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각 대회의 번역명은 공홈에 따라 만들어졌습니다.
- 일단 해당 초청 방침은 이 문서에서 발췌. 2015년되면 또 바뀝니다;;
- 캐쥬얼 플레이어라 이쪽 잘 몰라요. 틀린 점 있으면 가차없이 수정부탁
TCG 매직 더 개더링의 공식/사설 대회에 대해 설명을 하는 항목
목차
1 개요
제작사에서 토너먼트 등에 대한 투자가 매우 많아서 스타크래프트를 비롯한 PC게임에 프로게이머 문화가 등장하기 훨씬 이전서부터 프로투어라는 메이저급 대회를 중심으로 프로화가 이루어졌다. 시스템 자체는 골프와 매우 비슷한 형태로, 전세계 탑클래스의 플레이어들만이 초청되는 프로 투어를 중심으로 그 밑에 수많은 중소 대회들이 피라미드 구조를 이루고 있다. 2008년 세계대회는 프랑스의 그 유명한 루브르 박물관에서 치러지는 등 위상은 꽤나 높다. 국내에서도 지역예선과 전국대회는 매년 어김없이 치러지고 있으며 인기도 높은 편이다.
최고 수준의 매직 플레이어에게 필요한 능력이 포커 프로에게 필요한 능력과 일치하는 부분이 크기 때문에 포커의 인기가 급상승하면서 다수의 탑클래스 프로들이 돈벌이가 훨씬 좋은 포커로 이적하기도 했다. 실제로 매직 프로 출신이 WSOP 2위를 차지한 전력도 있다. 스타크래프트의 베르트랑과 비슷한 사례로 볼 수 있을 듯.
최강국은 종주국인 미국, 한국과 비슷한 시기에 도입되었으나 그 열기가 사그러들지 않고 오히려 일본인 특유의 야리코미 특성과 맞아들어 급성장한 일본, 그리고 꾸준히 강함을 유지하고 있는 유럽 국가들이다. 불모지였던 아시아와 남미 쪽에서도 점차 성장하고는 있으나 아직 밀리는 편.
2 세계선수권(Magic World Championship)
매직이 만들어진 1994년부터 유지된 가장 등급이 높은 대회로 15만불의 상금을 걸고 24인의 플레이어들만이 초청받아 게임을 하게 된다. 프로투어의 일부분으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으며 참가자격은 자동으로 초청되는 아래의 자격을 갖춘 선수들과 프로 포인트 순위자른 나머지.
- 전년도 우승자
- 지난 시즌 프로투어 우승자들
- Player of the year
- Rookie of the year
- mid season master[1]
- constructed master[2]
- limited master[3]
- 지역내 프로투어 포인트 1,2위(지역 단위는 아시아-태평양, 유럽, 일본, 라틴 아메리카, 북 아메리카의 5개.)
- 명예의 전당 등록 선수들중 지난시즌 프로 포인트를 가장 많이 획득한 선수
- Magic Online Championship Series (MOCS)에서 우승.
2.1 월드 매직컵(World Magic Cup)
2012년도 이후 생긴 것으로 예전 National Championships과 비슷한 지역 예선을 통과한 사람들이 팀을 이뤄 대항하여 우승국을 가린다. 은근히 네셔널리즘까지 자극하면서 참가의지를 드높이는 대회. 실제로 대부분의 일반 매직 플레이어들의 꿈이 세계대회에 자국 대표로 출전하는 것이다.
룰(2016 월드 매직컵)
1일차
7라운드 스위스 리그
1~3라운드: 칼라데시 팀 실덱[4]
4~7라운드: 팀 통합 모던(team unified modern)[5]
상위 48팀이 2일차 진출
2일차[6]
6팀 1개조 총 8개조
진출전(48강~32강)
각조별 3번~6번시드가 대결해서 승리하는 팀이 스테이지1 진출 패배팀은 탈락[7]
스테이지1(32강~16강)
각조 원데이 듀얼 방식으로 2팀이 다음라운드 진출
스테이지2(16강~8강)
스테이지1과 동일
3일차
8강 싱글 엘리미네이션 팀 통합 모던
3 프로투어(Pro Tour)
쳬계적인 경기체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목표로 삼을 대회가 있어야 한다는 신념아래 Skaff Elias가 비치발리볼 등의 상대적으로 소규모로 운영되는 스포츠들을 조사해서 만든 대회. 1996년부터 시작됐으며 이니스트라드가 나온 2012년부터는 각 프로투어의 이름에 세트의 이름이 붙는다.
그만큼 참가자격은 엄격히 제한되어 있기에 여기에 참가하는 것만으로도 프로로 볼 수 있을 정도이며 여기에 초청받기 위한 조건은 다음과 같다.
