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더(리스크 오브 레인)

리스크 오브 레인의 캐릭터
파일:Attachment/Risk of Rain/risk Commando Select.png파일:Attachment/Risk of Rain/risk Enforcer Select.png파일:Attachment/Risk of Rain/risk Bandit Select.png파일:Attachment/Risk of Rain/risk Huntress Select.png파일:Attachment/Risk of Rain/risk HAND Select.png파일:Attachment/Risk of Rain/risk Locker.png
코만도인포서밴디트헌트리스HAN-D?
파일:Attachment/Risk of Rain/risk Engineer Select.png파일:Attachment/Risk of Rain/risk Miner Select.png파일:Attachment/Risk of Rain/risk Sniper Select.png파일:Attachment/Risk of Rain/risk Acrid Select.png파일:Attachment/Risk of Rain/risk Mercenary Select.png파일:Attachment/Risk of Rain/risk Loader Select.png파일:Attachment/Risk of Rain/risk CHEF Select.png
엔지니어마이너스나이퍼아크리드머셔너리로더셰프

파일:Attachment/로더(리스크 오브 레인)/risk Loader.png

"...그리하여 그는 떠났다. 그의 무너진 삶을 다시 차곡차곡 쌓아올릴 준비와 함께."

리스크 오브 레인의 언락 케릭터. 1.2버전의 신 캐릭터이다. 모티브는 에일리언 2에 나오는 파워 로더.

언락조건한 플레이에서 30개의 아이템을 획득(중첩 제외)

1 능력

능력
구분기본 능력레벨당 상승 수치구분기본 능력레벨당 상승 수치
체력115(+50)+42공격력?+?
체력 회복?+추가바람공격 속도빠름-
아머-?사정거리근접
이동 속도보통-기타 상승치--

2 스킬

2.1 KNUCKLEBOOM

파일:Attachment/로더(리스크 오브 레인)/risk Loader Skill 1.pngZ - Knuckleboom
120% 데미지로 적들을 두들겨팬다. 매 3타마타 240%의 데미지를 주며 적들을 공중으로 뛰운다.

근접캐릭터 중에서는 괜찮은 평타. 3타마다 중형 몹도 공중으로 뛰울 수 있고, 로더의 기본공속도 괜찮기에 깔작거리는 플레이에 안정성을 더해준다. 어느 정도의 공속이 뒷받침되면 HAN-D와 마찬가지로 적들에게 넉백과 에어본의 공포를 일깨워 줄 수 있다

2.2 DEBRIS SHIELD

파일:Attachment/로더(리스크 오브 레인)/risk Loader Skill 2.pngX - Debris Shield(쿨타임 5초)
3초 동안 자신의 체력의 100%에 달하는 쉴드상태가 되고, 이동속도를 올린다.[1]

로더를 하는 이유이자 로더가 근접캐릭터중 상위권인 이유

생존기. 로더의 성장체력이 높은 편이기에 왠만한 닥돌 플레이가 아닌 이상 실드가 깨질 일이 거의 없다. 체감 쿨타임이 비교적 짧은 것도 장점. 다만 로더의 초기 체력은 높은 편이 아니기에 어느 정도 성장하기 전까지는 실드건 뭐건 금방 깨지니 운영에 주의하자.[2]
..라고 하지만 실질적으론 3초동안 무적이다.

2.3 HYDRAULIC GAUNTLET

파일:Attachment/로더(리스크 오브 레인)/risk Loader Skill 3.pngC - Hydraulic Gauntlet(쿨타임 3초)
전방으로 건틀릿을 발사하고, 몬스터나 벽에 적중한다면 그 앞으로 이동한다. 적에게는 210%의 데미지와 기절을 준다.

