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먼 브라더스

(리만 브라더스에서 넘어옴)

1 개요

Lehman_Brothers_Times_Square_by_David_Shankbone.jpg
△ 뉴욕에 위치했던 리먼 브라더스 본사[1]

Lehman Brothers Holdings Inc.

한때 미국의 4대 투자은행이었던 거대 금융그룹. 그리고 이그노벨상 경제학상 수상자일반적인 투자은행들이 제공하는 Merge & Acquisition Services, Valuation, Sales & Trading, Asset Management등을 담당했다. 투자은행 중 채권 및 모기지 관련 투자가 많았고, 수입 중 상당 부분을 M&A 관련 서비스에서 창출했다. 또한 레버리지(Leverage,차입 비율)가 굉장히 높았던 편이라 경기가 좋지 않을 경우, 재무구조가 위험해질 수 있을 가능성이 매우 컸다. 2007년 미국 부동산 가격 하락과 함께 대규모 손실을 입었고 추가 투자가 없을 경우 위태로운 상황이었다. 2008년 6월 한국의 산업은행이 M&A 입찰에 참가하였고 가격을 조율하던 중 2008년 9월 10일 전격적으로 M&A를 무효화하기로 했다. 결국 2008년 9월 14일 파산 신청했고 실제 이 때문에 미국이 정말 망할 했다고 전해질 정도로 그 파장과 충격은 컸다. 파산 당시의 상황을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2008년 9월 세계금융위기인사이드 잡 항목을 참고하자. BBC에서 만든 영화 리먼 브라더스의 마지막 날(The Last Days of Lehman Brothers)에 파산 전 3일간의 일에 대해 잘 묘사되어 있다.

2 역사

1850년 헨리 리먼(Henry Lehman), 이매뉴얼 리먼(Emanuel Lehman), 그리고 메이어 리먼(Mayer Lehman) 형제가 목화중개 무역업을 시작하여 유통, 교역, 조사연구 등으로 사업을 확장해 가면서 명성을 쌓아갔다. 1980년대에 아메리칸 엑스프레스의 자회사로 편입되었고 1994년에 다시 분리(Spun-off)되어 2008년까지 생존했다. 이 때 CEO 및 President를 맡았던 사람이 리처드 펄드(Richard "Dick" Fuld)로 회사의 파산이후까지 CEO로 재직했으며, 미국 국회 청문회에서 병크를 터뜨리는 바람에 많은 비난을 받았다.

우리나라의 산업은행이 이 리먼 브라더스의 일부를 인수하려고 했었으나[2][3] 국정감사등 여러가지 요인으로 무산이 된 적이 있으며, 결국 리먼 브라더스의 북미 지역은 바클리스 캐피털이, 아시아 지역과 유럽 지역의 일부는 일본의 노무라 증권이 인수했다.[4] 인터넷 상에서는 미국의 채권 시장에 목이 매여 있고 현재 일본은 채권 시장에서 큰 위험을 계속 넘기면서 간신히 살아 있는 도중이라고 우리나라의 경제의 특징상 이 리먼 브라더스를 인수했어야 했는데 그렇지 못한 것이 천추의 한이라고 하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채권 가격이 리먼브라더스를 산다고 독립되는게 아니다. 리먼브라더스는 금융회사로써 고객의 자금을 채권 인수에 하는거지 리먼이 채권을 사서 운용하는게 아니다. 반대로 파산할 경우 고객의 투자금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더 위험하게 된다.

여담이지만 리먼 브라더스는 2000년대 초에 아마존이 1년안에 파산할 가능성이 매우 매우 높다라고 예측했었다. 몇년 뒤에 정작 자기네가 파산하면서 똥 묻은 개가 겨 묻은 개 나무란다는 속담의 최고 예시를 만들어 줬지만(...) 사실 이게 오늘날의 아마존을 있게 하는데 상당히 큰 영향을 줬는데, 아마존의 CEO인 제프 베조스가 이 예측 보고를 받고 사업을 재편성했기 때문이다.

3 파산 영향

ABw56fa43e01caea.jpg
파산 당시인 2008년 9월 런던 리먼 브라더스 직원들의 마지막 회의.

