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도

1 목도(木刀)


그 이름 그대로 '나무로 만들어진 칼'. 목검이라고도 한다.

1.1 설명

애들 장난감에서부터 검도 수련용으로 쓰이는 것까지 상당히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재질이 목제이기 때문에 RPG에서는 금속제 무기보다 상당히 떨어지는 허접한 아이템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있으나, 실제로는 본질은 스포츠용품이긴 하나 유사시 무기 대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한 도구다. 야구방망이, 골프채 같이 스포츠용품이라는본업 외에 출중한 무기 중 하나. 따라서 검도 수련용으로 지정된 장소에만 비치하고 거기서만 사용하거나 검도 사범이나 연습생 등 자신의 신분을 분명히 밝히고 들고 다니는 것이 정신건강에 좋다. 아무 생각 없이 대놓고 들고 다니다가는 재수 없으면 경찰에 신고들어올 수 있다.특히 싸움이라도 나면 목검을 휘두를 생각일랑 하지 말고 그냥 맞아주고 신고하거나 아니면 도망쳐라. 그렇게 하는게 차라리 흉기 사용 혐의로 입건돼서 인생 망치는것보다 구골배는 낫다.

진검과는 다르게 날이 서있지 않고 재질도 뭉툭한 목재라서 살상력은 진검에 비하면 훨씬 떨어지나 기본적으로 그 재질이 상당히 단단하며 잡고 휘두르기 편한 형태이기 때문에 검도를 해보지 않은 인간이 휘둘러도 제대로 맞으면 상당히 아프고 뼈가 부러지거나 몸에 멍이 드는 수가 있으며, 검도 숙련자가 휘두르면 무게로 인하여 휘두른 직후의 공방이 어려운 공구나 야구배트보다 출중한 위력을 가진 무서운 무기가 될 수 있다. 특히 두개골이나 관절같은 부위에 정통으로 맞으면 십중팔구 중상을 입을 것이다.


목검은 일반적인 나무봉과는 달리 목표물에 직접 닿는 면적이 좁기 때문에 비슷한 길이의 봉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타격력을 지닌다.실제 도검의 모양을 그대로 표방해서 만들었으며 도검의 원리인, 좁은 면적에 강한 압력이 집중되는 원리가 적용되기 때문.

검도에서 죽도같은 위험성 적은 수련용구가 있음에도 목도를 사용하는 것은 그 형태가 진검과 가장 가깝기 때문에 진검 특유의 기법들을 익히기 좋기 때문이다. 죽도는 곡률이 없고 원형이라 진검 칼날의 다양한 부위를 활용한 기술을 배울 수 없다. 흔히 목검이 죽도보다 무거운 것처럼 여겨지지만 통상 판매되는 물건들은 500~600g정도라 큰 차이가 없다. 애초에 비중이 큰 고가의 나무로 만들어진 목도가 아니라면 진검과 유사한 형태에 무게까지 유사하게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정 중량목도를 쓰고 싶을 때는 마치 배 젓는 노 처럼 검날부분이 이상하게 두꺼운 모양으로 만든 것을 사용한다. 물론 근력강화용이며 진검의 감각과는 갭이 큰 편이다. 근데 어짜피 수련용이라면 꼭 진검과 무게가 유사할 필요까지는 없다.

동양에서는 연습용으로 보편적으로 사용되었지만 서양에서는 잘 쓰이지 않았다. 역사적으로는 피더슈비어트스틸 블런트을 사용했고, 목제로 만들어진 것은 두삭(Dussack)과 같은 메서가 스포츠화된 도구에서 사용되었다. 두삭은 완전 가죽제나 목검에 가죽을 씌운 것도 사용하였다. 순수한 목제 장비는 근대에 사용되었는데 브로드소드 검술 훈련에서 1인치(2.54mm)두께, 90cm정도의 목봉을 활용한 싱글스틱(SingleStick)이 훈련에서 활용되었다. 칼날을 칼날로 받아내는 근대검술의 특성상 도검의 소모가 심했기 때문에 저렴한 대체 도구로써 사용되었다.

