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로더(배틀메크)

배틀테크 세계관에서 등장하는 배틀메크

1 제원 정보

@MAD-3R 기준

중량75톤
동체구조GM 머로더
동력로블라 300 핵융합 엔진
보행속도시속 43.2km
주행속도시속 64.8km
장갑밸리언트 라멜러 장갑(11.5톤)
무장마그나 헬스타 PPC 2문
마그나 마크 II 중구경 레이저 2문
GM 휠윈드 AC/5 1문
생산자제너럴 모터스, 인디펜던스 군수
주 생산 공장캐실, 쿠엔틴
통신 시스템달반 마이크로닉스
조준 추적 체계달반 하이레즈
가격663만 5125 C빌

2 설명

제너럴 모터스 사가 머로더(Marauder)를 처음 내놓았던 2600년대 초, 그들은 머로더를 선두로 한 머로더 계열 시리즈를 발표해서 배틀메크의 새로운 세대를 창조할 거라고 야심만만했었다. 하지만 성간 연대의 몰락과 끊임없는 전쟁으로 인한 기술의 후퇴로 인해 머로더의 뒤를 잇는 개량형들은 서류 밖으로 현실화되지 못하게 되었다. 뿐만아니라 1R 시절만 해도 철섬유 장갑과 셀룰러 탄약고(CASE), 2R 시절에는 ER 하전 입자포와 이중 냉각기 같은 성간 연대 시절의 발전된 기술을 사용했으나 3R때는 1R, 2R에 비해 퍽 후퇴한 양산형이 되어버렸다.

뭐 그렇다 해도 머로더는 이너 스피어에서 널리 잘 알려지고 선호되는 좋은 배틀메크다. 양 팔의 PPC 2문과 머리 위(실제로는 동체)에 달린 AC/5를 이용해서 원거리에서 적을 뭉개놓을 수 있다. 문제는 PPC 여러 문 쓰는 메크가 그렇듯이 발열 문제가 심하다는 것과, 75톤 치고 장갑이 좀 빈약하다는 것인데 특히 다리 장갑이 얇은 것으로 악명이 높다.

디자인적으로 머리 위쪽에 자리잡은 AC/5는 머로더에서 제일 골치아픈 부분인데, 오토캐논 자체가 상당히 민감해서 전투 중에 고장을 자주 일으킬 뿐만 아니라 동체와 연결된 부위가 좀 약해서 말썽을 자주 일으킨다. 머로더의 구조는 정면 면적이 넓은 인간형보다 훨씬 좁은 것이 장점이지만, 구조 상 메인 동체에 피격을 자주 당하는 편이고 그 피격의 충격때 AC와 동체를 연결하는 부위가 비틀리거나 꺾여서 말썽을 자주 일으킨다. 다리의 연결부위 또한 비슷한 문제를 갖고 있어서 보강이 시급하다. 머로더의 앞쪽 코 부위에 자리잡은 목표 추적 장치가 파일럿 콕핏의 시야를 조금 가린다는 단점도 지적되지만 막상 큰 문제는 아니라고.

머로더에 사용한 통신 장비인 달반 마이크로닉 컴기어는 상당히 호평받는 고수준의 통신장비이기 때문에 지휘 메크로도 곧잘 쓰인다. 물론 기본 화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공격 메크로도 훌륭하다. 머로더가 주로 활동하던 성간 연대와 계승 전쟁 시기에 머로더는 더 큰 체급의 메크도 화력으로 능가하는 모습을 종종 보여주곤 했다.

머로더도 로커스트, 로커스트 IIC, 와스프, 스팅어, 라이플맨, 라이플맨 IIC, 울버린, 컨저러, 그리핀, 그리핀 IIC, 워해머, 워해머 IIC, 인큐버스, 스톤 라이노, 베인, 하울러, 글래스 스파이더, 오스트스카웃, 오스트락, 오스트솔과 마찬가지로 마크로스를 비롯한 디자인(그라지) 관련 문제를 피해갈 수 없었기 때문에 프로젝트 피닉스 이후로는 디자인이 변경됐다. 그리고 머로더와 관련있는, 혹은 기반으로 한 메크는 의외로 제법 많다.

