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인민공화국의 도시철도 | |||
화베이 지방 | 베이징 · 톈진 | ||
화둥 지방 | 상하이 · 난징 · 항저우 · 쑤저우 · 닝보 · 우시 · 칭다오 · 난창 · 푸저우 · 허페이 | ||
중난 지방 | 홍콩 · 광저우 · 선전 · 우한 · 창사 · 포산 · 정저우 · 둥관 · 난닝 | ||
둥베이 지방 | 선양 · 다롄 · 하얼빈 · 창춘 | ||
시난 지방 | 청두 · 충칭 · 쿤밍 | ||
시베이 지방 | 시안 |
北京地铁 (Běijīng Dìtiě)
Beijing Subway
관련사이트
파일:Attachment/베이징 지하철/로고.jpg
베이징 지하철 로고
1 개요
중국의 수도 베이징 및 그 근교에 걸쳐있는 지하철. 교외까지도 뻗어있긴 하지만 중심지는 베이징 시내이기 때문에 그냥 베이징 지하철이라고 부른다.
2016년 현재진행형으로 건설중. 대륙의 기상답게 그 계획이 참 크고 아름답다. 현재 운영중인 노선이 시내, 교외 합쳐서 18개(그 중 시내에 속하는 노선은 13개)에 건설 계획중이거나 건설중인 노선이 7개다(…). 이미 설치되어 운영중인 노선도 계속 확장 및 연결을 위한 공사가 진행되고 있어서 베이징 시내에서는 지하철 공사중인 모습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노선에 있는 역 중에도 아직 공사가 끝나지 않은 등의 이유로 열리지 않은 역도 여럿 있다.
2014년 기준 총 길이는 527km, 역의 수는 318개, 일 평균 이용객은 510만 명에 달한다.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붐비는 지하철. 더 무서운 건 이래놓고도 중국 내에서는 상하이 지하철에 밀려 2위 밖에 못하고 있다(…). 중국 정부에서는 세계 1위 규모의 지하철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한다.뭐라고? 수도권 전철이 위험하다 그래도 일본 수도권 전철을 넘기에는 멀었다.
운영하는 회사는 베이징 지하철 운영 주식회사(北京地铁运营有限公司)과 베이징 징강 지하철 주식회사(北京京港地铁有限公司. MTR 자회사) 두 개가 있다.
베이징 지하철은 대부분이 한국처럼 1호선, 2호선 등 번호를 붙이지만 일부 시외지역 노선은 한자명칭을 붙인다. 다만 번호 순서대로 개통된 것이 아니다. 한 예로 베이징 지하철 3호선은 아직 건설중인데 13호선이 3번째로 뚫리고, 14/15호선도 이미 개통한 상태.
2 역사
최초의 베이징 지하철 노선은 1969년에 개통된 베이징 지하철 1호선으로, 1965년 마오쩌둥의 명령에 의해 건설 계획이 세워지고 약 4년에 걸쳐 1차 공사가 종료되었다. 다만 기본 구상은 한국전쟁 말기였던 1953년부터 세워지고 있었고, 이 때 이미 모스크바 지하철을 운용하고 있던 소련 기술진들의 자문까지 받았다. 하지만 이후 중소 관계가 급짜식하면서 소련 기술진이 철수하는 바람에 설계와 공사는 지지부진해졌고, 한술 더떠 대약진 운동의 병크가 겹치면서 또 밀리는 바람에 지연되었다.
처음에는 23.6km에 19개 역(2개 역이 운영되지 않아 실제로는 17개 역)을 갖추고 있었으며, 공주묘[1]부터 베이징 기차역을 잇고 있었다.
단 이 때에는 일반인에게는 공개되지 않았고, 운영을 중국 인민해방군 철도 총국이 맡고 있어서 군인이나 공무원 등 제한된 사람들만 이용할 수 있었다. 게다가 문화대혁명의 혼란 속에서 지어진 탓에 부실 공사와 기술력 부족, 어설픈 운영으로 인한 크고 작은 사고가 잇따랐고, 문혁 종결 후 운영권이 베이징 시 측으로 넘어간 뒤에야 이러한 문제점이 차츰 보완되었다. 이후 연장 등을 위한 제2기 공사를 거쳐 1981년 9월 15일부터 정식으로 일반인에게도 공개되었다. 이후 2호선 등이 추가로 건설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까지 베이징 지하철은 노선이 꼴랑 두개였을 정도로 인구에 비해 노선망이 심히 부실했다. 이 당시에 중국이 경제수준이 별로 안 좋았기 때문에 지하철 건설계획만 있었지 삽을 차마 뜨지 못한 것. 그러나 2000년대 들어 2008 올림픽의 개최를 맞으면서 노선망의 대대적인 확충에 들어섰고(대충 1980년대 서울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이 시기를 전후해서 경제성장에 따른 자동차의 폭발적인 증가로 상습적인 교통체증에 시달리게 되고 근교의 공장들로 인해 공기질도 안 좋아지는 문제점이 쌓여나가자 베이징 올림픽이 끝난후에도 지하철의 건설이 이어져(한국의 2기 지하철 계획과 비슷한 목적이다.) 2010년대 들어와서 세계 1, 2위를 달릴 정도로 노선길이도 길어졌고 이용객수도 세계 5위권안에 들어섰다(...)
2008년에 열리는 올림픽을 기념해 올림픽 지하철 노선(8호선)도 개통하였다. 단 올림픽 이후 이용객의 수는 시망(…).
노선 대부분이 멀쩡히 운용되고 있지만 지하철 계획에 따르면 2023년 100% 완공을 목표로 계속 건설중이다. 모두 완공시 아래 노선처럼 될 예정이다.