파산 당시 리먼에 투자했던 여러 투자자들도 고꾸라 졌는데 가장 크게 당한 곳이 AIG. 리먼이 서브프라임 신용도의 모기지들의 위험을 분산하면서 이 투자안이 고꾸라 졌을 때 보상 받을 수 있게 만든 보험(CDS)을 저 AIG 가 상당 부분 먹은 것. AIG 에선 보험료 수억이 들어오니 좋고 리먼 브라더스의 경우는 손쉽게 고위험고수익 투자안의 위험을 분산 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리먼이 고꾸라진 순간...결국 미의회의 구제금융안이 발동돼버렸다. AIG는 불행 중 다행으로 파산 직전에 구제금융을 통해 국영화되었지만[5], 그 여파로 규모가 대폭 축소되었다. 만약 저기서 AIG 마저 고꾸라졌다면[6]? 우리나라의 국민연금이 파산 했을때의 충격 그 이상이었을 것이다.

리먼 브라더스의 파산은 기네스북세계 최대규모 파산으로 등재되었다. 흠좀무. 2위인 월드컴 파산의 '13배(!!!)인 6,700억달러으로 환산하면 무려 700조원(!!!!!!!!)짜리 파산이었다[7].

금융회사가 파산할 경우 일반 기업의 파산과 달리 그 파급력이 어마어마하다. 본래 금융회사는 자기자본보다는 타인의 자본을 유치한 뒤 여러가지 자산에 투자를 하고 관련 제반비용에서 수익을 수취하는 구조를 띄고 있다. 또한 자기자본과 고객자산을 따로 운영하기 때문에 파산만으로는 고객자산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 하지만 채권단이 청산 과정에서 고객들의 자산 중 손실이 난 부분을 보전할 목적으로 남은 자산의 회수에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시장에 대규모 매도가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대마불사라는 단어가 나오는 이유가 큰 금융회사가 망할 경우 관련 대규모 자산이 매도되어 다른 건전한 회사까지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8]

2013년작 <마진콜 : 24시간, 조작된 진실>이 리먼브라더스 파산을 소재로 다루고 있다. 다만 영화의 배경이 되는 회사는 리먼브라더스가 아닌 골드만삭스라고 보는 사람들이 많다. 리먼파산의 원인이 된 미국 부동산 붕괴의 시작점을 누구보다 빨리 캐치해서 자신들이 가지고 있던 부동산 관련 파생상품들을 급히 처분한 것으로 보아 적어도 파산한 리먼브라더스는 아닐 것이다.

4 기타

CNN에서 리먼브라더스의 파산소식을 알리던 중 월스트리트의 리먼 브라더스 정문에서 두 남자가 벗고 껴안는 방송사고가 발생했다 0:47초부터

일부에선 명박 전 대통령과 당시 기획재정부 장관을 묶어서 깔 때 Lee,Man Brothers라고 표현했다.

이 사건과 관련되어 가장 유명해진 사건은 미네르바 사건이 있다.
  1. 지금은 바클리스 캐피털이 위치하고 있다.
  2. 이 당시 산업은행장은 2008년 6월 취임한 민유성이였는데, 그는 산업은행으로 오기 직전까지 리먼 브라더스 서울사무소 소장이었다. 특히 리먼 브러더스의 인수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산업은행 총재인 민유성이 리먼 브라더스의 스톡옵션을 처분하지 않은 것이 밝혀져 논란이 일기도 했다. 논란이 거세지자 개인 소유의 스톡옵션을 처분했는데 민유성은 상당한 손해를 봤다. 이유인 즉슨 만약 조금 더 빨리 처분했다면 손해는 덜 보았을 텐데, 산업은행이 손을 떼자마자 한 달도 안되어 파산보호를 신청했기 때문. 이런 사람들도 손해를 보다니 역시 주식은 하면 안 돼
  3. 당시 조선일보 등은 리먼인수를 강력히 주장하다, 나중에는 발을 빼고 리먼의 파산 가능성 및 잠재 리스크를 직시할 것을 주장하기도 했다. 칼럼.
  4. 결국 시간이 흘러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인수한 노무라 증권은 현재 흑자 상태이다. 하지만, 인수 직후 유능한 美 사원들이 대거 이직하는 사태를 감수하고도 흑자로 전환한 것은, 노무라 증권 측의 오랜 경험의 힘이라는 측면이 더 강하다고 봐야 한다.
  5. 훗날 미국 정부가 되팔았다.
  6. 리먼 브라더스 파산 당시에는 AIG의 파산 이야기까지 실제로 나올 지경이었다.
  7. 참고로 2008년 대한민국 예산이 약 250조 원이었다
  8. 이런 대형 은행의 파산은 대마불사 이론에 따라 대규모 공적자금을 지원받는다. 그리고 그 사이에 임원진들은 대규모 보너스를 받는 형태로 먹튀를 하여 도덕적 해이를 저지른다. 이에 대해 버니 샌더스망하기에 너무 크다면 존재하기에도 너무 크다라는 말을 한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