- RPTQ(Regional PTQ)의 순위권 내에 입상할 것[8]. 이 RPTQ에 나가기 위해서는 PPTQ(Preliminary PTQ)에서 우승을 할 필요가 있음.[9]
- Magic Online Championship Series에서 우승.
- 지난 프로투어 스위스 라운드에서 11-5(승점 33점)이상의 성적을 거둘것
- 그랑프리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둔 사람.[10]
- 바로 전 프로투어 25위까지.
- 월드 매직컵 4강에 올라간 팀멤버. 단, 월드 매직컵 바로 다음 프로투어에만 해당.
- 해당 프로투어 시즌 때 Professional Point로 구분되는 Club에서 실버 등급 이상. 단, 실버는 한 시즌에 한 번만 가능.
- 명예의 전당 멤버
2011년에 DCI Rating으로 들어가는 조건이 사라졌으며 일반인이 처음으로 프로투어에 들어가고 싶으면 RPTQ 상위권 입상 혹은 그랑프리에서 우승해야 하는데 RPTQ도 그 전의 PPTQ 우승을 해야 참가자격이 부여되며 보통 한국은 RPTQ 개최지역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RPTQ 참가를 위해서 해외로 가야한다[11] GP에는 천 명 단위로 참가하기에 험난한 과정이다. 참고로 가장 많이 프로투어 우승을 거머진 선수는 7번의 카이 부데(한 번은 월드)로 2위와 더블 스코어 이상의 격차기에 절대 깨질 일은 없어보인다(…)
프로투어는 3일에 걸처 진행된다.
1일차/2일차:8라운드 스위스라운드
1~3라운드:부스터 드레프트
4~8라운드:컨스트럭티드(스텐다드/모던)
3일차:컨스트럭티드 8강 토너먼트
프로투어 섬뜩한 달 까지:싱글 엘리미네이션
프로투어 칼라데시 부터:LPL식 스탭레더
매직 더 게더링 프로투어 다큐맨터리 enter the battle field 촬영은 13~14시즌에 진행되었다.
프로투어 이니스트라드에 드리운 그림자 결승전
한국 선수 남성욱 선수가 진출한 프로투어 닉스로 가는길 결승전
3.1 프로투어 팀 시리즈
17~18 시즌부터 본격 시작되는 팀 이벤트
9인1조의 팀이 시즌의 4번의 프로투어를 거치며 최고의 팀을 가리는 이벤트
16~17시즌 시범진행 방식
프로투어 에테르봉기:9명 전원에 프로 포인트가 팀 포인트로 계산
프로투어 아몬케트:상위 6명의 포인트만 팀 포인트로 계산
프로투어 파멸의 시간:9명 전원에 프로 포인트가 팀 포인트로 계산, 종료후 팀 포인트 상위 2팀이 2017 월드 챔피언쉽에서 펼처지는 결승진출
상위 4팀이 17~18시즌 첫 프로투어 초대권 획득
본격 진행방식
시즌 첫번째 프로투어: 프로투어 6주전에 참가 신청을 받고 팀 전원에 프로포인트가 팀 포인트로 계산
시즌 두번째 프로투어: 6주전에 추가 참가 신청을 받는다. 첫번째 프로투어에서 참가한 팀은 상위 6명 두번째 프로투어에서 참가한 팀은 전원의 프로포인트가 팀 포인트로 계산
시즌 세번째 프로투어:상위 6명의 프로 포인트가 팀포인트로 계산, 종료후 상위 8팀이 네번째 프로투어 진출
시즌 네번째 프로투어:팀 전원에 프로 포인트가 팀 포인트로 계산 상위 4팀이 다음 프로투어 초대권 획득 상위 2팀이 월드 챔피언쉽에서 펼처지는 결승 진출
4 Invitational
16명의 가장 뛰어난 플레이어를 초청해서 각각의 플레이어들이 3일에 걸쳐 라운드 로빈으로 15번의 경기를 한 다음 마지막 4일째에 1,2위가 승부를 겨루는 방식. 올스타전에서 영감을 얻어 우승 기록이나 팬들의 투표 등으로 출전자를 가려 그들을 초청한 다음에 서로 겨루는 방식으로 만들었다. 1회를 제외하고는 모두 그랑프리가 열렸던 도시에서 열렸다.