3 변형 기종들

180px
스피어 공화국 시대에 등장한 머로더 9W2

역사적으로 꽤나 오래된 기종이다보니 꾸준히 개량형이 나온다.
이 외에도 밴더스내치, 드래곤 파이어, 마엘스트롬, 나이트스타는 머로더의 후속 기종으로 개발하던 것이나 시험 생산만 되거나 설계 정도만 되다가 공장 파괴 및 성간 연대 몰락으로 인해 세상의 빛을 보지 못했다. 하지만 헬름 메모리 코어 발굴과 해독을 통해 31세기 중반 쯤 생산되면서 머로더 시리즈의 부활을 알렸다. 락샤샤는 다비온에서 클랜 팀버 울프(매드 캣) 옴니메크를 베껴 만든 기종으로, 머로더를 기반으로 개조했다. 팀버 울프를 가리키는 이너 스피어 코드명인 매드 캣에서 Mad 부분이 머로더를 가리키는 모델명 MAD, 캣 부분이 캐터펄트의 Cat에서 따와 합친 것일 정도로 머로더와 팀버 울프가 닮은 구석이 있긴 하다. 머로더 II와 머로더 IIC는 후술.

  • MAD-1R : 성간 연대 시절의 기종이며 철섬유 장갑과 셀룰러 탄약고를 적용하였다.
  • MAD-2R : 성간 연대 시절 두번째 기종이다. MAD-1R의 PPC를 ER 기종으로 바꾸고 2중 냉각기를 사용하였다.
  • MAD-3D : 다비온 군에서 쓰던 모델이며 골치를 썩히게 만들던 AC와 그 결합부를 떼고 대구경 레이저와 추가 냉각기를 장착한 모델이다. 무장 자체가 MAD-4A 머로더 II와 똑같애졌다. 단지 몸무게와 점프젯 차이가 있을 뿐(...)
  • MAD-3M : 레이저 무기가 많이 남아돌던 자유 행성 연대가 PPC의 열 문제도 좀 해결할 겸 PPC 대신 대구경 레이저를 장착하였다.
  • MAD-3L : 랴오 군에서 쓰던 기종이며 마릭군쪽과 비슷하게 PPC를 대구경 레이저로 교체했는데, 이쪽은 성간 연대 몰락 이후 사격 통제 장치에 새 무장을 물리는 과정을 어떻게 다룰줄 몰라서 발사가 안되는 일이 자주 있던지라 결국 별도의 수동조작식 방아쇠를 다는 편법으로 해결했다고 한다.
  • MAD-5D : 로스텍을 재 발굴한 이후에 등장한 첫 기종. AFFS에서 사용하였다. 3D의 대구경 레이저와 중구경 레이저 두문은 펄스 레이저로 업그레이드 되었고 PPC도 2R에서 쓰이던 ER 기종으로 교체되었다. 이에따라 2중 냉각기가 채용되었으며 초경량 엔진, 2연장 스트릭 단거리 미사일 발사기, 셀룰러 탄약고가 사용되었다. 점프젯은 덤이다.
  • MAD-5M : 3M의 로스텍 버전. 대구경 펄스 레이저와 중구경 펄스 레이저를 각각 두문씩 장비하고 있으며 AC/5는 LB 10-X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2중 냉각기, 초경량 엔진, 점프젯을 썼단 점에서 MAD-5D와 공통 분모를 갖는다.
  • MAD-5S : 5D의 점프젯, 2연장 스트릭 단거리 미사일 발사기, 대구경 펄스 레이저를 가우스 라이플로 바꾼 기종.
  • MAD-5L : 3L의 연방 공화국 내전 시대 버전이다. ER 대구경 레이저 두문, ER 중구경 레이저 두문, ER PPC를 무장으로 사용하며 은폐 장갑을 둘렀다.(가디언 전파 방해 슈트는 당연히 추가) 여기에 3배력 마이오머를 장비하기도 하였다.
  • MAD-5R : AFFS의 성전 초기 시절 기종이며 2R의 엔진을 초경량 엔진으로 대체하면서 로터리 AC/5, 가디언 전파 방해 슈트, C3 보조 유닛을 채용하였다. 철섬유 장갑은 일반 장갑으로 교체되었다.
  • MAD-5T : 5M의 점프젯과 LB 10-X를 로터리 AC/5와 조준 컴퓨터로 교체한 형태. 엔도강으로 골격을 만들었다.
  • MAD-7D : 5T의 펄스 레이저들을 ER 레이저들로 교체한 형태. 이쪽은 일반 철재를 썼으며 가디언 전파 방해 슈트가 들어갔다.
  • MAD-9M : ER 대구경 레이저 네문을 주 무기로 쓰는 사양. 가디언 전파 방해 슈트와 6연장 스트릭 단거리 미사일 발사기 두기가 보조 무기이다. 덤으로 TAG가 붙었다.
  • MAD-9M2 : ER 대구경 레이저 네문을 중형 PPC 두문으로 교체했다. 나머지 사양은 9M과 같다.
  • MAD-9S : MAD-3R의 성전 시대 리뉴얼 버전이다. 경량 엔진을 채용하였으며 AC/5가 LB 10-X로 대체되었으며 PPC와 중구경 레이저는 ER 모델로 업그레이드됐다. 머리에 화염방사기를 달았고 비글 능동 감지기, 가디언 전파 방해 슈트도 들어갔다.
  • MAD-6L : 플라즈마 라이플 시범 채용기이다. 5L의 ER 하전 입자포를 일반 하전 입자포로 교체하였다.
  • MAD-9W : 스피어 공화국 시절의 기종이다. 엔진은 9S와 동일한 경량 엔진을 쓰지만 출력이 225로 낮아졌다. 비록 속력은 54km/h로 느려졌지만 강화 점프젯이 장비됐으며 고강도 회전의를 채용하고 강화 C3 컴퓨터가 장착했다. 이쪽의 무장은 ER 대구경 레이저 두문, 중구경 펄스 레이저 두문, 단포신 하전 입자포이다.
  • MAD-9W2 : 강화 C3 컴퓨터를 가디언 전파 방해 슈트와 C3 보조 유닛으로 교체하였다. 무장은 MAD-9W와 같다.
  • MAD-9D : 급속 냉각기를 장비한 버전이다. 중구경 X-펄스 레이저 3문, 클랜제 ER 대구경 레이저 2문, 은탄 가우스 라이플을 무장으로 채용하고 있으며 엔도 합성 프레임으로 뼈대를 만들었다.