웨이스터(Waster)는 현대 서양검술계에서 사용했던 물건이다. 역사적인 철제장비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소모에 대한 우려로 2000년대에 유행하였으나 2010년부터 저렴한 동유럽제 피더슈비어트가 많이 출시되고, 튼튼한 피더슈비어트에 대한 노하우가 늘어났으며 특히 목검이 단단하여 오히려 중타박상을 유발한다는 점, 쉽게 튕겨나가 검리가 왜곡되는 점이 지적되면서 현재는 웨이스터를 잘 쓰지 않는다. 웨이스터가 고가의 히코리 나무를 쓰기 때문에 100달러가 넘어간다는 점도 문제였는데 웨이스터 2~3개 가격이면 좋은 피더슈비어트를 장만하기 때문. 더군다나 쓰레기(웨이스터)라는 이름 그대로 쉽게 부러진다는 점도 문제가 되어 현재는 웨이스터의 지위는 부러지지 않는 플라스틱 칼들에 밀려나버린 상황이다.

창작물에서도 등장하는데 당연히 진검처럼 번쩍번쩍하는 맛이 없는 그저그런 물건인지라 비중은 거의 없다. 다만 종종 검술의 극에 달했다는 설정의 캐릭터가 일부러 목검을 쓰는 경우도 있는데 이 목검으로 진검 못지않게 잘만 싸움으로서 해당 캐릭터의 강력함을 어필하는 장치로 쓰기도 한다. 그리고 나무 자체가 중후한 멋이 있기 때문에 나름의 매력이 있으며, 어짜피 내공을 실어서 싸우면 되는 무협물에서는 노고수가 목검을 가지고 싸우는 경우가 흔하다.

대표적인 캐릭터가 바로 은혼사카타 긴토키.

젤다의 전설에서 노인이 주지만 별로 쓸모없는 무기. 검기가 나간다.

닌자 가이덴류 하야부사가 사용하는 천의무봉의 초기형태도 이 무기. 공격력은 약하지만 타격감이 상당하고 타격음이 경쾌하다. 고수라면 추천.

1.2 목도의 종류

  • 스누케
스누케는 수령 약 250~400년의 혼슈 남부・시코쿠・큐슈・오키나와에 분포하는,만사크과이스노키속의 광엽수의 심재로 만든 목검이다. 진검과 거의 일치하는 무게, 충격을 흡수하는 유연함, 흑단에 버금가는 단단함을 동시에 갖춰서 최고의 목검으로 알려져 있다. 물론 가격은 안드로메다에 재료가 되는 나무도 수가 줄어, 생산량이 떨어졌지만, 검도구에 관심있는 사람들은 최고로 치는 목도이다. 단, 일본에 비하여 기후가 건조한 한국에서는 약간 뒤틀릴 가능성이 있다. 구입하려면, 일본 쇼핑사이트나 일본에 방문하는 사람에게 부탁하자. 한국에서 파는 흑단이나 아이언우드보다 상대적으로 더 저렴하고, 성능도 훨씬 좋다.
  • 중량 목도
휘두르기 목도로도 불린다. 타격을 훈련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목도. 일반 목도보다 두껍고 무거워, 사시멘같은 잔기술이 아니라, 머리, 허리, 손목 치기나 베기 연습 등 몸 전체를 사용해서 타격하는 기술을 훈련할 때 사용한다. 초심자가 괜히 이거 잡고 손목 나가는 경우가 허다하니, 병원 신세지기 싫은 위키러들은 사용하고 싶으면, 선생님에게 여쭤보고 사용하자.
  • 경량 목도
가벼운 목도이고, 가격이 비쌀수록 엄청나게 가벼워진다. 이러한 경량 목도의 존재 이유는 몸 전체를 밸런스 있게 자세를 잡아, 타격과 형 등을 연습하는 것. 무거운 목도나 죽도만을 사용하면 검을 사용하는 기세나 힘을 기를 수 있으나, 검술의 섬세함을 살릴 수는 없다. 실제 사용해보면, 궤적이나 슨도메(타격점에서 멈추는 것) 등이 훨씬 어렵다. 그래서 일반 목검 등을 사용하다가 간간히 경량 목도를 사용해서 섬세함을 길러 줄 필요가 있다.
조선시대 사용한 목검의 일종. 항목 참조.
일본에는 거의 만 여개에 이르는 검술유파가 있었고, 현재도 천 여개가 잔존하여 있다. 각 유파마다 기술이나 정신[1] 지향점이 다르다보니, 사용하는 검의 형태와 그 검을 연습하는 목도의 형태가 다를 수밖에 없다.
  • 신토류(神道流) : 갑옷을 상정한 전국시대 유파답게 짧고 투박한 목도를 사용한다.
  • 일도류(一刀流) : 찌르기와 손목에 특화된 유파답게 약간 길고 휨이 적은 목도를 사용한다.
  • 야규신음류(柳生新陰流) : 직도에 가까운 형태이며, 후쿠로 죽도라는 특유의 죽도도 사용한다.
  • 천연이심류(天然理心流) : 신선조의 검술로 강건한 기풍을 길러주는 두껍고 무거운 목도를 사용한다. 자연스럽게 손목이 아니라, 몸으로 휘두르게 된다고 한다.
  • 시현류(示現流) : 적당한 나무를 잘라서 사용한다.
  • 아이키도(合氣道) : 1대 도주인 우에시바 모리헤이가 카게류와 신토류에 영향을 받은 결과, 두 유파와 특성이 섞인 목도를 사용한다.
  • 검도(劍道) : 길이가 길어지고, 두께가 굵어지고, 목재를 좋은 것을 사용하면 할수록 무게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손목의 안전을 위해 자신의 기량에 맞는 목도를 사용하자. 대체적으로 검도에서 목도를 사용할 일이 형이나 휘두르기 밖에 없으므로, 관장님이 추천해주는 것을 사용하는 게 편하다.

