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 바이롱

Lee_Cover.png

한국 만화 위치 헌터(만화)의 등장인물.

1 소개

주연 캐릭터인 싱 바이롱의 쌍둥이 형제다보니 외모는 거의 비슷하다. 하지만 얼굴을 가로지르는 커다란 흉터가 있고, A랭크 위치 헌터다 보니 검은색 일색인 싱에 비해 옷도 매우 화려하고 입도 거칠다. 하지만 선글라스 덕후인 건 똑같다

2 작중행적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1]
싱과 마찬가지로 바이롱 제국의 왕자 중 한명. 실질적으로 황제가 될 재목으로 여겨졌으나 난데없이 한량유에 바이롱이 황제로 지목되자 열폭을 제대로 빡쳐 있자, 아버지인 전 황제가 "나도 이 결과가 마음에 들진 않는다"면서 은근슬쩍 반란을 부채질 해, 휘하의 권속들을 이끌고 난을 일으켰다.

하지만 사실 그건 현 황제에게 위협이 될만한 놈들을 모조리 쳐내려는 아버지의 계략[2] 이었기에 부하들은 모조리 도륙당했고, 본인도 정예병 밤까마귀들에게 죽을 위험에 처했으나 비설의 도움으로 목숨만 건진 채 망명한다.

그 뒤로 도대체 어떤 아수라장을 겪었는지, 자그마치 작중 가장 강한 캐릭터들인 4대 마녀 중, 가장 전투적인 누님사우스 휘하 네임드 마녀(=간부) 중 한명의 서포터가 되어 등장. 게다가 3명이나 되는 늘씬한, 게다가 전투능력도 A클래스를 엿먹일 정도로 상당히 뛰어난 마녀들을 부리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레알 인생의 승리자인듯. 역시 인생은 줄을 잘 타야한다.

다른 형제들과 마찬가지로 형제들을 혈육으로서 매우 사랑했지만, 실질적으로 유에 바이롱을 향한 감정은 싱 바이롱을 향한 것 만큼 곱진 않았던 듯. 언제나 빈둥빈둥 노력이라고는 토씨만큼도 하지 않으면서 말도 안 되는 재능으로 모든걸 다 해먹은 그에 비해 어디까지나 노력파일 뿐, 언제나 자신이 유에의 밑에 있다는 사실이 굉장한 트라우마로 남은 듯 하다. 실제로 본인이 직접 모국인 바이롱 제국을 개발살을 내버린데다,[3] 아무리 밉대도 형제인 유에 바이롱을 정말 죽일 기세로 싸움을 걸기도 한다.

전반적으로 이렇게 유에를 증오하지만, 또 본심으로는 유에의 진짜 실력을 한번 보고 싶기도 한 모양. 아무래도 "도대체 네가 얼마나 괴물이길래 날 이렇게 비참하게 만드냐" 싶어서 직접 본인의 몸으로 얼마나 천재인지 확인해보고 싶은 듯.

전반적으로 유에를 매우 압도하다, 진지해진 유에에게 다소 발리는 묘사가 나와서 매우 안습하다.[4]
역시 노력으론 천재를 이길 수 없단 말인가

하지만 그 이후 난입한 싱(의 몸을 장악한 전 황제)을 상대로 유에와 함께 2대 1의 전투를 벌이다, 유에가 그를 제압하기위해 많은 기를 담아 전력의 패왕붕권을 써버린 탓에 반동으로 쓰러지자 전 황제와 붙게 된다.

그러나 이미 황제에게 자신이 낚였음을 깨달은 싱의 정신이 황제 및 백룡을 방해하기 시작한 시점이었다. 그래서 그의 정신을 찍어누르느라 집중력과 전투능력을 많이 분배한 탓에 기량이 떨어져있던 그를 손쉽게 제압하기 위해 자신의 마스터인 메이링의 모습을 드러내고[5] 마력을 공급받아, 간단하게 그를 제압하고 싱의 몸에서 몰아낸다.

