가장 합리적이다.

3.2 지명 이외의 외래어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지명 이외의 외래어에는 특별한 규정을 마련해놓지 않았다. 하지만, 지명 표기에서 동의어 반복이 허용된 것과 같은 원리를 적용하자면 지명 이외의 외래어에도 동일한 규칙을 적용할 수 있다고 파악할 수 있다. 지명 표기에서 동의어 반복이 허용된 것은, '사하라', '리오', '몽'같은 아랍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단어를 한국인이 그 의미를 모두 파악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 불합리하며 애초에 한국인의 언어 체계에서 이러한 단어에 의미를 느낄 수 없다면 동의어 반복으로 볼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사례에서 동의어 반복을 금지한다면, 그야말로 외래어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것이 표준어 규정으로서 허용되는 문제가 있다.

인터넷에서는 '동의어 반복 금지'를 외국어로 확장하는 주장을 흔히 발견할 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이슬람 연구계에서 주장하는 "알라신은 잘못되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알라신'이 잘못되었다면 '사하라 사막'도 똑같이 잘못된 표현이 돼버린다. 한국인아랍어 낱말에 담긴 '신'이라는 뜻을 모르는 것은 당연하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동의어 반복은 허용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아랍어 학습자라면 부자연스럽게 느낄 수도 있겠지만 한국인이 모두 아랍어를 알아야 할 이유는 없다. 따라서 '알라신'이 반드시 잘못된 표현이라고 볼 수는 없다.

실제로 한국 기독교에서는 자신들이 믿는 유일신에 대하여 '야훼 하느님', '여호와 하나님' 같은 표현을 쓰기도 한다. 이것도 '야훼=여호와=하나님=하느님'이므로 동의어가 반복되는 의미 중복이지만, 이 같은 사례로 볼 때 이러한 표현에는 문제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슬람교 교단에서 '알라신'을 꺼리는 것은 그들이 한국어의 문법을 잘 모르기 때문에 이 표현을 마치 '다신교의 신을 가리키는 것이 되는 것인양' 오해하는 것이며, 그들이 한국어를 잘 배워서 이 같은 표현이 한국어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음을 인식해야 할 것이다. 다만 기독교에서도 '야훼신', '여호와신' 등으로는 거의 부르지 않듯이, '알라신' 자체도 틀린 표현은 아니지만 웬만하면 '알라'라고 부르는 게 더 바람직하다.

2007년도 국립국어원 답변에도 확인할 수 있다.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러나 마호메트교가 이슬람교의 동의어로 오른 것은 그것이 회교와 마찬가지로 이슬람교를 가리키는 말로 통용되기 때문인 측면이 있습니다. 사전의 내용이 언어생활에 미치는 영향도 물론 없지 않겠지만 무엇보다 지금의 언어 현실을 반영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사전입니다. 이로 미루어 볼 때 사전에서 마호메트교를 이슬람교의 동의어로 처리하고 있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 알라신의 경우 ‘알라’가 신(神)임을 분명히 하기 위해 ‘신’을 덧붙인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의미 중복은 우리말에서 흔히 나타나며 잘못으로 보고 있지 않음을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4 같이 보기

  1. 독은 대머리를 의미하므로 원래 독수리라고 한다 그냥독수리는 수리라 부르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