2 목도(目睹)

뭔가 목격했다는 뜻.

3 지명

이 문단은 울주 목도 상록수림(으)로 검색해도 들어올 수 있습니다.


1629730.jpg
目島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의 섬. 과거에는 대나무가 많이 자라 '대섬'이라고 불렸고 근현대에는 모양이 눈동자를 닮았다 하여 '목도'라 하였다. 그러나 정작 시민들에게는 동백꽃이 만개하는 휴양지의 이미지가 강하여 동백섬으로 불린다.
과거에는 상술하였듯 아는 사람들은 아는 휴양지이자 동해안의 유일한 상록수림[2]이었으나, 현재는 생태계 훼손을 이유로 출입이 금지된 상태이다. 2001년 재개방 예정이었지만 식생 회복 속도가 느려 10년씩 2차례 미뤘다.[3]

이 섬을 주제로 한 노래가 합창곡 <동백섬>이다. 김종경 작시 / 최경철 개사·작곡.
  1. 각 유파마다 강조하는 정신 자세가 다르다. 지겐류의 경우, 첫 타가 안 들어가면 죽는다는 정신이고, 일도류 계열은 고도의 정확성을 추구하는 이성과 집중력 그리고 합리성, 카게류 계열은 선불교와 유사한 평정심 등 각 유파마다 다른 정신을 강조하며, 그에 맞는 자세가 기술에 나타나게 한다.
  2. 이 때문에 천연기념물 제65호로 등재되었다.
  3. 이게 사실 꽤 심각한 문제다. 처음에는 사람들의 무분별한 출입과 쓰레기 투기 등이 문제라고 여겼는데,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고 수달 서식이 확인될 정도의 섬이 회복이 되지 않는다는 건 원인을 잘못 잡았다는 뜻이 되기 때문. 특히 몇 년 전 쓰러진 '동백섬 지킴이' 할아버지의 주장에 따르면 출입금지 이후로도 더 악화되는 걸 그나마 자기가 보호활동을 벌여 상태를 조금씩 개선시킨 것이라고 한다. 결국 남는 원인은 온산국가산업단지 뿐이라는 것인데, 이 곳에는 여러 환경오염 유발 업체들이... 어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