입체기동장치 공허의 유산에 나오는 기동병기 그거 취소됀지 오래다 궁극기 이분에게 사용하면 입체기동하는 느낌이다

로더 기동성의 핵심. 조건부 이동기이긴 하지만 쿨타임이 짧아서 자주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스크립트에 딱히 설명되어 있지 않지만 설치해놓은 전류 막대로도 이동이 가능하다. 적에게 쓴다면 C-Zx3-C로 치고 빠지는 플레이도 가능하다.

2.4 M440 CONDUIT

파일:Attachment/로더(리스크 오브 레인)/risk Loader Skill 4 2.pngV - M440 Conduit(쿨타임 10초)
전류 막대를 하나 설치한다. 두번째 막대를 놓은 후에 전류를 활성화시켜 사이를 지나는 적에게 초당 80%의 데미지를 준다. 9초 지속.
파일:Attachment/로더(리스크 오브 레인)/risk Loader Skill 4 2 AS.png강화V - M700X Discharge Conduit(쿨타임 10초)
전류의 색이 바뀌며 처음 작동시 적을 기절시킨다.

로더의 광역기. 보통은 도망치면서 설치했다가 두번째 막대를 설치하고 반대로 턴하여 적들에게 지속적으로 데미지를 주는 방식으로 쓰인다. 사거리나 높이 제한이 없기에 플레이어에 따라 창의적으로 쓰일 수도 있으나, 지나치게 멀리 벌여놓으면 딜로스와 쿨타임 손실이 있는 만큼 적절하게 깔아주자.

3 운영

소수의 적에게는 C와 Z를 이용한 콤보, 다수의 적에게는 V를 이용한 지속딜과 X를 사용한 탱킹으로 먹고 사는 캐릭터. 다만 두가지 스킬이 지형의 영향을 받기에 싸우기 좋은 곳을 찾아 플레이 해야하는 운영이 필요하다.

3.1 장점

  • 근접 캐릭터 중에서도 아니 모든 캐릭터중에서 수위에 꼽히는 높은 안정성 - Z와 C에는 넉백과 기절이 붙어 있으며, X를 수시로 쓰며 탱킹도 가능하고, V는 설치형이라 도망가면서도 싸울 수 있다. 콤보나 거리 재기를 잘못하면 곤죽이 되는 다른 근접 캐릭터에 비교하면 높은 안정성을 자랑한다. 거기에 이동속도나 체력과 같은 생존관련 스텟도 나쁘지 않은 편. 즉, 게임 내에서 꾸준히 딜을 넣을 수 있으면서, 동시에 생존성을 두루 겸비했다는 소리다. 그리고 공격방식도 X-C를 이용한 말뚝딜 + V설치를 이용한 몹몰이라, 역시 다른 근접 캐릭터와 비교해 아이템 상성도 상대적으로 덜타는 편이다. 평타는 사실상 독묻히기 외에 거의 봉인수준인 아크리드나, 반대로 쉴새없이 무빙하면서 평타에 올인해야 하는 마이너와 머셔너리와 달리 공격방식이 치우치지 않기 때문.