3.1 머로더 II

180px
머로더 II 6D

@MAD-4A 기준

중량100톤
동체구조GM 머로더
동력로블라 300 출력 핵융합 엔진
보행속도시속 32.4km
주행속도시속 54km
점프젯칠턴 600
점프능력90m
장갑밸리언트 라멜러(19톤)
무장마그나 헬스타 PPC 2문
마그나 마크 II 중구경 레이저 2문
마그나 마크 III 대구경 레이저 1문
생산자GM/블랙웰
주 생산 공장뉴 발렌시아
통신 시스템달반 마이크로닉스
조준 추적 체계달반 하이레즈 II
가격935만 6000 C-빌

3012년 개발한 머로더 II는 머로더를 뻥튀기한 것처럼 생긴 100톤 어썰트 메크이다. MAD-4A 머로더 II의 무장은 MAD-3D 머로더와 완전히 동일하다.(...) 첫 등장이 3012년이기때문에 머로더 II의 변형 기종들은 헬름 메모리 코어가 발굴된 후에 나오기 시작하였다.

  • MAD-5A : 초경량 엔진을 사용하여 대구경 레이저를 LB 10-X로 바꿨다.
  • MAD-5B : 점프젯 달린 MAD-5S이다. 단지 차이점이라면 몸무게가 늘었기 때문에 초경량 엔진을 채용하지 않고도 가우스 라이플을 장비했다는것 뿐이다.(...)
  • MAD-5C : MAD-5A의 LB 10-X를 울트라 AC/5로 바꾸고 냉각기를 세개 더 넣었다.
  • MAD-4S : MAD-5B의 연방 공화국 내전 시절 버전. 경량 엔진 및 2중 냉각기를 채용하여 당시 최신 탄도 무기였던 중형 가우스 라이플을 장착하였다. 에너지 무기들은 MAD-9S에도 채용된 ER 하전 입자포 두문과 ER 중구경 레이저 두문이다.
  • MAD-4H : 4A에서 PPC만 ER 모델로 바꾸고 나머지는 로켓 발사기로 도배해놨다. 사용된 로켓 발사기 갯수는 10연장 한기, 15연장 6기, 20연장 4기이다.
  • MAD-4K : 4S의 중형 가우스 라이플을 일반형으로 내렸고 ER 중구경 레이저들을 ER 소구경 레이저로 낮춰서 ER PPC를 중형 PPC로 바꿨다.
  • MAD-5W : 강화 점프젯 채용기이다. 뼈대는 엔도강으로 만들었으며 이쪽의 무장은 중형 PPC, 단포신 PPC 두문이다. 강화 C3 컴퓨터를 달아놨다.
  • MAD-6M : MAD-4A의 실험 기술 버전이다. 중구경 X-펄스 레이저 두문과 대구경 X-펄스 레이저 두문을 채용하였으며 ER 하전 입자포 한문도 달아놓았다. 엔진 출력을 올리기 위해서 초경량 엔진, 엔도강 뼈대도 사용되었으며 남은 톤으로는 가디언 전파 방해 슈트를 달았다.
  • MAD-6D : 워해머 11T가 사용한 경형 PPC 두문, 단포신 PPC 두문을 채용하였다. 두번째 강화 점프젯 사용기이며 로터리 AC/5도 장착했다.
