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정안

Klinckowstroem_%281894%29_parietal_eye_of_Iguana.png
Spencer_%281886%29_parietal_eye_Varanus.png
이구아나(위)/왕도마뱀(아래) 두정안의 단면도 출처는 위키미디어 공용
투아타라의 두정안 관련 글왜 진화가 진실인가도 덤으로 배운다 카더라

parietal eye[1]/頭頂眼. 원구류의 일부 및 파충류, 양서류머리 꼭대기 부분인 두정공에 위치한 을 수용하는 시각 기관으로, 노정안(顱頂眼)이라고도 한다.

두개골 정수리 부근의 두정골 가운데에 있는 작은 구멍으로 된 두정공에 들어 있으며, 렌즈의 역할을 하고 있다. 두정공 위의 흰 점으로 보이는 피부비늘은 투명하며, 각막의 구실을 한다.

현존하는 대부분의 척추동물에서는 보기가 힘들며, 원구류의 칠성장어류, 옛도마뱀류, 도마뱀류와 일부 개구리에서는 아직 그 흔적을 볼 수 있다. 주로 낮에 활동하는 주행성 도마뱀류와 옛도마뱀류에서 특히 발달되어 있다.

카메라에서 조리개의 기능인 홍채 근육과 두정안을 움직이는 근육이 없다는 것 이외에는 과 거의 같은 구조이다. 기능은 미약하여 어둡고 밝은 명암만을 느끼는 정도이며, 형체까지는 맺지 못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두정안은 햇빛에 노출되어 흡수되는 열량을 인식할 수 있어 그 동물의 행동을 조절하고 일정하게 몸의 온도를 유지하는 '자동 온도 조절 장치'와 같은 기능이 있다. 따라서 두정안이 있는 동물은 한랭기에도 햇빛만 충분히 받으면 거의 일정한 체온을 유지할 수 있다.

창작물에서는 좌우의 두 눈 이외에 정수리에 붙어 있는 제 3의 눈으로 등장하며, 여러 가지 특수한 능력을 가진 것으로 나온다.
  1. third eye 나pineal eye 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