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산역



#!wiki style="border: 1px solid gray; border-top: 5px solid #333;padding:12px;"
{{{+1 주의. 폐지된 역 또는 신호장입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역은 폐지되어 열차가 정차하지 않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기 바라며. 이 문서를 잘못 이해하여 발생하는 피해는 우만위키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옛 호남선
대전 방면[1]
몽 탄

? km
명 산
(폐역)

? km
목포 방면
일 로

明山驛 / Myeongsan Station

명산역

다국어 표기
영어Myeongsan
한자明山
중국어明山
일본어ミョンサン
주소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명산리
일반 철도
운영기관철도청
호남선 개업일1934년 2월 11일
호남선 폐업일2001년 12월 5일
역등급폐역

4684-C-12356_01.jpg
호남선상에 있던 역.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명산리에 있었다. 현재의 이 곳 인근 호남선 구간을 보면, 몽탄역에서 일로역까지 여기저기 산줄기를 뚫고 직선에 가깝게 뻗어있지만, 당시로서는 난공사 구간에 해당하는 직선을 피해 철길을 놓은 듯 이곳까지 우회한 철로가 지어졌고, 길어진 거리만큼 중간역으로 이 곳에 명산역이 들어서게 되었다. 시작은 1934년 2월 배치간이역으로 출발하였다. 1973년 1월에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고, 1978년 11월에는 웬일인지 역사가 개축되며 보통역이 되었다. 하지만 2001년 12월 호남선 복선전철화 및 직선화 공사로 인해 우회구간이던 이 구간을 지나지 않게 됨으로써 폐지되었다. 폐역 후 역사도 철거되고 선로도 걷힌 후 상당기간 쓰레기 등이 방치되어 있었는데, 2012년 현재는 깔끔히 밭이 되어 있지만, 덕력이 있는 철덕이라면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는 정도.

역터 앞으로 영산강 중류가 흐르고 있어, 풍경이 수려하고 예로부터 이 지역의 장어가 유명하여 한때는 많은 사람들이 찾았으나, 영산강하구둑 축조 등 이런저런 이유로 발길이 뜸해졌다. 하지만 역 터 인근으로 장어집이 아직 있기는 하다.

이 역터 북쪽으로 옛 철길을 따라 걷다보면, 폐터널 3종 세트가 있어, 철덕이나 폐허덕후라면 가볼만 하다.

2012년 현재로써는 몇몇 가구만 사는 작은 시골동네가 되어버린 까닭에 역이 있더라도 여객취급은 안 하고 있을 확률이 높다. 따라서 이 역에 접근하려면, 인근 일로읍에서 하루 4회 뿐인 농어촌버스나 일로-명산-몽탄-무안 간 하루 1회인 농어촌버스 노선을 이용하거나, 목포-일로-몽탄-무안 간을 운행하는 목포시 시내버스 800번을 타고가다 적절한 곳에 내려 적절히 30분 가량 걸어오면 된다. 영산강 건너편인 나주시 동강면에서 건너오는 방법도 있으나, 그 쪽 동네도 하루 버스가 8회라 거기서 거기이다. 자전거 라이더라면 새로 조성된 영산강 자전거길이 역터 앞을 지나는 이를 이용해 볼 수도 있다.
  1. 폐역당시 호남선은 대전역 시발이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