鼻行類
파일:Attachment/nasobemes.jpg
파일:Attachment/nasobemes2.jpg
400px
1 들어가기 앞서
해당 문서는 실제로 발생한 것으로 증명되지 않은 현상을 다룹니다. 따라서 카더라 통신에 기반한 증명되지 않은 비윤리적이거나 비과학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이 문서에는 일부 이용자들이 혐오하거나 범죄 등 불법적인 내용 및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일부 포함할 수 있으므로 문서를 열람하실 때 주의하세요. 또한, 문서의 하단에 이 틀과 함께 분류:도시전설을 포함해 주세요.
미리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은, 비행류는 상상의 동물일 뿐이라는 것이다. 아예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는 증거 자체가 없다. 왜냐하면 비행류 지지파들이 증거로 들이대는 논문이 사실 논문이 아니라 창작물이기 때문이다.
독일의 교수 게롤프 슈타이너[1]가 학생들의 창의력을 길러주기 위해 만든 '상상의 동물 비행목'의 책자가 널리 퍼지면서 마치 비행류가 실재하는 듯하여 여러 사람을 낚았고... 요즘도 인터넷이나 일부 기자들은 열심히 낚여서 파닥대어 주고 있다.
가상생물학 관련 컨텐츠 중 가장 유명한 창작물로 인정받고 있다.
1988년 창간한지 얼마 되지 않은 과학동아에서 신비한 실존 동물 컨셉으로 비행류 기사를 낸 적이 있다. 과학동아에 실렸던 사실 때문에 '권위 있는 과학잡지에 실렸으니 진짜 존재하는게 틀림없을 것이다'라고 생각한 사람들도 많았다. 과학동아에서 창간후 2008년까지의 기사를 정리해놓은 웹페이지에서 그 기사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일본어 문서를 중역한 것인지 고유명사의 번역이 좋지 않은 편이다.
[1]
하지만 위 과학동아에서 내놓은 기사는 머지않아 잊혀졌고 한국에 비행류가 본격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초반 인터넷 미스터리 커뮤니티에서 부터였다. 밀수로 들어왔다는 동물 중에 두더지 같이 생겼는데 코가 엄청 큰 동물 사진이 돌아다닌 바 있었다.(물론 조작된 사진) 당시에는 '이게 경로를 계속 파해쳐봐도 계속 나와서 결국 원산지는 어디였는지 밝히지 못하였다. 그 비행류로 추정된 동물은 수시간 후 사망하였다고 한다.' 정도로 알려졌었다.
비행류 원서는 「코걸음쟁이의 생김새와 생활상」이라는 제목으로 대한민국에도 정발된 상태이며 역자는 서두에서 이 책이 허구임을 밝히고 있다. 천산갑이 속한 무리인 포유류의 유린목(Pholidota)을 파충류의 유린목(Squamata)과 혼동한 것 정도를 빼면 번역도 깔끔하게 잘 된 편이다.
2 설정
태평양 하이아이아이 군도에 살았다고 하는 포유류. 다만 땅을 파는 일부 종은 일반적인 포유류의 범주를 넘은 듯 하다. 신체가 극단적으로 퇴화되어 처음에는 무척추동물로 분류될 뻔 했다. 현재는 하이아이아이 군도가 핵폭탄 실험으로 인해 깔끔하게 가라앉아서 멸종했다.
발견자는 제2차 세계대전 때 일본군에게서 탈출한 스웨덴 군인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걸 연구하던 학자들은 거의 대부분이 하이아이아이 군도가 가라앉을 때 같이 가라앉아서 죽었다고 한다.
날아다녀서 비행류라고 이름지은 것이 아니라, 코로 움직인다(鼻行類)는 뜻의 비행류이다. 뭐 그래도 비행류중에 날아다니는 놈이 있긴 하다. 하나의 류를 이룰 정도로 종류가 많았었다고 한다.
코로 걸어다니기 때문에 네발 가운데 뒷발은 거의 퇴화됐고 앞발은 몸단장이나 먹을 것을 집을 때 사용하는 손으로 '특진'한 상태. 대신 꼬리가 다채로운 기능을 행사할 수 있도록 진화된 것이 특징.
다만 몇몇 종에서는 코가 이동기관이 아니라 소화기관역할을 한다. 그리고 코가 원래 기능을 안 하다보니 호흡은 거의 대부분의 종에서 콧구멍이 아니라 눈물관으로 하는 식이다.
특히 꼬리는 원숭이처럼 나무에서 나무로 이동할 때 '도약 보조기관'의 역할까지 한다는 것. 벌레를 잡아먹는 원시 식충목에서 분파된 비행류는 벌레를 잡으면 콧물을 발라 지면에 고착시킨 다음 거꾸로 서서 앞발을 이용해 잽싸게 먹어치운다고.
코가 하나인 단비류, 코가 여러가지인 다비류로 나뉜다.
3 대중문화에서의 비행류
- 대항해시대 2에서는 D급 발견물 중 하나로 등장하며, 피지의 비티 레부 섬에서 발견할 수 있다. 희귀한 동물로 분류되며, 그냥 왕이 시키는 모험 퀘스트용으로나 쓰일 정도의 가치를 가진 것에 비해 유럽에서 한참 떨어진 오세아니아에 있기 때문에 같은 D급인 스톤헨지나 빅토리아 호수에 비하면 효율이 매우 떨어진다. 부가 설명도 아마 술취한 원주민의 환각일 것이다. 안습하다.
- 소설 프래그먼트의 후반부는 비행류 이야기의 결말을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 참마대성 데몬베인 - 드 마리니의 시계에게에선 유적파괴자에서는 어찌어찌 진화하다 보니 크툴루가 현현할 수 있는 생물군이며, 딥 원레벨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라반 슈뤼즈베리 교수가 수소폭탄급 주술탄을 떨어트려 작살냈다.
- 어째서 크툴루랑 비행류랑 엮이는지는 니트로 플러스밖에 모른다. 설마 코가 길어서 그런건가..
4 참고항목
- ↑ 원래는 하랄트 슈튐프케로 기제되어 있었지만 이것은 슈타이너가 만든 가상의 학자이다.