사람들을 초대해서 하는 것인만큼 하루는 아예 플레이어들을 데리고 해당도시 관광을 시켜줬으며, 포맷도 실험적인 것도 포함 정말 다양한 편. 무엇보다도 대회에 돈이 하나도 안 걸려있고 상품이라곤 오직 우승자에게 자신의 얼굴이 그려져있는 일러스트를 가진 매직 카드 하나를 디자인할 권한을 준다는 점이 가장 특별한 점이다. 이렇게 된 이유는 초청비용만으로 돈이 오링나서 줄 상금이 없었기 때문(…) 몇 번 안 했음에도 불구하고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열렸다는 것도 하나의 쓸모없는 지식.
96년 부터 07년까지 진행됐다.
회차 | 장소 | 우승자 | 만들어진 카드 |
1회 | 홍콩 | Olle Råde | Sylvan Safekeeper |
2회 | 리우데자네이루 | Darwin Kastle | Avalanche Riders |
3회 | 바르셀로나 | Mike Long | Rootwater Thief |
4회 | 쿠알라룸푸르 | Chris Pikula | Meddling Mage |
5회 | 시드니 | Jon Finkel | Shadowmage Infiltrator |
6회 | 케이프타운 | Kai Budde | Voidmage Prodigy |
7회 | 시애틀의 매직 본사 | Jens Thoren | Solemn Simulacrum |
8회 | E3 | Bob Maher | Dark Confidant |
9회 | E3 | Terry Soh | Rakdos Augermage |
10회 | E3 | Antoine Ruel | Ranger of Eos |
11회 | 에센 | Tiago Chan | Snapcaster Mage |
5 사설대회
5.1 게임데이
2007년 10th Edition이 나온 다음부터 정착된 제도로 각 세트가 출시된지 한 달 뒤에 열리는 이벤트. 모든 참가자들은 프로모 카드를 받으며 8강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8강 프로모를 또 받고 우승자는 거기에 더해 플레이매트를 받는다.
5.2 프리릴리즈
부스터를 팔기 1주 전에 미리 하는 대회. 아이스 에이지 블록의 아이스 에이지 세트부터 시작된 제도로 릴리즈에 가깝다. 실덱 형식으로 치뤄지는 대회로 여기에 참석하면 특별한 프로모 카드가 주어지며 미리 카드를 구하고 싶은 사람들은 이 키트를 DP단위로 산다.
5.3 FNM
Friday Night Magic
말 그대로 금요일 밤에 하는 이벤트. 매월 다른 프로모 카드를 걸고 게임을 하게 되며 원래는 포맷이 제한되어 있었으나 타르커의 칸 이후 하고 싶은 어떤 포맷이든 FNM으로 할 수 있게 바뀌었다.
6 한국의 성적
한국은 예전부터 치터 마크 저스티스를 이기는 등 플레이어 개개인의 역량은 떨어지지 않으나 아무래도 규모가 적고 다른 국가들과의 교류가 적은 편이라서 큰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내는 경우는 많지는 않았다. 2013년 이전까지 메이저급 대회에서의 한국인 최고성적은 2006년 마닐라 그랑프리, 2014년 콸라룸푸르 그랑프리의 3위.[12]
- ↑ 각 시즌 2번째 프로투어 종료후 가장 많은 프로 포인트를 획득한 선수
- ↑ 4번의 프로투어 스위스 라운드중 컨스트럭티드 부문에서 가장 많은 승점을 획득한 선수
- ↑ 4번의 프로투어 스위스 라운드중 리미티드(부스터 드레프트) 부문에서 가장 많은 승점을 획득한 선수
- ↑ 각 팀당 칼라데시 부스터팩 12팩을 뜯어 각자 3명이 사용할 40장 덱 3개를 만든다.
- ↑ 각각 60장의 모던 덱 3개를 준비해야 하며 같은 카드를 2개 이상에 덱에서 쓸수 없다.
- ↑ 방식은 모두 팀 통합 모던
- ↑ 1/2번 시드는 진출전 면제
- ↑ 128명을 경계로 참가 가능한 등수가 달라진다.
- ↑ 기존에는 해당 프로 투어에 해당하는 PTQ(프로투어 예선, Pro Tour Qualifier)에서 우승하면 참가자격을 부여하였으나 타르커의 칸 이후로 현재 방식으로 변경
- ↑ 그랑프리에 참가인원 1200을 경계로 프로투어에 참가할 수 있는 등수가 달라진다.
- ↑ 2015년 RPTQ 밀워키는 한국에서도 개최가 확정되었으나, MERS로 인하여 다음 RPTQ 개최로 연기되었다
- ↑ http://www.wizards.com/Magic/Magazine/Events.aspx?x=mtgevent/gpmani06/welcome
- ↑ http://www.wizards.com/magic/magazine/article.aspx?x=mtg/daily/eventcoverage/gpmel14/welc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