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지하철 1호선

北京地铁1号线 / Beijing Subway Line 1

500px-Wangfujing_station_01.jpg
왕푸징역(DKZ4G 열차)

500px-Beijing_Metro_Type_SFM04.JPG
SFM04 열차간지폭발

1 개요

베이징 전철 1호선
베이징 지하철 1호선베이징 지하철 바퉁선
핑궈위안역(苹果园站) ~
푸싱먼역(复兴门站)
시단역(西单站) ~
쓰후이둥역(四惠东站)
18.0km13.59km
베이징 지하철 1호선
운영기관베이징시지하철 운영유한공사 (北京市地铁运营有限公司)
영업거리31.04km
궤간1435㎜
역수26 (실제 운영되는 역은 23개)
전기직류 750V - 제3궤조식
편성6량 (DKZ4G/SFM04)
설계속도80km/h
차량기지구청차량사업소(古城车辆段)
쓰후이차량사업소(四惠车辆段)
지상구간124.쓰후이(四惠) ~ 125.쓰후이둥(四惠东) 1.9km
개통연혁1971. 1. 15. 궁주펀(公主坟)↔베이징역(北京站)
1971. 8. 5. 위취안루(玉泉路)↔궁주펀(公主坟) 연장
1971. 11. 7. 구청(古城)↔위취안루(玉泉路) 연장
1973. 4. 23. 핑궈위안(苹果园) 개업
1981 푸싱먼(复兴门) 개업 및 창춘제(长椿街)↔베이징역(北京站)구간 2호선화
2000. 6. 28 푸바선(复八线) 푸싱먼(复兴门)↔쓰후이둥(四惠东) 직결운행
2003. 12. 8 바퉁선(八通线) 쓰후이(四惠)↔ 투차오(土桥) 시운행

베이징 지하철의 한 노선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차오양구(朝阳区) 쓰후이둥역(四惠东站)에서부터 베이징시 스징산구(石景山区) 핑궈위단역(苹果园站)을 잇는 노선이다. 베이징 시내를 동서로 연결한다.

베이징 지하철 중 가장 처음 세워진 역으로, 시외 노선에 속하는 팔통선과 이어진다.
시내에 속하는 동단/서단과 천안문, 왕푸징, 건국문 등을 지나가기 때문에 제대로 미어터지는 노선 중 하나. 이런 것까지 서울 지하철 1호선 닮았다 초기 노선이라 그런지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특이하게 같은 노선내에서의 환승역이 있다(…).[1]

서쪽 종착역은 공식적으로 핑궈위안(蘋果園)으로 되어 있지만, 비공식적으로는 거기서 푸슈링(福寿岭)과 가오징(高井. 공식 명칭은 시위안 西苑으로 추측됨), 헤이쉬터우(黑石头)까지 세 정거장을 잇는 구간이 이어져 있다. 다만 전철화된 구간은 가오징 까지고, 가오징에서 헤이쉬터우 까지의 구간은 비전철 단선이다. 푸슈링의 경우 지하철 기관사 직업학교와 가까워 해당 학교 학생들이나 관계자들만이 출퇴근 때 이용할 수 있었는데, 그나마 2007년 5월 이후로는 다른 비공개 역사들과 함께 폐쇄되었다. 가오징과 헤이쉬터우는 베이징 군구 내에 있어서 일반인의 출입이 통제되고 있고, 그나마 운행이고 관리고 거의 안되는지 웹상에 돌아다니는 사진들을 보면 거의 폐역 수준의 을씨년스러운 모습이다.

다만 이 비공개 구간은 군사시설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 때문에 유사시 높으신 분들의 대피용으로 건설되었을 확률이 대단히 높으며, 그런 점에서 모스크바 지하철의 메트로2와 함께 여러 철덕이나 밀덕의 호기심을 자극하기도 한다. 2000년대 들어 이 구간에 대한 출입통제 조치가 완화되었는지, 인민일보 등의 언론사나 일부 중국 철덕들이 허가를 받고 취재하거나 사진을 찍어오는 경우도 종종 있다.중국 철덕의 해당 비공개 구간 관련 포스팅

2 역사

베이징 지하철 1호선의 역사는 다음 네 시기를 거쳐 왔다.

1. 베이징역 전용선 시기

1965년 착공을 시작한 1호선은 원래는 베이징 서부에서 베이징역을 잇는 전용선이었다. 초기에는 베이징 군구와 내부인사만 사용이 가능했다. 1호선은 1971년 1월 15일 궁주펀(公主坟)↔베이징역(北京站) 사이 구간의 시운전을 시작함으로 개통되었다.[2]

2. 1호선 본선 시기

1981년 2호선 개통에 맞추어, 푸싱먼(复兴门)역이 2호선과 환승을 위해 새로 만들어졌고, 장춘제(长椿街)역부터 베이징역(北京站) 구간은 2호선으로 병합되었다. 결과적으로 1호선 운행구간은 핑궈위안역-푸싱먼역으로 줄어들었다.

