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름모육팔면체

아르키메데스 다면체
Archimedean Solids
준정다면체
Quasiregular Polyhedra
반정다면체
Semiregular Polyhedra
육팔면체
십이이십면체
깎은 정사면체
깎은 정육면체, 깎은 정팔면체
깎은 정십이면체, 깎은 정이십면체
깎은 육팔면체
깎은 십이이십면체
마름모육팔면체
마름모십이이십면체
다듬은 육팔면체
다듬은 십이이십면체

Rhombicuboctahedron.gif
반정다면체 중 하나인 마름모육팔면체의 모습.

1 개요

마름모六八面體, Rhombicuboctahedron[1]

P2-A5-P3.gif
한 꼭지점에 정삼각형 한 개와 정사각형 세 개를 배치해 만든 반정다면체. 위 그림과 같이 정육면체의 각 모서리들을 정사각형으로, 각 꼭지점들을 정삼각형으로 대체하거나, 정팔면체의 각 모서리들과 꼭지점들을 정사각형으로 대체하여 만들 수 있다. 이 과정이 마치 다면체를 부풀리는 것 같다고 하여(expansion) 부풀린 정육면체/정팔면체/육팔면체라고도 불린다.

2 마름모육팔면체에 대한 정보

단위/특성개수비고
슐레플리 부호rr{3,4} 또는 rr{3,4}[2][3]
t0,2{3,4} 또는 t0,2{4,3}[4]
꼭지점 형태3.4.4.4[5]
꼭지점(vertex, 0차원)24
모서리(edge), 1차원)48
면(face, 2차원)26정삼각형×8, 정사각형×18
쌍대연꼴이십사면체
포함 관계[6]
또는 다른 이름[7]
늘린 맞붙인 두 사각지붕(Elongated square orthobicupola)[8]

[9]
한 변의 길이가 [math]a[/math]인 마름모육팔면체가 있을 때

외접구의 반지름 = [math]\displaystyle\frac{\sqrt{5+2\sqrt{2}}}{2}a[/math]
겉넓이(surface area) = [math](18+2\sqrt3)a^2[/math]
부피(volume) = [math]\displaystyle\frac{2}{3}(2+5\sqrt{2})a^3[/math]

3 현실에서의 예시

  1. 복수는 rhombicuboctahedra
  2. r은 절반 지점까지 깎은 상태를 의미한다. rr{3,4}와 rr{4,3}은 정팔면체나 정육면체를 모서리 절반 지점까지 깎아 육팔면체를 만들고 다시 꼭지점을 깎아내어 마름모육팔면체형으로 만든다는 의미이다.
  3. 실제로는 아무리 육팔면체를 잘 깎아도 깎은 면이 정다각형으로 나오지 않는다. 육팔면체의 꼭지점 형태는 3.4.3.4로, 다각형들이 서로 같지 않기 때문에 단면이 정사각형이 아닌 인접한 두 변의 길이의 비가 1:√2인 직사각형이 나온다
  4. t0,2는 부풀리기(expansion)을 의미한다.
  5. 한 꼭지점에 정삼각형-정사각형-정사각형-정사각형 순서대로 모인다는 뜻. 나머지는 모두 같은 정사각형들이고, 정삼각형은 1개밖에 없으므로 다르게 배열해도 똑같다.
  6. 반드시 이 다면체를 지칭하지는 않으며, 해당 이름이 비슷하게 생긴 고르지 않은 다면체도 포함하는 경우
  7. 반드시 이 도형과 닮거나 합동인 도형을 지칭하는 이름
  8. 사각지붕(J7)은 마름모육팔면체를 정팔각형을 이루는 모서리들을 기준으로 잘랐을 때, 작은 조각과 같으며, 존슨 다면체이다.
  9. 슐레플리 부호로 [math]r\begin{Bmatrix}3\\4\end{Bmatrix}[/math]라고 쓰기도 한다.
  10. 가끔 석가탄신일 등 연등행사가 있는 날에 이런 형태의 연등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