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gray;padding:12px;" {{{+1 여객을 취급하지 않는 역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철도역은 현재 여객열차를 취급하지 않는 철도역으로, 화물열차만 취급하는 화물역, 신호장 및 신호소, 부정기 전세열차 전용역, 또는 현재 열차 운행이 중단된 구간에 속한 역일 수 있습니다. 이 철도역에서는 여객열차 승·하차가 불가능하니 이점 상기하시기 바라며, 이에 대한 잘못된 이해로 발생하는 피해는 우만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또한 폐역 · 미개통 또는 정기 관광열차만 정차하는 철도역에는 이 틀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영동선 | |||||
영주 방면 망 상 | ← 0.7 km | 망상해수욕장 | → 4.8 km | 강릉 방면 옥 계 |
望祥海水浴場驛 / Mangsang Beach Station
망상해수욕장역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Mangsang Beach |
한자 | 望祥海水浴場 |
중국어 | 望祥海水浴场 |
일본어 | マンサンかいすいよくじょう |
주소 | |
강원도 동해시 망상동 388-1 | |
일반 철도 | |
운영기관 | 코레일 강원본부 |
영동선 개업일 | 2000년 1월 1일 |
역등급 | 임시승강장(묵호역 관리) |
500px
재개장 이전의 모습
500px
2014년 재개장 한 역의 모습
영동선의 임시승강장. 강원도 동해시 망상동 388-1 소재. 이 다음 역인 옥계역부터는 강릉시로 넘어가기 때문에 이 역이 동해시의 마지막 철도역이다.
역 이름 그대로 동해시의 망상해수욕장에 가는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세워진 역이다. 망상해수욕장 정문 앞에 있다. 말 그대로 여름철에만 잠깐씩 통일호/무궁화호가 정차하던 역. 인근 망상역을 새로 지은 후에는 열차가 정차하지 않았다. 휴가철에도 망상역에만 정차했다.
하지만 2014년에는 7.11~8.24 간 영동선의 모든 무궁화호가 정차하게 되었다! 1박 2일에도 등장했다. 플랫폼과 울타리를 설치하는 등 기본적인 역 시설을 정비해서 마련하고, 자그마하지만 맞이방도 있고 현장 발권도 가능한 역사를 만들고 새벽시간만 빼면 역무원까지 근무하니, 화장실만 빼면[1] 웬만한 간이역에 있을 건 다 있다. 즉 실질적으로는 임시승강장 수준을 벗어난 셈이다. 관광객을 위해 만들어서인지 스탬프까지 별도로 제작, 비치하였다.(비 시즌에는 동해역에 스탬프 비치.)
이후에도 매년 여름(하계 특별 수송 기간) 망상역대신 이 역에서 해당 구간을 지나는 영동선 전 열차가 임시 정차하고 있다.[2] 참고로 이름이 길어서인지 이때 전산상으로는 "망상해변"역으로 표시되고 역 전광판에서는 망상해(...)까지만 표기된다. 삼척해변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