3. 푸바선 시기

1호선의 동단(동쪽 부분)이라 불리기도 하는 푸바선은 서쪽 푸싱먼역에서 동쪽 쓰후이둥역까지를 연결하는 노선이다. 전체 길이는 13.59km이며 12개의 역이 있다.

1992년 착공을 시작해 그 해 10월 시단역(西单站)을 완성하여, 베이징 1호선은 핑궈위안(苹果园)-시단(西单) 사이를 운행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나머지 푸바선 구간은 2000년 6월 28일 1호선과 정식 직결운행이 이루어져 핑궈위안-쓰후이둥 간 운행이 시작되었다. 그래서 푸바선 완전개통 이후 베이징 지하철 1호선은 역 23개(10개 역 증가)를 갖춘 31km의 노선이 되었다.

4. 바퉁선 시기

바퉁선은 베이징 지하철 1호선의 동쪽 연장선이다. 전체 길이는 18,96km이고, 역의 개수는 13개이며 전 노선이 지면 또는 고가레일에 건설되었다. 특이하게도 푸바선과 같이 1호선과 직결운행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노선처럼 운행한다. 그래서 1호선과 환승역이 2개(쓰후이, 쓰후이둥역)나 된다. 그런데 이 바퉁선은 베이징시에서 아침 저녁 시간대 제일 혼잡한 노선인해전술이기 때문에, 베이징철도교통관리부 직원들은 이를 1호선과 직결운행해서 혼잡을 줄이려고 고심하고 있다.

중국 네티즌들은 베이징에서 가장 혼잡한 노선과 역을 바퉁선의 쓰후이역과 쓰후이둥역으로 꼽는다. 넘쳐나는 수요가 배차간격에까지도 영향을 끼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아침 저녁 시간때 배차간격이 2분 정도로 매우 짧기 때문에, 쓰후이둥역이나 쓰후이역에서 열차가 반대편으로 빨리 회차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결국 이는 전 노선의 수송력에 악영향을 주고 있는 상태이다. 그래서 '바퉁선과 1호선의 직결운행 방법'이 계속 논의되어왔고 건의도 해봤지만, 베이징 시 당국에서는 두 노선의 건설 연대가 너무 차이가 나서 불가능하다고 한다(...). 막장구구식 계획의 폐해를 보고 계십니다. 아니면 미도스지선처럼 6량 이상 증결을 대비하든가

실제 두 노선 간의 차량 신호체계 통일, 플랫폼 변경 등의 문제 등이 있기 때문에 미래에 두 노선이 직결운행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2.1 R1선

현재 베이징 지하철 1호선의 출근시간대 배차간격은 2분 5초로, 이미 있는 시설을 활용하기엔 한계에 도달한 상태이다. 수송력과 수송량의 괴리는 날이 갈수록 커져만 가고있다. 다른 노선과 환승이 되지 않는 왕푸징역, 톈안먼시역, 톈안먼둥역조차도 러시아워만 되면 혼잡하다.

《베이징시 철도교통 단기건설계획 2020(北京市轨道交通近期建设规划)》에 따르면, 지금의 지하철 1호선 밑에 창안제(长安街)를 따라서 베이징시의 동서를 잇는 노선을 하나 더 건설할 예정이다. R1이라 불릴 이 노선은 전체 52.3km의 길이로, 궁주펀(公主坟)상권과 금융과, 왕푸징, 중심상업지구 등을 연결할 예정이다. 또 정거장은 비교적 적고, 운행속도는 매우 빠른 급행운행방식을 채용할 예정이다(한국으로 치자면 현재의 2호선 급행안 계획과 비슷하다.).

2015년 베이징 전철 계획에는 아직 이 노선이 등장하지 않는다. 그것은 이 노선이 아직 현재 계획단계에 있으며, 기술 문제 등의 실현가능성을 따져봐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1호선 의 바로 아래에 건설할 것인가 아니면 옆으로 약간 비켜난 아래에 건설할 것인가의 기술적인 문제이다.

베이징시 기초시설투자계획부 관계자에 의하면, R1선의 착공 시기는 우선 6호선 개통 이후의 교통량 완화 효과를 보고 난 다음 결정한다고 한다. 만약 6호선이 1호선 승객을 분담하는 효과가 없다면, R1선 착공 시기는 더욱 빨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3 일반인 이용이 금지된 역들

가오징역과 푸서우링역은 인민해방군 베이징 군구가 자리잡고 있어 일반 이용이 불가능하며 관계자만이 드나들 수 있다.