  • C : 클랜 개조 버전이다. MAD-5A의 엔진을 400 출력 초경량 엔진으로 바꾼 버전이다.
  • MAD-4L : 암흑기 시대에 나온 스텔스 장갑 장비 버전. 당연히 가디언 전파 방해 슈트가 추가됐으며 ER PPC와 가우스 라이플 2문을 무장으로 채용했다.
  • MAD-6S : 전환점 아이리안 편에서 등장한 배리에이션. ER 하전 입자포 두문, 중구경 펄스 레이저 두문, ER 소구경 레이저와 가우스 라이플을 무장으로 사용한다. 특이하게도 대 미사일 방어 체계가 뒤통수로 돌아가있다.

3.2 머로더 IIC

180px
머로더 IIC 7번 기종

@기본형 기준[1]

중량85톤
동체구조SA-85O형 경량 철재(엔도강)
동력로연맹 표준형 340 출력 엔진
보행속도시속 43.2km
주행속도시속 64.8km
장갑포징 MD5 철섬유 장갑(11.5톤)
무장ER PPC 3문
중구경 펄스 레이저 2문
ER 소구경 레이저 4문
생산자알비온 MMA 복합 산업단지
통신 시스템D8식 CC-25Xa
조준 추적 체계헤르메스 CT42 Mk II
가격991만 3533 C-빌

클랜에서 직접 개조한 머로더 IIC는 머로더를 85톤 강습 메크로 재설계한 것이다. 변형 기종은 아래와 같다.

  • IIC 2 : 중형 대구경 레이저 두문을 주력 무장으로 사용하고있다. 점프젯이 장비되있으며 ER 대구경 레이저로 원거리를 견제하고 중형 대구경 레이저들을 중구경 펄스 레이저 두문으로 보조한다.
  • IIC 3 : ER 하전 입자포와 ER 소구경 레이저 두문, 그리고 중구경 펄스 레이저 세문을 12연장 ATM으로 교체했다.
  • IIC 4 : 초강습 가우스 라이플/40 두문만 장비한 클랜 재판용 기종. 초강습 가우스 라이플을 장착하기 위해서 초경량 엔진을 사용했다. 점프젯은 표준형 세기를 달았다.
  • IIC 5 : IIC 3의 ATM을 HAG/20으로 바꾸고 ER 소구경 레이저 두문을 대 보병 가우스 라이플로 대체한 기종
  • IIC 6 : 4번 기종의 HAG/40을 떼고 LB 10-X, ER 중구경 레이저 두문, 가우스 라이플, 중형 대구경 레이저로 바꾸고 점프젯을 강화 점프젯 6기로 바꿨다. 7번 기종의 시초가 된다.
  • IIC 7 : 6번 기종에서 강화 점프젯을 모조리 떼고 엔진 출력을 255로 내린 후 가우스 라이플을 제외한 모든 무장을 HAG/30, 대구경 펄스 레이저, ER 소구경 레이저, 4연장 스트릭 단거리 미사일 발사기 두기로 바꾼 후 조준 컴퓨터와 전파 방해 슈트를 추가하였다.
  • IIC 8 : ER 소구경 레이저 하나와 ER PPC 하나를 중구경 펄스 레이저 두문과 10연장 장거리 미사일 발사기로 바꿨다.

