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반정

文體反正

조선 시대의 반정
무인정사계유정난
중종반정인조반정
문체반정

1 개요

문체때문에 정권을 뒤집는다는 이야기가 아니다.
조선 후기 정조가 당시 양반 사이에서 유행하던 문체였던 패관별체를 배척하고 고문#s-3을 부흥시키려했던 문풍개혁정책. 다른 말로는 문체순정이라고도 한다.

2 내용

정조는 명말 청초의 문집과 패관소설류, 잡서의 영향으로 당대 양반 사회에서 이러한 문체가 대유행하자,[1] 이것이 조선의 이데올로기인 유교를 더럽힌다고 우려하였다.[2] 정조의 입장에서 이러한 패관잡문 대신에 사용해야할 문체는 바로 고전 속 문체.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정조는 일종의 왕립도서관이라고 부를 수 있는 규장각을 새로 건립하고, 패관소설과 잡서 등이 중국으로부터 수입되는 것을 금하였으며 물론 제대로 지켜질 리가 있나, 중국의 고문[3]들을 신간하였다. 이런 정책의 연장선상에서 대과에서 장원으로 평가받은 유생 이옥의 문체를 패관문체라는 이유로 꼴찌로 강등(...)시켜버리는가 하면, 김조순, 박제가, 박지원과 같은 당대 유명 문인들에게도 감히 패관문체를 사용한 죄(...)로 반성문을 바칠 것을 명령했다.[4] 덧붙여 성균관 유생들도 패관문체를 사용한 것이 적발되면 과거 응시자격 박탈 크리... 반대로 생각해보자면 이 시기 패관문체가 얼마나 조선 사대부 사이에서 만연했는지를 쉽게 알 수 있다. 결국 일시적으로 성과를 거두기도 했지만 대세를 거스를 수는 없었기에 정조 사후가 되면 원상복귀.

3 목적

물론 정조가 단순히 문체 하나가 맘에 안들어서 이런 운동을 국가적 차원에서 펼쳤던 것은 아니다.[5] 당시 중국에서 수입된 패관문체류 문학들이 담고 있는 내용은 다수가 반봉건적인 요소로 봉건왕조 체제유지에 위협적인 내용[6]이었기에 문체반정은 단순히 문화운동이 아니라 몰락해가는 구 질서를 재정립하려는 처절한 시도로도 볼 수 있다. 덧붙여 정조가 남인천주교 신자들에 대한 노론의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이 문체반정 운동을 펼쳤다는 주장도 있다. 언뜻 생각하기에 자유로운 문체에 대해 매력을 느낀 사람들은 성리학의 규범을 따르고자 한 노론의 세력보다는 새로운 학문에 관심이 많은 남인의 세력일 것 같기도 하지만 박지원, 김조순같이 대표적으로 정조에게 딱 걸려서 혼난 인물들이 노론 계열이었다는 걸 생각하면 글쎄....

4 반항

같은 시기 유럽의 왕권신수설과는 달리 조선의 양반들은 왕이라도 잘못한 것은 개처럼 깠던 인물들인만큼[7] 당연히 이런 문체반정 운동에 반항했던 사람들도 등장한다.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위에 언급된 이옥과 박지원.[8] 박지원은 너무 죄가 커서 반성문을 쓸 수 없다고 거부했으며, 죄!가!많!아! 이옥도 패관 문체를 버리지 않고 결국 벼슬에도 오르지 않았다.

5 여담

여담이지만 소설을 싫어했던 정조와 달리 정조의 두 여동생 청연공주, 청선공주와 후궁 의빈 성씨는 10책에 달하는 소설 《곽장양문록》을 필사할 정도로 소설 애호가였다. 물론 《곽장양문록》의 필사 시기는 1773년(영조 49년)으로 문체반정보다 20년 정도 앞선다.
  1. 대표적인 사람이 바로 연암 박지원.
  2. 정조가 오늘날 개혁군주의 대명사로 여겨지고 있던 점을 생각하면 꽤나 아이러니컬하기는 하지만, 정조 본인이 문풍이야말로 사회의 도덕성과 깊은 영향이 있다고 보았던 사람이라서....
  3. 주자 본인이 직접 쓴 글과 두보의 시 등등
  4. 그런데 엉뚱하게도 김조순은 그 반성문덕에 신임을 얻었다.
  5. 물론 패관문체를 진짜 싫어했던 것도 사실이긴 하다.
  6. 당장 조선에서 패관문학의 우두머리로 꼽히는 박지원이 쓴 <양반전>이나 <허생전>들만 보더라도...
  7. 다만 조선의 왕권은 상당히 강한 축이긴 했다. 단지 실력 행사 과정에서 개같이 까이는 고통을 당했을 뿐
  8. 반대로 김조순은 훌륭하게 고문으로 반성문을 써서 정조를 므흣하게 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