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주

esanari_91.jpg

, 보리, 밀가루, 쌀가루 등으로 만든 장류의 기본재료.

주로 고추장, 된장, 쌈장, 간장에 쓰이는 재료로 과거 원삼국시대 때 처음으로 발효한 말장이 그 시초이며 고려왕조에 가서야 메주라고 불렸다가 조선왕조 때 다시 말장으로 불렸다.

메주콩을 불려 삶은 후 으깨어 메주틀로 사각형으로 만들어 매달아서 말린 것.

벽돌처럼 네모난 모양에 옅은 갈색에서 밝은 갈색을 띄고 있으며 요즘 도시의 가정에서는 보기 힘들지만 지금도 농촌지역 가정에서는 처마 가에 매달려 있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메주의 종류는 고추장용, 된장용, 간장용 등으로 분류하는데 그 외에 절메주, 집메주 등도 있다.

흔히 짚풀이나 끈 등으로 묶어서 말리거나 햇볕에 말려놓는 편이며 만들어진 때에는 부드럽고 말랑하지만 햇볕에 말리면 굳어지는 편이다. 오래 묵혔던 메주의 경우 겉면에 곰팡이가 피어있기도 하다.

농촌 출신이나 농촌마을에서 거주하는 이들에게는 흔히 봤던 재료이자 구수한 냄새를 자주 맡았다고 하지만 요즘 도시 출신이나 도시에서 거주하는 이들의 입장에서는 흔히 보기 힘든 재료이기도 하다. 굳이 있다고 해도 주로 농촌 및 시골에서 공수한 것이 전부이며 직접 도시에서 메주를 담그는 모습은 농촌에 비해서 매우 드물거나 없는 편. 게다가 요즘은 고추장이나 된장도 거의 사먹는 풍습이 증가한 탓에 메주로 직접 장을 담가서 만드는 모습은 보기 힘들어진 편이다. 그러나 일부 사찰이나 농촌마을에서는 고령층들을 중심으로 지금도 메주를 빚거나 메주로 직접 고추장이나 된장 등을 만드는 편.

냄새가 구수하게 나는 편이지만 성향에 따라 냄새나 방귀의 구린내처럼 느껴져서 기피하는 경우도 있다. 사실 이건 장 종류 모두가 해당하는 경우. 특히 이런 냄새에 익숙하지 않은 외국인들은 식겁한다. 사실 냄새의 구성 성분이나 발효된 재료를 보자면 발냄새와 비슷한 편이다.

속담 중에는 '콩으로 메주 쑨다해도 안 믿는다.'라는 말이 있다. 맞는 소릴 해도 안 믿는다는 의미이다. 남을 지나치게 의심할 때에 쓰는 말. 거짓말만 하는 사람에게 그 사람의 말을 믿지 않겠다는 의미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응용된 말로는 '팥으로 메주 쑨다해도 믿는다.'. 말도 안되는 소리를 믿는다는 의미이다. 순진한 사람을 비유할 때 주로 사용된다. 그런데 팥으로도 메주를 쑨다.링크(BGM 주의)
참고로 보리로도 메주를 빚는다. 보리로 만든 보리메주는 도너츠 모양이며, 이걸로 만든 된장은 보리장 혹은 보리된장이라 부른다.

투박한 생김새때문인지 유독 추남이나 추녀의 얼굴을 메주에 비교하기도 한다. 더 강도 높은 '옥떨메'라는 표현도 있는데, '옥상에서 떨어진 메주'의 줄임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