여담으로 클랜도 3R을 클랜 무장으로 교체한 3R(C) 모델을 갖고 있는데 PPC를 대구경 펄스 레이저로 바꾸고 AC/5를 울트라 AC/5로 바꿨으나 중구경 레이저는 이너 스피어제를 그대로 유지했다.

4 PC게임에서의 성능

4.1 멕워리어 4[2]

4.1.1 머로더

기본 성능
이름머로더
기술 유형이너 스피어
본체 등급 및 중량헤비, 75톤
장갑 종류/무게철갑형/14.5톤
내부 구조경량 철제(Endo Steel)
최대 속도(km/h)65.00
무기PPC 2문
중구경 펄스 레이저 3문
UAC[3] 5
소구경 펄스 레이저 각각 1문 씩
장착 가능한 보조 장치BAP [4]
점프젯장착 불가
냉각기12톤
상세 성능
최대 속력 범위(km/h)65.00-95.02
가속력-감속력(m/sec)6.3-10.23
회전률 (°/sec)0.52
몸통 회전 범위 (°)100
몸통 회전 속도 (°/sec)60
몸통 상하 가동 범위 (°)30
무기 슬롯[5]
오른쪽 팔E: 4
왼쪽 몸통E: 2
왼쪽 팔E: 4
광선무기 탑재대E: 2
탄도무기 탑재대B: 4

비공식 패치인 Mektek MP1 패치 후 사용할 수 있다. 이 때는 LAMS[6]를 장착 할 수 있었는데, 나중의 패치에서 밸런스 조절을 위해 장착을 못하게 되었다. 이로써 장거리 미사일에 대한 저항력이 꽤 낮아져버렸다. 하지만, 무기 슬롯의 위치와 공간의 조화가 상당히 잘 돼있고, BAP를 장착 할 수 있어서 넓은 개활지에서 원거리 전투나 저격용으로 상당히 괜찮은 멕이다. 대형 레이저를 6문을 장착하고, 속도 75~80으로 더 끌어올리고, 냉각기를 더 늘린 세팅은 원거리전에서 크게 한 방을 먹일 수 있는 세팅이 괜찮다. 이 외에도 양 팔의 PPC를 유지하고, 잡 레이저와 UAC를 다 때어내고, 가우스 라이플을 장착하는 것도 상당히 매력적인 세팅. 다만 머리부분이 다른 멕에 비해서 피격되기 상당히 쉽기 때문에 머리부분의 방어력을 높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4.1.2 머로더 II

MekTek MP3에서 추가되었다.

4.2 멕워리어 온라인

어번메크에 이은 예약 판매로 등장하였다. 15달러를 더 추가하면 바운티 헌터의 머로더(3044년)[7]도 살 수 있다.

그리고 원조 기종이 공개된 이후 IIC도 예약판매를 개시하였다.
  1. 무장 및 가격을 제외한 나머지 제원 정보는 프로젝트 피닉스 출처이다.
  2. 멕워리어4: 용병의 사투(Mechwarrior4: Mercenaries) Mektek MP3 패치 기준.
  3. 울트라 오토캐논(Ultra Autocannon)
  4. 고성능 감지 장치(Beagle Active Probe). 탐지 범위를 200m늘려주고, 미사일 포착 시간을 줄여준다.
  5. E: 에너지(광선) 무기, B: 탄도 무기, M: 미사일 무기, D: 직사무기(에너지, 탄도), H: 발열 무기(에너지, 미사일), A: 탄약 무기(탄도, 미사일) O: 모든 무기를 탑재가능
  6. 미사일 요격용 레이저 시스템(Laser Anti-Missile System)
  7. 게임 내에선 Bounty Hunter II라는 이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