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딘

터키어: Mardin
쿠르드어: Mêrdîn
아랍어: ماردين (Mārdīn)
아람어: M'erdo

1 터키의 도시 및 도

주의. 이곳은 여행자제 국가·지역입니다.
이 지역은 대한민국 외교부에서 여행경보 2단계인 여행자제로 지정되었습니다. 해당 지역은 치안이나 위생 등에서 심각한 문제가 있을 때가 많습니다. 이에 따라 테러 등으로 현지 정세가 급박하게 전개되는 일도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해외 여행 시 반드시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에서 해당 국가 또는 지역에 대해 정보를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틀:여행경보/설명문서}}

주의. 이곳은 철수권고 국가·지역입니다.

이 국가 또는 지역은 대한민국 외교부에서 여행경보 3단계인 철수권고가 발령되었습니다. 현지에 체류하시는 분들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이상 시일 내에 최대한 신속히 귀국하거나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하셔야 합니다.
해외 여행 시 반드시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사이트에서 해당 국가 또는 지역에 대해 정보를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틀:여행경보/설명문서}}
[1]
2b.jpg

터키 남동부 지방에 속하는 도로 서쪽으로는 샨르우르파도, 북쪽으로는 디야르바크르도, 동쪽으로는 시으르낙도, 남쪽으로는 시리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이 지방에는 아람어를 바탕으로 한 마르딘 특유의 아랍어방언을 모국어로 하는 쉬리야니(Süryani)라고 불리는 시리아 정교회를 믿는 아랍인이 다수를 이루었으며, 그 외에 무슬림 아랍인쿠르드족이 거주하고 있다. 총 10개 시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적은 8,858 km2로 충청남도보다 조금 더 크다.

1.1 마르딘의 시군

Mardin_districts.png

도 중심지는 마르딘이며 마르딘 시를 포함해 아르툭루(Artuklu)군, 다르게치트(Dargeçit)군, 데릭(Derik)군, 크즐테페(Kızıltepe)군, 마즈다으(Mazıdağı)군, 미디야트(Midyat)군, 누사이빈(Nusaybin)군, 외메를리(Ömerli)군, 사우르(Savur)군, 예실리(Yeşilli)군 총 10개의 시군, 31개 면, 579개 리를 포함하고 있다. 2014년 통계로 도 전체 인구는 779,738 명이다.

1.2 역사

전통적으로 이란시리아, 이라크, 이스탄불로 통하는 무역로에 위치해 상업으로 번영했으며, 인근의 샨르우르파, 디야르바크르와 역사를 함께 했다. 터키에서도 가장 아랍문화가 잘 보존되어 있는 지역으로 언덕위에 세운 도시는 오래전부터 외부 침략자들을 방어하기 위해 고안되어 좁은 골목과 가파른 계단을 가지고 있다. 이 지역 주민들의 언어는 아랍어의 방언의 일종이지만, 다른 지역 사람들은 전혀 못 알아들을 정도로 이질적인 방언으로 현재까지도 널리 통용된다. 마르딘 구시가지 토박이들은 쉬리야니, 무슬림 아랍인, 쿠르드족이 한데 모여살기때문에 마르딘 아랍어와 터키어, 쿠르드어 모두 구사할 수 있다.

1.3 기후

인근 지역과 마찬가지로 대륙성 기후를 보이며 여름철에는 물론이고 겨울철에도 비가 별로 내리지 않는 곳이다. 바로 남쪽에 시리아 사막이 위치해 있기 때문에 때때로 모래폭풍이 불며, 샨르우르파보단 낫지만 매우 뜨겁고 건조한 기후를 보인다.