3.2 단점

  • 지형에 영향을 받음 - C와 V를 온전히 활용하기 위해서 지형에 신경쓰는 플레이가 필요하다. 평지에서는 C를 이용한 이동이 봉인되는 거나 마찬가지 이기에 어느 정도 단차가 있고 벽이 있는 지형이 좋으나, V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평지가 제일 편하다는 게 함정.
  • 미묘한 공격 기술과 스텟들 - Z는 마이너의 평타보다 범위가 살짝 긴 수준밖에 안되며, C는 한명밖에 못 추는데다가 적에게 둘러싸이면 봉인해야 되고, V는 발동까지 시간이 어느 정도 필요한 데다가 체감 쿨타임도 긴 편이다. X 무적 발동의 3초 타이밍과 연계해서 다른 스킬들을 물흐르듯 써주지 못하면 딜을 제대로 뽑기 힘들다. 이는 생존성 면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체력, 이속도 지속적으로 평타를 갈겨야 한다는 점에서 보면 미묘하다.
  • 지나치게 높은 X 의존도 - 공격시에도 결국 V를 이용한 광역딜은 쿨타임과 지형 활용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보조적이고, 결국 딜의 핵심은 Z를 이용한 평타다. 그런데 당연히 이걸 그냥 연타하면 바로 눕기 때문에 X타이밍을 이용한 말뚝딜이 로더의 핵심이 된다. 이는 생존이라는 측면에서도 마찬가지인데, C를 이용한 입체기동(...)으로 다른 캐릭터들보다 좀 더 쉽게 거리를 단축하거나,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대신에 C를 제대로 활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기동력이 뚝 떨어지기 때문. 특히 게임 특성상 다수의 적에게 둘러싸일 일이 많은데, 이런 상황이 되면 C가 봉인되기 때문에 훨씬 위험하다. 결국 X로 무적을 켜고 도망을 쳐야하는데, 이 3초안에 재빨리 탈출하지 못하면 무적이 풀리는 순간 진짜 손도 못써보고 눕는다. 그리고 위에서 말했듯이 로더의 주 핵심 딜은 결국 Z를 이용한 평타기 때문에 적들에 둘러싸일 가능성이 높다는걸 생각하면 정말 조심해야 하는 부분.

4 아이템 운영

4.1 우선권이 필요한 아이템

  • 이동 관련 유틸리티 아이템 - C를 100% 활용하기 위해서는 후푸 깃털이나 제트팩등이 필요하다. 위에서도 설명했듯이 로더는 모든 기술을 100%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 콜로서스 뜨면 진격의 거인을 찍을 수 있다
  • 쿨감소 아이템 - 위와 같은 이유로 로더의 기술 활용을 돕는 에일리언 머리 등의 아이템이 필요하다. 혹시나 쿨감소 아이템을 2개 먹었다면 X 스킬을 계속 쓸수있다. 무슨 말이냐면 무적 스킬을 계속 쓸수있다는 말이 된다
  • 근접 딜링템 - 로더의 펀치는 넉백 거리가 길지만 핸디처럼 경직까지 먹이지는 못한다. 또 평타 3타마다 발동되는 에어본기도 핸디의 기본 V처럼 띄우기만 되고 경직이 안 걸린다. 그러므로 초근접 시 최대한 빨리 처리해야 하는데 이때 테슬라 코일이나 철사,얼어붙은 유물등이 있다면 매우 좋을 것이다.

4.2 우선권까지는 아니더라도 욕심 낼만한 아이템

  • 공속 관련 아이템 - 로더의 3번째 평타를 칠 때 까지의 시간을 최대한 줄여 빠르게 에어본을 함으로써 보다 적게 피격당하면서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로더의 공속은 평균 이상이므로 팀플에서는 기본공속에 만족하고 주사기 등은 양보해 주자.
  • 실드,최대 체력 관련 아이템 - 기본적으로 로더는 먹어주는 것이 좋다. 그러나 팀플에 헌트리스나 핸디가 있거나 하면 다른 플레이어에게 양보해주는 것이 좋다. 로더의 회피기가 실드이기 때문에, 웬만하면 다른 탱커 캐릭터에게 양보해 주거나 하는 것이 좋다.

4.3 비추천/비상성 아이템

  • 블레이징 스텝 계열 아이템,하이퍼 쓰레더 - 근접 캐릭터에게는 필요가 없다.
  • 모탈레기 - 로더의 기동력을 살리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형에서 싸울 수 있어야 하는데 박격포는...답이 없다.
  1. 게임 내 설명은 이렇지만... 자세한건 아래 후술.
  2. 유리의 아티펙트를 써도 본래 체력으로 적용 되는 듯. 게임 설명이 맞다면 유리의 아티펙트 적용 후 쉴드를 쓰면 Sand Crab에게 한대 맞아도 풀려야하는데, 쉴드로만 두 대 이상 버틴다. 버그 혹은 정말 무적? 추가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