52#/No. 102 푸서우링/지하철 기사 부업 학교(福寿岭/地铁驾校)

이 역은 지하철 기사 부업 학교 근처에 위치해 있다. 4곳의 출구가 있었는데, 3곳은 이미 시멘트로 막힌 상태이며 들어올 땐 마음대로였지만 나갈 땐 아니란다 1곳만 출입가능한 상태이다. 학생들과 종사자들을 수송하기 위해 하루에 몇 번씩 1호선 열차가 정차한다고 한다. 본래 종점역으로 계획된 역이기도 하며, 옛날 지하철 노선도에는 이 역이 포함되어있었다.

53#/No. 101 가오징/베이징 군구(高井/北京军区)

가오징 역은 베이징 군구 내에 위치하고 있어 일반인 이용이 불가능하다. 상대식 승강장과 2개의 선로가 놓여져있다고 하며, 쓰후이둥역을 향하는 동쪽 방향 선로는 지어지지 않은 채라고 한다.

54# 헤이스터우/우리투오 (黑石头/五里坨)

헤이스터우 역은 역 번호 자체가 없다. 이는 군 전용 선로와 지하철 1호선을 잇는 곳에 역이 위치해 있기 때문이다. 가오징 역과 같이 구조는 상대식이며, 두 선로가 놓여져 있다. 헤이스터우라는 이름은 근교의 베이징시 스징산구 헤이스터우 마을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는 1950년부터 인민해방군의 지하 사령부로 운영되는 벙커와 비슷한 시설이 있어서 아예 근처에 일반인 출입이 금지된다.

헤이스터우 역에서 군 전용 선로를 따라 계속 나아가면 중국 국철이 운영하는 산지아디안(三家店) 역으로 이어진다. 이론적으로는 국철과 연계운행도 가능하다는 이야기이다. 신차를 반입할 때도 이 선로를 이용한다는 듯.

4 차량

다음 차량들이 운행 중이다.

  • DK11형
  • BD2형
  • DK20형
  • DKZ4형
  • SFM04형

5 노선

파일:Attachment/베이징 지하철 1호선/Example.jpg
파일:Attachment/베이징 지하철 1호선/line1.jpg

번호한국어 역명중국어 역명승강장환승노선비고
-헤이스터우(54호)黑石头지하/상대식(지상1층)비공개역
101가오징(53호)高井지하/상대식(지상1층)비공개역
102푸서우링(52호)福寿岭지하/상대식(지하2층)비공개역
103핑궈위안苹果园지하/상대식(지하2층)
104구청루古城路지하/상대식(지하2층)
105바자오여우러위안八角游乐园지하/상대식(지하2층)
106바바오산八宝山지하/섬식(지하2층)
107위취안루玉泉路지하/섬식(지하2층)
108우커쑹[3]五棵松지하/섬식(지하2층)
109완서우루万寿路지하/섬식(지하2층)
110궁주펀公主坟지하/섬식(지하2층) 10호선
111군사박물관军事博物馆지하/섬식(지하2층) 9호선중화스지탄 (중화세기단)
112무시디木樨地지하/섬식(지하4층) 16호선
113난리시루南礼士路지하/섬식(지하2층)
114푸싱먼复兴门지하/섬식(지하2층) 2호선
115시단西单지하/섬식(지하2층) 4호선
116톈안먼시天安门西지하/섬식(지하2층)베이하이공원 / 중산공원 / 인민대회당
117톈안먼둥天安门东지하/섬식(지하2층)천안문&자금성 입구 / 천안문광장
118왕푸징王府井지하/섬식(지하2층) 8호선왕푸징거리
119둥단东单지하/섬식 (지하2층) 5호선
120젠궈먼建国门지하/섬식(지하2층) 2호선
121융안리永安里지하/섬식(지하2층) 17호선수수가 시장 (실크마켓)
122궈마오国贸지하/섬식(지하2층) 10호선
123다왕루大望路지하/섬식(지하2층) 14호선
124쓰후이四惠지상/섬식(지상1층) 팔통선
125쓰후이둥四惠东지상/상대식(지상1층) 팔통선
  1. 엄밀히 말하면 바퉁선은 별도의 노선이지만 연장이나 다름 없기에 기술.
  2. 이전 이 항목엔 개통을 1969년 했으며 헤이스터우에서 베이징역까지 운행하는 군 관계자 전용 노선이라고 쓰여 있었지만, 이는 잘못된 정보이므로 수정했다. 핑궈우안역 자체가 1973년 4월 23일에 개업했고 궁주펀 서쪽 부분은 1971년 연장되었기 때문에, 개통 당시에 헤이스터우에서 베이징역까지 운행했다는 것은 모순된다.
  3. 어디서 많이 들어봤다고 하면, 여기 근처에 2008년 올림픽 한국 야구 대표팀이 금메달을 딴 야구장이 여기 근처에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