1.4 구경거리

https://tr.wikipedia.org/wiki/Mardin#/media/File:P1040528_Mardin_pano.JPG

마르딘 구 시가지는 역사적인 가옥과 모스크, 교회로 가득하다. 마르딘 인구의 거의 절반이 시리아 정교회를 믿는 기독교인인만큼 안티오키아와 더불어 터키에서 가장 교회가 많으며, 그 역사또한 깊다. 시장에서는 당나귀를 타고 다니며 일종의 택배일을 하는 마부들을 볼 수 있는데, 이 또한 과거에는 터키 전국에서 볼 수 있었지만 현재는 마르딘만의 특징이 되고 있다. 언덕이 가파른데다가 골목이 좁아 차가 들어갈 수 없는 골목이 너무 많아서 당나귀 운송업이 여전히 살아있는 것. 심지어 당나귀는 덩치도 작고, 최대 300kg의 짐을 싣고도 거뜬히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이 지방에서 애용된 운송수단이었다.

View_from_Mardin_to_the_Mesopotamian_plains.jpg

마르딘에서 가장 오래된 모스크이자 가장 높은 첨탑을 가지고 있는 울루 자미(Ulu Camii)의 모습. 모스크 입구에는 아랍어인 Cami-i kebir 라고 쓰여 있는 것도 볼 수 있다. 뒤로는 메소포타미아 평원이 펼쳐져 있다.

Deyrulzaferan_P1040072_20080501123258.JPG

마르딘 시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한 데이룰자파란 수도원(Deyrulzafaran Manastırı)의 모습. 현재도 예배가 이루어지고 있는 곳으로, 이 외에도 미디야트 군에 위치한 모르 가브리엘(Mor Gabriel) 수도원, 마르딘 시내에 위치한 40인의 순교자 성당(Mor Behnam Kilisesi)도 유명하다.

63428663.jpg

시리아 정교의 이콘

mardin-zinciriye-medresesi.jpg

진지리예 신학교(Zinciriye Medresesi)

1.5 음식과 특산품

맵고 향이 강한 음식을 선호하는 다른 남동부 아나톨리아 지방과 달리 이 지방의 음식은 매우 담백하며 향신료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음식 문화도 터키와 차이가 있으며, 이라크 음식과 많이 비슷하다고 한다.

Dobo.JPG
도보(Dobo)라는 삶은 양고기 요리. 터키에서도 이 지방에서만 먹는다.

Harire.jpg
하리레(Harire), 마르딘 지방의 전통 푸딩요리로, 밀가루와 녹말, 계피, 우유를 끓여서 푸딩을 만들고 위에 호두를 올린다.

이 외에도 이 지방에서는 다른 아랍지방처럼 비둘기를 먹기도 한다. 비둘기 속에다가 양념한 밥을 채워넣고 삶은 귀베르진 돌마(Güvercin dolması)라는 요리도 있다.

마르딘의 특산품으로는 호박(보석)과 을 철사처럼 길게 뽑은 다음 갖가지 모양을 만들어 장식하는 철사공예(Telkâri sanatı), 그리고 돌을 망치와 정으로 쪼아서 장식하는 조각공예가 유명하다.

TKGS-007-300-tl.jpg
dunyanin-en-pahali-tesbihleri-mardin-de-satiliyor-7159465_x_4632_o.jpg
mardin-tasi.jpg

kahve-fal%C4%B1nda-%C5%9Fahmeran-g%C3%B6rmek.jpg

또한 이 지방에는 샤흐메란(Şahmeran)이라는 쿠르드족의 전설에 나오는 뱀 여인상 또한 전통 모티브로 애용된다. 샤흐메란은 뱀의 몸통과 꼬리를 가진 여인으로 묘사되는데, 매우 선한 성격으로 인간에게 많은 도움을 주었지만 인간은 뱀의 모습을 한 샤흐메란을 혐오하여 학대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마르딘 사람들은 이 샤흐메란이 그려진 쟁반이나 접시를 벽에다 걸면 액막이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혼수품에도 반드시 포함할 정도로 좋아한다.
  1. 국경 지역(10km)은 시리아와 가까워 철수권고지역으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