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정

反正

조선 시대의 반정
무인정사계유정난
중종반정인조반정
문체반정

1 개요

(명분상)실정을 하는 을 폐위시키고 새로 왕을 세우는 일. 즉 쿠데타.

2 조선에서

고려시대에는 무신정권몽골의 압력으로 왕을 갈아치우는 일이 꽤나 흔했지만 유교 윤리가 강했던 조선 시대에는 명분 없이 왕을 축출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그리하여 특정한 명분을 붙여 정권을 무력으로 바꾸는 쿠데타를 반정이라 칭했다. 여기서의 반(反)은 잘못된 것을 바로잡음을 의미한다.

조선시대에 성공한 쿠데타는 무인정사(1차 왕자의 난: 1398년), 계유정난(1453년), 중종반정(1506년), 인조반정(1623), 이렇게 총 4번인데, 뒤의 두 개만 반정이라 불린다. 중종 반정과 인조 반정의 경우는 대놓고 왕의 폐위를 명분으로 내걸었기 때문에 반정이라 불린다. 반면에 앞의 경우는 오히려 정적들이 역모를 꾀하고 있고 사세가 급박하여 왕의 재가를 받을 틈이 없이 적들을 죽였다고 했으므로 반정이 아닌 "정사", "정난" 등의 이름으로 불리웠다.[1] 중종반정에서는 연산군, 인조반정에서는 광해군이 축출되었다. 반정이 아닌 "정사"나 "정난"도 결국은 왕이 양위하는 형식으로 축출되었는데, 태종 이방원이 일으킨 무인정사(제1차 왕자의 난)의 경우에는 후계자로 정해져있던 세자가 살해됨과 동시에 태조가 상왕으로 물러났으며, 세조가 일으킨 계유정난때에도 단종이 세조에게 양위하는 형식으로 축출되었다.[2]

2.1 축출된 왕의 대우 문제

반정에서 축출된 왕은 묘호를 추숭받지 못해 군으로 남았고, 무덤도 대신 라고 칭해졌으며, 실록도 일기로 격하되었다. 반면 쿠데타를 성공시킨 주역들은 새 정권에서 공신으로 칭해졌는데, 무인정사의 주동자들은 정사공신, 계유정난은 정난공신, 중종반정은 정국공신, 인조반정은 정사공신이라는 직위가 내려졌다.

다만 단종의 경우는 후에 복위되었기에, 무덤은 장릉, 실록은 단종실록으로 불린다. 무인정사의 경우엔 선양(양위)의 형식으로 이루어졌으며, 묘호를 받지 못하고 공정왕이라 불리던 정종도 후에 추승되었다. 모두 숙종때 한 일이다.

3 기타

문체반정 또한 반정이 붙는 일련의 사건이었으나, 위와 같은 왕의 교체가 아닌 당시 문인들 사이에서 유행하던 문체를 바로잡기 위해 정조가 일으킨 정책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1. "정사"는 "사직을 안정시켰다", "정난"은 "난국을 수습하였다"는 뜻이다.무인정사의 경우는 정도전 일파가 대군들을 살해할 음모를 꾸미고 있어 진압했다는 것이 명분이었고, 계유정난의 명분은 김종서 일파와 안평대군의 역모를 진압했다는 것이었다.
  2. 태조 이성계의 경우는 태종 이방원의 아버지이므로 축출만 시키고 더 이상의 위해는 가하지 못했지만, 단종의 경우에는 사육신의 복위 운동에 연루되어 상왕에서 폐위된 후 유배지에서 죽음을 당하였다. 즉, 반정 때 "폭군"이라고 단죄받은 연산군이나 광해군과 달리 단종은 계유정난 때가 아니라 그 이후 세조 치세에 "역적"으로 단죄받았다는 것이 계유정난과 이후 반정과의 차이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