하지만 이미 억지로 백룡을 몸에 묶어놓느라 생명력이 깎일 때로 깎인데다 여러모로 지쳐버린 싱은 "망설이지 말고 죽여줘"라는 말을 하고 결국 슬픈 표정으로 그의 숨을 끊는다.

상황 상 리의 선택이 어쩔 수 없었음을 알면서도 반사적으로 그에게 달려들어버린 유에를 가볍게 제압하며, 그를 보좌하는 비설에게 "너의 왕을 죽을 각오로 훈련시켜라. 만약 다음에 만났을 때도 유에가 이런 정도의 실력이면, 네 왕은 이 세상 사람이 아닐 것이다."라고 단언한다. [6]그리고 마지막 남은 수하 마녀인 아메튼의 도움으로 사우스의 성으로 귀환하면서 모습을 감추게 된다.

여러모로 중간보스 포지션이면서 유에에게 있어선 최종보스급 포지션에 위치한 인물. 자신이 한 말[7]을 증명이라도 하듯이 현재는 유에보다 여러모로 우위에 있다. 통찰력은 스스로 천재라고 인정한 유에보다 뛰어난 것으로 보이며 아바마마와의 설전을 통해 바이롱제국의 진실과 원인을 누구보다 빨리, 정확하게 잡아낸 것을 보면 사실상 흰 용의 선택이 아니였다면 가장 적합한 왕의 후보였을듯.[8]
  1. 스포일러를 단 이유는 이 캐릭터가, 싱 바이롱이라 알려진 캐릭터가 사실은 유에 바이롱이고 현재 바이롱 제국 황제를 맡고있는 유에 바이롱이 사실 싱 바이롱이라는, 작중 제법 중요한 떡밥이 풀린 뒤에 등장한데다 실제 싱 바이롱과 매우 연관성이 깊은 캐릭터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2. 아무리 그래도 똑같이 자기 자식인데, 피도 눈물도 없다. 작품 묘사를 보면, 백룡과 일체가 되게 되면 전반적으로 성격이 냉철해지는 듯 하다.
  3. 겉만 멀쩡했지 나라 꼴은 이미 막장이긴 했다.유에에게 네가 싱의 모든걸 앗아갔다라고 할때 보면 꽤나 씁쓸했던 모양.
  4. 다만 밀린것은 유에가 살기를 내뿜은 직후의 첫타뿐이다. 그 외에는 밀리는 모습이 없다. 본격적 전투가 일어나기 전에 둘다 싱에게 제지당했지만
  5. 쭈뼛쭈뼛거리는 소극적인 행동과 마스터임에도 패밀리어인 리의 옷자락을 잡아 끌거나 그의 등 뒤에 숨으려고 하는 등 크게 의지하는 모습, 거기에 행동에 어울리는 자그마한 로리다운 체구와 외모 때문에 정신이 아득해질 정도로 모에한 마녀이다. 수하 마녀 셋 중 둘이나 로리일 때부터 알아봤어야 했다 이 로리콘 자식!!
  6. 살기를 내뿜는 유에에게 잠깐 밀리는 모습을 보였지만 작중에서 나온것으로도 유에는 임기응변면에서 리보다 우위를 보이고 있다는 묘사만 있었을뿐 나머지는 전부 리에게 밀린다. 실제로 리와 비등하다고 취급받는 란슬롯에게 유에는 발렸다.
  7. 노력하지 않는 천재는 노력하는 범재를 이길수 없다. 작중 유에에게 한 말이다.
  8. 성군으로써의 자질은 싱이 월등히 뛰어나지만 왕이 된 이후의 싱은 그 이외의 면에서는 무력했다. 물론 유에와 짜고친 것으로 인한 댓가였지만 리가 그 포지션에 있었다면 그렇게 허무하게 당하진 않았을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