파일:Attachment/베이징 지하철/Example.jpg
3 요금제
2014년 12월 27일까지는 공항선 등 일부 노선을 빼면 기본 이용 요금은 전부 2위안이었다. (이카통(一卡通)[2] 사용시에도 동일.) 2014년 12월 28일에 새로운 요금제가 시행되었으며, 6km 이내 3위안, 6-12km 4위안, 12-22km 5위안, 22-32km 6위안, 그 후 20km마다 1위안씩 추가되는 식이며 2015년 현재 최대 9위안까지 나온다.[3] 또한 이카통 카드의 한 달 내 지출이 100위안이 넘는 경우 20%할인이 적용되며, 150위안이 넘는 경우 50%가 할인된다. 단, 해당월 지출액이 400위안이 되면 그 후로는 할인혜택이 중단된다.
4 노선별 분류
4.1 운영중인 노선
4.1.1 시내 노선
시내 노선은 공항 철도를 제외하면 전부 번호순으로 된 이름을 가진다. 따라서 번호순으로 표기.
노선명 | 최초 개통연도 | 길이(㎞) | 역수 | 비고 |
● 베이징 지하철 1호선 | 1969년 | 30.4 | 23 | |
● 베이징 지하철 2호선 | 1969년 | 23.1 | 18 | |
● 베이징 지하철 4호선[4] | 2009년 | 28.2 | 24 | |
● 베이징 지하철 5호선 | 2007년 | 27.6 | 23 | |
● 베이징 지하철 6호선 | 2012년 | 42.8 | 26 | |
● 베이징 지하철 7호선 | 2014년 | 23.7 | 19 | |
● 베이징 지하철 8호선 | 2008년 | 26.6 | 17 | |
● 베이징 지하철 9호선 | 2011년 | 16.5 | 13 | |
● 베이징 지하철 10호선 | 2008년 | 57.1 | 45 | |
● 베이징 지하철 13호선 | 2002년 | 40.9 | 16 | |
● 베이징 지하철 14호선 | 2013년 | 43.8 | 26 | |
● 베이징 지하철 15호선 | 2010년 | 41.4 | 18 | |
● 베이징 지하철 공항선 | 2008년 | 28.1 | 4 |
4.1.2 시외 노선
시외 노선은 전부 한자 명칭을 갖고 있다. 개통년도순, 연도가 같을 경우 ABC순[5]으로 표기.
한자 명칭 노선은 한자와 병음 로마자 표기를 함께 표기함. 지명에서 온 명칭은 중국어로 읽으며 그 외에는 한국식 한자 발음으로 표기.
노선명 | 최초 개통연도 | 길이(㎞) | 역수 | 비고 |
● 베이징 지하철 바퉁선 | 2003년 | 18.9 | 13 | |
● 베이징 지하철 창핑선 | 2010년 | 21.2 | 7 | |
● 베이징 지하철 다싱선 | 2007년 | 21.8 | 11 | 4호선 직결운행 |
● 베이징 지하철 팡산선 | 2010년 | 24.6 | 11 | |
● 베이징 지하철 이좡선 | 2010년 | 23.2 | 13 |
4.2 건설/계획중인 노선
5 이야기거리
- 대부분의 환승이 막장환승이다(...). 한 예로 13호선-15호선의 환승역인 왕징서역은 갈아타려면 5분은 쭉 걸어야 한다.
근데 거의 모든 환승이 5분은 걸린다.특히, 2호선과 13호선, 공항전철이 만나는 동직문역의 경우 과거에는 2호선 동직문역에서 나와서 지상으로 한참 걸어가서 다시 지하로 내려가서 13호선 지하철 역으로 연결되는 미친 환승거리를 자랑했으며, 공항전철이 개통되면서 지하통로로 환승하는 지금도 정말 피곤할때는 환승을 포기하고 그냥 택시 혹은 시내버스를 타기도 한다. 정말 걸어도 걸어도 끝이 없다.심지어 사람도 많다.
- 출입구 번호는 동서남북으로 나누어 알파벳(ABCD...)으로 매긴다.
- 중국은 철도 자체가 국가중요시설 인 관계로 입구 혹은 개찰구 근처에서 일일이 짐검사를 한다 [6] 이는 베이징 지하철도 마찬가지이며 중국의 기차역은 몰론, 4A나 5A급 관광구역에서도 철저히 검사하고 있다. 화기, 도검류 등은 당연히 안 되고, 특히 액체류를 까다롭게 검사하는 편이니 가방에 물이나 음료수가 있다면 그냥 미리 꺼내두는게 좋다.[7]
- ↑ 公主坟. 공주의 무덤이라는 뜻인데 여기에 묻힌 사람이 누군지는 건륭제의 수양딸이라는 등 학설이 분분하다.
- ↑ 한국의 티머니 등과 비슷한 교통카드. 단, 한국처럼 전국 통용이 아닌 오직 베이징에서만 사용 가능. 구매보증금 20위안, 충전최소단위 10위안. 지하철과 달리 버스는 무조건 50% 할인이다.
- ↑ 이렇게 인상한 이유는 할 일 없이 지하철 타는 사람을 줄여 출퇴근 시간대의 혼잡을 줄여보겠다는 의중.. 이라고 한다. 흠좀무
- ↑ 시외 노선인 다싱선(大兴线) 제외
- ↑ 나무위키는 한국어 위키이나 중국어 발음 문제를 고려하여 로마자를 기준으로 삼는다
- ↑ 공항에서 출국할 때 받는 그거 맞는데, 그냥 형식적인 수준.
- ↑ 뚜껑 열린거라면 간혹 직접 마셔보라고 할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